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hor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7초

횡 파열로 오인하게 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증례 보고 - (Abnormal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to misdiagnosis to horizontal tear - A case report -)

  • 김동희;곽지용;박진성;황선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28
    • /
    • 2011
  • 23세 남자 환자에서 MRI 소견상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의 횡파열 소견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소견의 많은 형태들이 보고 되었으나 저자들의 경우에서처럼 자기공명영상 소견에서 반월상 연골 파열로 진단 되었으나 실제 관절경 소견으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비정상적 부착으로 인해 오인된 경우에 해당되는 드문 경우를 경험 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의 비정상적 부착 - 1례 보고 - (Anomalous Insertion of Pos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민병현;옥순종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48
    • /
    • 2001
  • 내측 반월상연골의 전각부는 경골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횡인대에 의하여 외측 반월상연골 전각부와 연결되어 있다. 후각부는 후방 십자 인대 경골부착부 바로 전방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관절경 검사상 반월상연골의 후각부가 경골의 정상적인 부위에 부착되어 종지되지 않고 전각부 하방까지 부착부위가 연장되는 반월상연골이 관찰되어 저자들은 이와같은 비정상적인 내측 반월상연골 1례 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반월상 연골 전각의 깊은 수평 파열에서의 간단한 관절경 하부 연골편 절제술 - 수술술기 - (A Simple Arthroscopic Resection Technique for Inferior Leaf of the Deep Horizontal Tear in the Anterior Meniscal Horn - Technical Note -)

  • 이기병;이석범;장호근;문영완;강기훈;김계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2-65
    • /
    • 1999
  • 반월상 연골의 수평 파열은 대개 외측의 관절막까지 이환될 경우가 많고, 여러 방향으로 찢어진 소견이 많으며, 상부와 하부의 두 연골편 중 안정성이 보존된 부위를 보존해야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어떠한 모양의 파열보다도 치료가 기술적으로 어렵다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이 같은 수술시 관절경칼을 이용하여 전각 연골 파열부의 외측에 위치한 연골 경을 인대에 약 5mm 정도의 절개를 가한 후, 절개 부위를 통하여 Retrograde punch를 수평 파열된 전각의 하부 연골편의 밑으로 밀어넣어 전각의 하부 연골편 내연부터 절제하여 외측 관절막 방향으로 필요한 만큼의 연골을 모두 절제하였다. 저자들은 내측 또는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각에 발생한 깊은 수평 파열에서, 기존의 관절경 수술 방법으로는 상부의 연골편을 남기면서 하부의 연골편을 적절히 절제하기 힘든 경우 간단히 사용될 수 있는 관절경 전각 하부 연골편 절제술을 고한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측 원판형 연골 전각부의 전방십자인대 전방부로의 부착변형에 관한 증례보고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Discoid Lateral Meniscus into the Anterior ACL - A Case Report -)

  • 이상훈;이승림;노정호;류호광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5-169
    • /
    • 2009
  • 외측 연골은 형태적으로 내측 연골보다 더 다양하다. 외측 연골의 변이형태는 크기, 형태, 안정성 관점에서 다양하다. 다양한 형태는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형태는 외측 원판형 연골이다. 저자들은 최근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가 전방십자인대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이 동반된 외측 원판형 연골을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5세 여자 환자로 특별한 외상력없이 3~4년간 슬관절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되었다. 관절경 검사상에서는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가 전방십자인대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이 동반된 완전형 외측 원판형 연골로 복합파열이 동반되어 있어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 PDF

슬관절 후내측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한 외측 구획의 관찰 (Observation of Lateral Compartment through Posteromedial Trans-posterior Septal Portal in Knee Joints)

  • 이군식;박한성;김상효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59
    • /
    • 2005
  •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 내시경 수술은 슬관절 후방부에 위치한 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술기이다. 저자들은, 후내측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하여 환자의 다리를 4자 형태로 압력을 가해 외측 관절 간격을 넓힘으로써 후각부의 하인을 제외한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부분 특히, 전각부의 하연과 전각부 아래의 경골외과를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또, 수술시 후방에서 시야확보가 가능하여 전내측 및 전외측 삽입구를 통해 혼잡(clouding)이 없이 기구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외측 구획의 수술 특히, 전방부의 수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의 관절경 수술 소견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와의 비교 (Comparison the Preoperative MRI Findings with Postoperative Arthroscopic Findings on Meniscus Injury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손홍문;이광철;김동휘;박상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52
    • /
    • 2012
  •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되는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 대해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검사 소견과 수술 후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본원에서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받은 2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154예였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 판독 결과와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여 위치 및 모양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전방십자인대와 동반된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의 민감도는 0.88이었고, 전방십자인대와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진단의 민감도는 0.69였다. 또한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동반된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는 후각 및 변연부 파열 시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는 전각 및 판상 파열 시 민감도가 낮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된 반월상 연골판 손상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진단하기 어려운 외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 및 변연부 파열에 대해서는 관절경 수술 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다.

  • PDF

증상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 전각부의 비정상적 삽입 - 1예 보고 - (Symptomatic Abnormal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Medial Meniscus - A Case Report -)

  • 유재두;신상진;김태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49
    • /
    • 2007
  • 11세 여환의 증상을 유발하는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비정상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내원 4개월 전부터 지속된 좌측 슬관절의 동통을 주소로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았으나, 치료에 반응이 없어 관절경 술식을 시행받았다. 관절경 소견상 환자의 내측 반월상 연골판 전각에서 기시하는 비정상적인 띠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이 띠는 전방십자인대 옆을 지나 대퇴골 과간 절흔으로 뻗어나가 대퇴골 내과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비정상적인 소견을 보였다. 이 비정상적인 띠는 수술 전 시행한 슬관절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관절경 시행시 발견되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술 시행 후 술 전 호소하던 증상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

Hypopharyngeal Wall Exposure within the Surgical Field : The Role of Axial Rotation of the Thyroid Cartilage during Anterior Cervical Surgery

  • Choi, Byung-Kwan;Cho, Won-Ho;Choi, Chang-Hwa;Song, Geun-Sung;Kim, Choon-Grak;Kim, Hak-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5호
    • /
    • pp.406-411
    • /
    • 2010
  • Objective : Esophageal/hypopharyngeal injury can be a disastrous complication of anterior cervical surgery. The amount of hypopharyngeal wall exposure within the surgical field has not been stud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nce of hypopharyngeal wall exposure by measuring the amount of axial rotation of the thyroid cartilage (ARTC) and posterior projection of the hypopharynx (PPH). Methods : The study was prospectively designed using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We measured the amount of ARTC in 27 cases. The amount of posterior projection of the hypopharynx (PPH) also was measured on pre-operative CT and compared at three different levels; the superior border of the thyroid cartilage (SBTC), cricoarytenoid joint and tip of inferior horn of the thyroid cartilage (TIHTC). The presence of air density was also checked on the same levels. Results : The angle of ARTC ranged from $-6.9^{\circ}$ to $29.7^{\circ}$,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ervical group. The amount of PPH was increased caudally. Air densities were observed in 26 cases at the SBTC, but none at the TIHTC. Conclusion : Within the confines of the thyroid cartilage, surgeons are requir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status of hypopharynx/esophagus near the inferior horn of the thyroid cartilage. The hypopharynx/esophagus at the TIHTC is more likely to be exposed than at the upper and middle part of the thyroid cartilage, which may increase the risk of injury by pressure. Surgeons should be aware of the fact that the visceral component at C6-T1 surgeries also rotates as much as when the thyroid cartilage is engaged with a retractor. The esophagus at lower cervical levels warrants more careful retraction because it is not protected by the thyroid cartilage.

자돈뇌실(仔豚腦室) 주위의 subependymal layer의 형태(形態)에 관한 관찰(觀察) (Morphological observation on the subependymal layer of swine brain)

  • 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1-226
    • /
    • 1988
  • Normal swine brains at 1 to 70 days after birth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and morphology of the subependymal layer (SL) in the ventricle walls. The brain samples were taken from 27 pigs of 4 swine breed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SLs were observed on the walls of the lateral ventricle (LV) but none were observed on the walls of the 3th and 4th ventricles. 2. SLs of the LV walls were composed of mainly 3-to 10-cell layers in thickness. The thinest region of SLs was composed of only 1-to 2-cell thick on the dorsal and ventral walls, and the thickest region was composed of 250-to 300-cell thick on extension region of the SLs into the angle between the corpus callosum and caudate nucleus. 3. Of the LV parts observed, the SL thickness were 25-to 45-cell thick on the anterior horn, 3-to 10-cell thick on the body, 100-to 220-cell thick on the angle region between the corpus callosum and caudate nucleus, and 3-to 5-cell thick the superior walls of the posterior horn. Also the SL thickness was more thick on the anterior region than those on the posterior region. 4. SLs may be classified as three types by the cell distribution; one type of them is closely arranged cell region with the distinctive lateral margin from the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the other type is loosely arranged cell region with the undistinctive lateral margin, and another type is two-subdivided region as the loosely and closely arranged cell layers in a layer. 5. SLs were extensively thick in young age but gradually decreased in size and cell number with age after 20-day age. SL layers were composed of mainly oligodendrocytes, astrocytes and immature cells of them.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SL in different breeds of pigs were not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