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loop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6초

Combination loon archwire와 활주역학을 이용한 상악전치의 후방 견인시 나타나는 초기 응력 분포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n the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f the upper anterior teeth retraction using combination loop archwire and sliding mechanics)

  • 임강순;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3-312
    • /
    • 2004
  • 전치의 후방 견인시 교정력은 치아의 저항중심에서 벗어난 브라켓을 통해 적용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경사이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호선에 curve나 전치부 호선에 치근 설측 토그를 부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는 combination loop archwire와 hook을 이용한 활주역 학을 이용하여 전치를 후방 견인 시, compensating curve를 0도, 15도, 30도 부여하고, 이 때 나타나는 효과를 광탄성법으로 비교 연구하기 위하여 치아와 치조골 모형을 광탄성 모형으로 대체시키고 와이어와 브라켓을 주어진 조건으로 위치시 킨 후 편광판을 이용하여 초기 응력 상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ombination loop archwire와 활주역학으로 전치를 후방 견인 시 compensating curve가 0도, 15도, 30도로 증가할수록 전치부 치근단 부위의 최대 무의차수가 감소하였다. 2. Combination loop archwire와 활주역 학으로 전치를 후방 견인 시 compensating curve가 0도, 15도, 30도로 증가할수록 견치와 소구치 부위의 최대 무의차수가 증가하였다. 3. Combination loop archwire로 전치를 견인할 때보다 동일한 힘을 사용하여 활주역 학으로 견인할 때 전치부 치근단 부위에서 다소 낮은 무의차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Combination loop archwire와 활주역학을 이용한 상악전치의 후방 견인시 견인방법에 큰 차이 없이 호선에 부여한 compensating curve는 전치의 설측 경사이동 양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힘의 적용위치가 저항중심에 더욱 가까운 hook을 이용한 활주 역학이 전치의 설측경사 방지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가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부분적으로 설명하여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ing할 경우, arch perimeter의 증가량은 Curve of Spee의 최대 길이의 1/2보다 적게 나타났다.$(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 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 면적 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circ}\;와\;90^{\circ}$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 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circ},\;15^{\circ},\;30^{\circ},\;60^{\circ}$ peel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보이고, Unitek사의 경우 압흔과 함께 pitting 이 관찰되며, Ormco Stainless Steel의 경우 불규칙한 pitting이 다수 존재했다

상악 4절치의 후방견인시 나타나는 현상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PHENOMENON PRODUCED DURING RETRACTION OF FOUR MAXILLARY INCISORS)

  • 천옥진;김태우;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5-541
    • /
    • 1995
  • 상악치열에서 제 1 소구치를 발거하고, 이 위치로 견치를 후방이동시킨 상태에서 retraction archwire를 사용하여 상악 4절치를 한 묶음으로 후방견인시켰을 때 초기에 나타나는 모든 힘 체계와 개개치아의 이동양상을 살펴보고 바람직하지 않은 치아이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먼저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상악 치아와 치근막의 해부학적 형태 및 생체적 특성을 컴퓨터로 재현시키고 모형화된 브라켓을 부착시킨 후, beam요소를 사용하여 5종의 retraction loop를 하나씩 부여한 다섯 가지의 탄선을 모형화하고, 브라켓과 탄선간에는 gap요소를 사용하여 모형화함으로써 전체 유한요소 모형을 완성하였다. loop의 형태, activation 의 양, gable bend와 torque의 조건에 따른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각 조건을 변화시켜 loop를 activation시켰을 때 탄선이 발휘하는 힘과 모멘트, 치아이동의 변위를 3차원적으로 정량적 및 가시적으로 평가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ear-drop loop archwire사용시 각 치아의 근원심이동 및 설측이동이 발치공간 폐쇄에 도움이 되었으나, 바람직하지 못한 상하이동과 각 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부가적으로 나타났다. 2.다섯 가지의 retraction archwire중 T-loop archwire에서 공간폐쇄에 도움이 되는 치아이동이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각 방향으로의 회전이동 역시 가장 작게 나타났다. 3. tear-drop loop archwire에서 activation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공간폐쇄에 도움이 되는 치아이동이 점차 증가했으나, 바람직하지 못한 상하이동과 각 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함께 증가했다. 4. tear-drop loop archwire에서 loop의 전후방에 gable bend부여시 전치에서 근원심방향의 치체이동에 도움이 되었으나, 모든 치아에서 상하이동과 각 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함께 증가했다. 5. tear-drop loop aichwire의 절치부에 치근 설측 torque 부여시 이들 치아의 순설경사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었으나, 그 반작용으로 견치 치관의 설측회전이 크게 증가했으며, 전치의 상하이동과 모든 치아에서 각 방향으로의 회전이동이 증가했다.

  • PDF

Assessment of the anterior loop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vi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Shaban, Baratollah;Khajavi, Amin;Khaki, Nasim;Mohiti, Yones;Mehri, Tahere;Kermani, Hamed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6호
    • /
    • pp.395-400
    • /
    • 2017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t anatomical variants of the anterior loop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AN) vi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CBCT images of 71 patients (36 males and 35 females) were evaluated. We used the classification described by Solar for IAN evaluation. In this classification, three different types of IAN loops were introduced prior to emerging from the mental foramen. We classified patients according to this system and introduced a new, fourth type. Results: Type I was seen in 15 sites (10.6%), type II in 39 sites (27.5%), and type III in 50 sites (35.2%). We found a new type in 38 sites (26.8%) that constituted a fourth type. Conclusion: We found that type III was the most common variant. In the fourth type, the IAN was not detectable because the main nerve was adjacent to the cortical plate and the incisive branch was thinner than the main branch and alongside it. In this type, more care is needed for surgeries including inferior alveolar and mental nerve transposition.

전치부(前齒部) 치간리개(齒間離開)에 관(關)한 교정학적(橋正學的) 고찰(考察) (ORTHODONTIC CONSIDERATION ON THE SPACING OF ANTERIOR TEETH)

  • 최병택;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1984
  • Anterior spacing is one of the interesting phenomena in clinical orthodontics and presents difficulties in determining the etiology and the retention method. Only through the careful examination can orthodontists reach the correct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and every orthodontist should get rid of the cause to obtain good results. The author considered about the treatment and the retention method of the anterior spacing according to etiology and presented two eases of anterior spacing. In the first ease, the etiology was simple arch length discrepancy with excessively protruded anteriors. In the second ease, the etiology was the same as the above but the patient had the tongue thrusting habit. Both the eases showed the thin fibrous tissue bands between the upper central incisors but only the second case wa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is tissue. The permanent retention loop which is non-surgical was applied to the ease and the results were acceptable.

  • PDF

상악 중절치 후방 이동시의 이동양상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 STUDY ON THE PATTERN OF MOVEMENT DURING RETRAC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BY FINITE ELEMENT METHOD)

  • 장재완;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617-634
    • /
    • 1991
  • The retraction of anterior teeth is one of the fundamental methods in orthodontic treatment and a proper position and angulation of anterior teeth after the retraction are very important for esthetics, stability, and function of teeth.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periodontal ligament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force and moment applied on the crown and predict the pattern of movement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force and moment caused by activation of the loop which was used for retraction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analyzed by Finite Element Method. W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1) We could control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periodontal ligament by proper moment/force ratio on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and predict the pattern of movement of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2) The amount of stress on the periodontal ligament as well as the moment/force ratio demanded by each pattern of movement increased as the destruction of alveolar bone was worse. 3) The moment/force ratio demanded by each pattern of movement decreased as the angle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occlusal plane decreased. 4) The force with the open loop was shown to be large compared to that with the closed loop. Also, the force with the helix decreased by 30%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helix. 5) Under the same conditions we observed a larger moment/force ratio when the open loop and/or the helix were used.

  • PDF

호선에 부여한 loop와 교정용 고무가 치궁만곡도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THE EFFECT OF LOOPS IN ARCH WIRE AND ORTHODONTIC ELASTICS IN RELIEF OF CURVE OF SPEE)

  • 이병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85-492
    • /
    • 1993
  • Multiloop Edgewise Archwire(MEAW) is effective in relief the Curve of Spee in mandibular arch but up Sl down orthodontic elastics must be used with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effect of orthodontic elastics, like as up & down elastics, Class II elastics, and Class III elastics, and the effect of L loop in Multioop Edgewise Archwire. 1. Intrusive force of MEAW in anterior teeth was reduced and uprighting force in premolars was increased by up & down elastics. 2. Uprighting force was significintly increased with Class III elastics in multiple L loop arch wire. 3. The force of Class II elastics made molars tip mesially and Curve of Spee deep.

  • PDF

Segmented TMA T-loop spring에 의한 견치 후방이동시의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법적 분석 (A photoelastic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on canine retraction by segmented TMA T-loop spring)

  • 윤영주;김광원;유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99-207
    • /
    • 2001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전치부 crowding을 해결하기 위한 견치의 단독견인 방법중 새로운 segmented TMA T-loop spring으로 견치 후방견인시 치근단과 그 주위 치조골에서의 응력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PL-3 epoxy resin으로 광탄성 모형을 제작하여 B/L ratio가 0.25, 0.5, 0.75인 위치로 T-loop을 위치시키고 각 위치에서 5mm, 3mm, 1mm activation하였다. 이후 광탄성 응력 해석장치를 이용하여 견치견인시 치근단과 그 주위 치조골에서의 초기 응력 상태를 광탄성법으로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looP 위치에 상관없이 activation량이 감소할수록 상악 1소구치 발치부위에 응력이 감소하였고 상악 1대구치의 함입응력은 증가하였다. 2. 5mm activation시 T-loop위치가 구치부쪽으로 이동할수록 상악 1소구치 발치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다. 3. 3mm activation시 T-loop위치가 구치부쪽으로 이동할수록 상악 1소구치 발치부위와 상악 1대구치 협측 근심치근 근심면하방 1/2부위에 응력이 증가하였다. 4. 1mm activation시 T-loop위치가 견치쪽으로 이동할수록 상악 견치의 근심치근면 상방과 치근첨 하방의 응력이 증가하였다. 5. B/L ratio가 0.25이고 3mm activation시 상악견치의 치체이동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segmented T-loop spring의 근, 원심 위치 와 activation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치아이동과 고정원 조절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

상악전치 후방 견인시 견인 loop후방에 부여한 gable bend 양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on the tooth movement pattern during on-masse space closure in the maxillary dentition)

  • 전윤식;노준;정상혁;김희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3-45
    • /
    • 2004
  • 제 1소구치가 발치된 증례에서 bull loop를 견치 직후방에 제작한 후 gable bend를 어느 정도 부여할 때 전치부의 효과적인 치축조절과 후방 이동량을 극대화 할 수 있는지를 입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제 1소구치가 제거된 상악우측 인공 치조골부에 중절치부터 제 2대구치까지 실험용 치아들을 식립하였다. 그 후 bull-loop가 형성된 반쪽 호선에 $10^{\circ},\;20^{\circ},\;30^{\circ}$의 gable bend를 부여한 후 3전치를 후방 견인하여 발치공간을 폐쇄시켰고 이러한 실험과정을 각 군마다 3회씩 반복 실험하였다. 발치공간이 폐쇄된 후 실험전, 후의 교합방사선 사진상에 촬영된 전치부와 구치부의 시상면과 교합면 상에서의 각 군별 치아이동 양상을 일요인 분산분석(ANOVA)과 Scheffe 검정으로 평가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Gable 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치축은 치체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후방 이동량도 증가하였다. 2. Gablebend의 양이 증가할수록 구치부의 전방 이동량은 감소하였으나 수직적 압하량 및 협측 이동량은 증가하였다(p<0.001). 3. 발치공간에 인접한 견치의 원심회전과 제 2소구치의 근심회전에 의해 악궁의 조화가 이루어졌다(p<0.001).

비대칭성 하악골 전돌증을 동반한 Angle씨 III급 부정교합의 치험 예 (A CASE REPORT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WITH ASYMMETRIC MANDIBULAR PROGNATHISM)

  • 유영규;손병화;박영철;김관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6
    • /
    • 1982
  • 20 years old female patient with asymmetric mandibular prognathism had anterior openbite, anterior cross-bite and mandibular shift. This patient was treated with both orthodontic and surgical method. Maxillary second molars were extracted to reduce the wedging effect and maxillary first molars moved to distal by straight pull head gear. After orthognathic surgery, open-bite was corrected with multiple shoe-loop arch wire.

  • PDF

Ruptured Total Intrameatal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neurysm

  • Kim, Hyung Cheol;Chang, In Bok;Lee, Ho Kook;Song, Joo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2호
    • /
    • pp.141-143
    • /
    • 2015
  • Among the distal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aneurysms, a unique aneurysm at the meatal loop inside the internal auditory meatus is extremely rar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urgically treated total intrameatal AICA aneurysm. A 62-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ing with sudden bursting headache and neck pain was transferred to our department. Computed tomography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showed subarachnoid hemorrhage at the basal, prepontine cistern and an aneurysm of the distal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inside the internal auditory meatus. Surgery was performed by retrosigmoid craniotomy with unroofing of the internal auditory meatus. The aneurysm was identified between the seventh and eighth cranial nerve in the meatus and was removed from the canal and clipped with a small straight Sugita clip. After operation the patient experienced transient facial paresis and tinnitus but improved during follow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