• 제목/요약/키워드: Anther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6초

4배체 현사시나무 (Populus alba L. X P. gludulosa Uyeki)의 약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by Anther Culture of Tetraploid Populus alba L.X P.glandulosa Uyeki)

  • 손성호;김정희;문흥규;노은운;이윤희;김미희;박진선;이용욱;윤양;이석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1-126
    • /
    • 1995
  • 현사시나무 4배체의 약배양에 의하여 2배체 식물을 얻을 수 있었다. 약배양에 의한 캘러스 유도에는 2,4-D가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식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를 위해서는 16시간의 광조건하에 6-8 $\mu$M의 zeatin 처리가 가장 좋은 반응을 보였는데 이때 얻어진 줄기수는 평균 7.7개 였다. 재분화된 식물체는 MS 기본배지에서 쉽게 뿌리를 유기시킬 수 있었으며, 이들 식물체는 폿트묘로 육성하여 온실 및 포지로 이식하였다. 약배양유래의 300클론에 대한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 삽목묘에 비하여 33%는 생장이 저해됨을, 47%는 생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20%는 삽목묘에 비해 직경이 5배 이상되는 거대 엽을 가지고 있었다. 염색체 수는 대체로 2배체성 혹은 4배성을 띠고 있었으며, RAPD marker를 이용하여 DNA polymorphism을 본 결과 약배양 유래의 몇몇 식물체에 있어 서 밴드 형태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개체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잔디의 약배양에 있어서 살정제 처리에 의한 Larger-sized Pollen의 발생빈도 증가 및 캘러스 유도 (Increase of Larger-sized Pollen Number by Gametocide and Callus Induction in Anther Culture of Zoysia japonica Steud.)

  • 조문수;정의동;예병쾌;안병준;최준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35-40
    • /
    • 2003
  • 잔디에 있어서 larger-sized pollen의 발생빈도에 대한 살정제 처리효과 및 캘러스 유기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약 안의 화분을 절취하여 화분의 생존력 및 dimorphism현상을 조사한 결과, 2가지 화분의 형태가 관찰되었다. 하나는 크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크며 (직경 30~36 $\mu\textrm{m}$) 연하게 염색되었고 크기가 작은 다른 화분 (직경 15~20$\mu\textrm{m}$)은 진하게 염색되었으며 amyloplast가 많이 산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디의 약에서 배발생화분으로 추정되는 크기가 큰 화분 (larger-sized pollen)은 존재하고 있으나 그 수에 있어서는 약 1% 이하로 극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가 큰 화분의 발생빈도수를 높이기 위하여 약 4$0^{\circ}C$의 주간과 15$^{\circ}C$이상의 야간 온도 조건에서 재배된 잔디의 mid booting stage에서 GA$_3$50mg/L+0.1 mL/L Tween 20을 충분하게 엽면에 살포하였다. GA$_3$의 경우 mid booting stage에서 50mg/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크기가 큰 화분의 빈도가 2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조건에서 처리된 약에서만 AA기본고체배지+8.0 mg/L 2,4-D+0.2 mg/L kinetin 배지에서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나 캘러스 형성률은 약 1.0%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초의 약배양 및 종간교배에 의한 반수체 배가계통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drogenic and Gynogenic Doubled Haploids from Inbred Cultivars)

  • 금완수;이승철;김달웅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6
    • /
    • 1988
  • Ten anther-derived doubled haploid (ADH) and 10 maternally-derived doubled haploid fines (MDH) from NC 2326 were evaluated in the field to compare their performance. Both anther-derived doubled haploid and maternally-derived doubled haploid lines were agronomically inferior to selfed parental variety for many parameters, but the degree of inferiority of the MDH lin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elfed parental variety for any character investigated. The inferiority of the ADH lines were, howeve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elfed parental variety for yield, leaf length and width , and days to flower.

  • PDF

연초(Nicotiana tabacum L.)에 있어서 반수체 육종법, 1주 1계통법, 집단육종법에 의한 육성계통의 비교 I. 약 배양 및 종간교배에 의한 반수체 배가계통의 특성 (Comparison of Lines from Anther and Maternally-derived Dihaploids, Single-seed Descent and Bulk Breeding Method in Flue-cured Tobacco (Nicotiana tabacum L.) I. Comparison of Dihaploid Lines from Anther and Maternally-derived(N.tabacum X N.africana))

  • 정윤화;이승철;김달웅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88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94-95
    • /
    • 1988
  • PDF

Plant Regeneration from Anther Culture of Panax ginseng

  • Lee, Hee-Young;Khorolragchaa, Altanzul;Sun, Myung-Suk;Kim, Young-Joon;Kim, Yu-Jin;Kwon, Woo-Seang;Yang, Deok-Ch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88
    • /
    • 2013
  • The research concerned of the regeneration of plants from embryos obtained from anther cultures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regeneration medium on the efficiency of the regeneration process. W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such as cold pretreatment,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arbon sources on anther culture of P. ginseng. Highest callus formation rate was obtained when flower buds pretreated at $4^{\circ}C$ for 1 day. Among the treated growth regulators with various degrees of concentration i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4.53 ${\mu}M$ of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and 4.44 ${\mu}M$ of 6-benzylaminopurine gives the most responsive callus with the frequency of 73.89% and 129.53 g of fresh weight. When we used 3-9% of sucrose and maltose among the different kinds and various concentrations of carbohydrates, callus was formed highest 67.29% in the medium with 3% of sucrose. Shoots induced from callus supplemented with 28.9 ${\mu}M$ of gibberellic acid and rooted in Gamborg's B5 medium supplemented with 14.7 ${\mu}M$ of indole-3-butyric acid.

벼 수잉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품종간 반응 (Varietal Differences of Low Temperature Response at Booting Stage in Rice)

  • 김기식;김재록;윤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6-112
    • /
    • 1989
  • 중북부 지방의 장려품종중 통일형은 태백벼 외 4품종, 일반형은 대성벼 외 14품종 등 함계 20품종에 대하여 유수분화기부터 출수시까지 장기령수(19$^{\circ}C$)를 처리하여 직물체 부위에 나타나는 장해 정도, 약과 화분의 변화, 형질, 화분염성 등을 조사하여 품종간 저온반응을 조사하였다. 1. 출수지연은 통일형과 일반형과의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태백벼, 풍산벼, 설악벼, 백양벼, 백암벼 증이 10~15일로 가장 컸다. 2. 간장단축률은 1.6~21.3%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단축이 가장 심했던 품종은 태백벼였고, 가정 적었던 품종은 가야벼, 진흥이었다. 3. 수장의 단축률은 2.9~26.6%RK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가장 심했던 품종은 태백벼, 가장 적었던 품종은 천마벼였다. 4. 약장의 단축률은 1.71~2.51mm까지. 저온처리구는 1.01~1.61m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저온처리시 약의 형태를 보면 구부러진 것, 길이와 너비가 줄어든 것, 길이만 단축된 것 등 여러 가지 관찰되었다. 5. 약당 화분수는 자연구에서 420~620 개까지 있었으나 저온처리구는 화분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41~294개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화분염성은 7.3~80.6%까지 있었다. 6. 화분의 형태는 정당적인 것은 원형이고 염색도 잘 되었으나, 저온장해를 받은 화분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쭈그러졌거나 내용물이 불충실한 것, 형태는 정상이나 크기가 작아진 것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7. 저온처리구의 수량은 자연구에 비해 백암벼 외 8품종이 20% 이하였고, 오합며 외 5품종은 21~40% 수준이었고, 상풍벼 외 4품종은 41% 이하으로서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 PDF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별 화기 특성 및 형태적 관찰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Organ in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Cultivars)

  • 김수진;배강순;고상욱;김호철;김태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5-242
    • /
    • 2015
  • 국내 도입된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블루베리의 형태적 및 품종별 화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블루베리의 수술의 형태를 보면 화사는 판형이었고 모용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개약 시 약벽이 열개되지 않고 돌출된 두 개의 관으로 꽃가루가 배출되어 독특하였다. 화분은 3월 하순경에 감수 분열된 후에 분리되지 않은 채로 성숙한 사분자 화분(tetrad pollen)이었다. 약당 사분자 화분립 수는 400~1,300개였으며, 화분립 수가 많은 품종이 발아율도 높은 편이었다. 블루베리의 암술은 5개의 심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주는 갈라진 부분이 없이 하나였다. 자방당 배주 수는 39~67개 정도였으며, 각 품종별로 변이 계수가 11.6~31.0%로 큰 편이었다. ‘Bluejay’와 ‘Sharpblue’간의 자가 및 타가교배 결과 자가교배보다 타가교배에서 종자 형성률이 높았다.

Effect of 2,4-D on embryo formation and its morphology in anther culture of herbaceous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 Park, Gyu-Hwan;Kim, Dai-Hee;Kim, Jin-Ho;Choi, Yong-Hwa;Oh, Jung-Youl;Kwon, Yong-Sham;Kim, Myung-M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19-21
    • /
    • 2002
  • The pathway of embryos formed anther culture in herbaceous peony was influenced by addition of 2,4-D. MS medium with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lone did not arise direct embryogenesis, but was proliferate callus. Embryos through calli were produced on medium containing 0.2 mg/1 zeatin or without growth regulators. Direct embryogenesis was obtained from MS basal medium. However, after the anthers were cultured on medium with 0.1 mg/1 2,4-D, 3 g/1 AC, 30 g/1 sucrose, 2 g/1 gelrite for 40 days. Its efficiency (32.3 %) was markedly improved when anthers cultured on medium without 2,4-D. Embryo morphology was also affected by the 2,4-D used in medium. The induction of normal embryos with two cotyledons was higher in the embryos formed through direct embryogenesis than those formed callus. The embryos formed from calli were mainly showed abnormal embryo with one, three, four cotyledons or hors and bowling pin type.

  • PDF

Isolation of Gamma-Induced Rice Mutants with Increased Tolerance to Salt by Anther Culture

  • Lee, In-Sok;Kim, Dong-Sub;Hyun, Do-Yoon;Lee, Sang-Jae;Song, Hi-Sup;Lim, Yong-Pyo;Lee, Young-Il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51-57
    • /
    • 2003
  • Doubled haploids have long been recognized as a valuable tool in plant breeding since it not only offers the quickest method of advancing heterozygous breeding lines to homozygosity, but also increased the selection efficiency over conventional procedures due to better discrimination between genotypes within any one generation. Salt tolerant mutants were obtained in rice the variety, 'Hawsungbyeo', through in vitro mutagenesis of in vitro cultured anther-derived calli. Various doses (30, 50, 70 and 90 Gy) of gamma ray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diation on callus formation on medium containing 1% NaCl, green plant regeneration, frequency of selected doubled haploid mutants and of the salt tolerant scree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dose of 30 and 50 Gy gamma rays had significant effects on callus formation, regeneration and selection of salt tolerance. No tolerant lines were obtained from non-mutagenized cultures. From gamma ray irradiated cultures, five tolerant lines ($M_2$generation) at germination stage and 13 tolerant lines ($M_3$genoration) at seedling stage were obtained. The frequency of salt tolerant mutants indicates that anther culture applied in connection with gamma rays i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salt tole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