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rior dislocatio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4초

Biceps long head tendon revisited: a case report of split tendon arising from single origin

  • 김경천;이광진;신현대;변기용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165-165
    • /
    • 2008
  • A 27-year-old, right-hand-dominant woman with a post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3 months earlier after traYc accident presented because of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 right shoulder. On physical examination, the patient had negative instability tests and a sulcus sign. On arthroscopic examination, a bifurcate long biceps tendon with two limbs was observed about 1 cm distal to the origin in the supraglenoid tubercle. We found no evidence of a tear in the long biceps tendon on probing, and the margin of each limb was smooth and round. Although this anatomic variant may be benign, its presence might be associated with other shoulder pathology. It is interesting to speculate whether the aberrant biceps anatomy in our patient contributed to transfer of injury at dislocation to the rotator cuff rather than to the classic anterior-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In addition, recognition of the described anatomic variant on arthroscopy can aid the shoulder surgeon in focusing treatment on the actual pathology.

  • PDF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및 액와신경 손상을 동반한 견관절 전방탈구 - 4례 보고 -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with Massive Rotator Cuff tear and Axillary Nerve Injury - 4 Cases Report -)

  • 김도영;박현철;박용욱;이상수;서동현;강승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2호
    • /
    • pp.98-102
    • /
    • 2004
  • The terrible triad of the shoulder, a combination of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massive rotator cuff tear and neurologic injury, is rare. We experienced 4 patients with this condition who were treated with a rotator cuff repair. The mean age was 65 years. Follow-up averaged 27 months. All patients had a history of redislocation after initial traumatic shoulder dislocation and were evaluated with electromy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the operation, massive rotator cuff tear and hypertrophy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were found in all patients. Clinically, 3 patients achieved recovery of their nerve injury by 3 months postoperatively and the final results were fair. In one patient, there was no recovery of deltoid function and this case was rated as a failure. For this injury pattern, the prognosis appears to be dependent on eventual nerve recovery when the rotator cuff has been repaired early.

Anterior Dislocation of the Radial Head Combined with Plastic Deformity of the Ulnar Shaft in an Adult: A Case Report

  • Moon, Sang Won;Kim, Youngbok;Kim, Young-Chang;Kim, Ji-Wan;Yoon, Taiyeon;Kim, Seung-Chul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1호
    • /
    • pp.42-47
    • /
    • 2018
  • A 25-year-old woman presented to the emergency room with a painful and swollen right forearm. She had just sustained an injury from an accident during which her arm was tightly wound by a rope as she was lowering a net from a fishing boat. Before being released, her arm was rigidly trapped in the rope for approximately ten minutes. Radiographs revealed anterior dislocation of the radial head that was accompanied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proximal ulna, manifested as a reversal of the proximal dorsal angulation of the ulna (PUDA); suggested a Monteggia equivalent fracture. With the patient under general anesthesia, we reduced the radial head by posterior compression at $90^{\circ}$ of elbow flexion and at neutral rotation of the forearm. However, the reduction was easily lost and the elbow re-dislocated with even slight supination or extension of the arm. After the osteotomy of the ulnar deformity to restore the PUDA to normal, the reduction remained stable even with manipulation of the arm. We found that the patient could exercise a full range of motion without pain at the 3-month follow-up, and neither residual instability nor degenerative changes were observed at the final 3-year follow-up.

40세 이하에서 견관절 전방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내 병변 및 임상 결과 (Accompanying Lesions and Clinical Results in the Greater Tuberosity Fracture of the Humerus with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Under the Age of Forty)

  • 김두섭;윤여승;이동규;박현국;박장희;신존정헌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20-26
    • /
    • 2011
  • 목적: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경우 동반 병변을 조사하고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환자 중 40세 이하의 30명을 대상으로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동반 병변을 확인한 후 도관나사 고정 또는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을 시행하였다. Constant 점수와 Rowe 점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Bankart 병변 2예, 골성 Bankart 병변 4예, Perthes 병변 4예, free ALPSA 병변 2예, GLAD 병변 3예, 관절낭 파열 6예 관찰되었고, 회전근 개 부분 파열 5예 (16.7%), SLAP type I 2예 (6.7%), SLAP type II 병변 1예 (3.3%), 이두장건 파열 1예 (3.3%)가 관찰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술 전 평균 56.30${\pm}$11.83점에서 술 후 평균 94.43${\pm}$7.82점으로 증가하였고 (p=0.034), Rowe 점수는 52.56${\pm}$9.96점에서 91.76${\pm}$9.56점으로 증가하였다 (p=0.026). 결론: 견관절 전방 탈구를 동반한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동반 병변 확인과 골절 치료로 우수한 임상 결과와 골유합을 보였다. 2차 관절경 검사상 Perthes 병변, Free ALPSA 병변, GLAD 병변 및 관절낭 파열은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자연 치유되거나 더이상 손상의 범위가 증가되지 않았고 술 후 이차적인 불안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위와 연관되어 발생된 전치부 개교합 환자의 측방 두부방사선 계측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Developed Anterior Open Bite Following Anterior Disc Dislocation without Reductions)

  • 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55-263
    • /
    • 2006
  • 임상적으로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로 진단된 3명의 환자에서 이들은 모두 물리치료, 약물치료만이 행해진 환자로 내원 중에 갑작스런 교합변화 및 전치부 개교합을 나타내었다. 종래에 알려진 개교합의 발생은 류마티즘 관절염이나 양측과두의 심한 퇴행성 변화가 있는 경우에 상당한 과두지지의 상실로 후방지지를 잃게 되어 구치들이 과도하게 접촉하고 전치 개교합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나, 과두지지의 상실이 없는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만으로 특정 환자에서는 개교합의 발생이 가능하며 이는 구치부 치아의 증출에 의한 전치부 개교합이라 볼 수 없으며,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들 3환자들의 전체적인 골격적 특징은(1)구치부 앵글씨 1급 교합관계와 천피개 교합,(2)높은 하악하연각,(3)높은 하악각 등으로 봐서 상하악의 골격적 형태가 II급과 III급에 관계없이 수직적 성장이 강한 안모형태에서 갑작스런 개교합이 발생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개교합이 발생되는 관절원판전위 환자에서 하악의 후하방 회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러한 골격적인 특징이 측두하악장애의 원인 인자가 될 수 있는 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견관절 습관성 탈구의 관혈적 관절막 전위술과 관절경적 Bankart 병변 수복술 (Open Capsular Shift versus Arthroscopic Bankart Repair for Recurrent Dislocation of Shoulder)

  • 김정만;서정태;장정호;김택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1호
    • /
    • pp.47-52
    • /
    • 1999
  • The results of open capsular shift(Group 1) and arthroscopic trans glenoid Bankart repair(Group 2) for the recurrent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were compared. During a 4-year period, 25 patients were surgically treated. Fourteen shoulders had open Bankart procedure and capsular shift, and II shoulders were treated arthroscopically. A Bankart lesion was found in 12 out of 14 patients in Group I and all 11 patients in Group 2. Average follow-up period was 46 months for Group 1 and 23.4 months for Group 2. Group 1 showed 71.4% good to excellent results with 1 recurrent dislocation. Group 2 showed 90.9% good to excellent results with no recurrent dislocation. The cause of less favorable results of Group I compared with Group 2 was loss of external rotation postoperatively.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ults of arthroscopic Bankart repair was comparable to the open capsular shift in terms of stability, and the postoperative function was better than open capsular shift.

  • PDF

대퇴 연골편에 의해 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후외방 탈구 - 1예 보고 - (An Irreducible Posterolateral Dislocation of Knee by the Detached Femoral Cartilage - A Case Report -)

  • 김성태;이봉진;박우성;이상훈;김태호;이성락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6-129
    • /
    • 2007
  • 도수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는 아주 드물게 발생하며, 대부분의 도수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는 후외방 탈구 시 연부조직이 끼이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저자들은 51세 여자환자의 슬관절 탈구에서 박리된 대퇴 내과 연골편에 의해 정복이 불가능했던 지금까지 보고가 없었던 예를 경험하였고, 이를 관절경을 이용한 변연절제술로 연골편을 제거하여 관혈적 수술이 필요 없이 정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지연성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

3년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 개방적 정복술과 경첩 외고정 장치 - 1예 보고 - (Neglected Elbow Dislocation Occurred 3 Years Ago: Open Reduction and Hinged External Fixation - A Case Report -)

  • 김보건;김경천;박준영;신현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266-269
    • /
    • 2010
  • 목적: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45세 여자가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로 수술적 소견상 주관절 외측 및 내측 측부 인대는 구축되어 있어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후방 관절낭을 완전히 유리시키고 전방 관절낭을 절개한 이후 수동적 조작을 가하여 요상완 및 척상완 관절을 정복시켰다. 변형된 Morrey형의 경첩형 외고정 장치를 주관절부에 장착하고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저자들은 3년이 경과된 진구성 주관절 탈구에서 개방적 정복과 경첩형 외고정 장치를 이용한 고정술의 만족스런 결과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Velpeau view의 대체 검사법으로서 modified velpeau view의 제안 및 영상 비교평가 (Proposal of Modified Velpeau View as an Alternative Test Method of Velpeau View and the Visual Comparison)

  • 이재현;김상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23-328
    • /
    • 2010
  • 견관절 탈구나 골절로 인해 arm sliding를 착용한 환자에서 외전(abduction)이 불가능한 경우 superior-inferior axial projection view를 대신하여 시행하는 velpeau view는 탈구나 골절 환자가 상체를 뒤로 젖히는 자세를 취하기가 어려워 고통이 가중되었다. 하지만 환자의 상체를 숙여 검사하는 새로운 검사법인 'modified velpeau view'를 제안하며 검사 시 자세고정의 용이함과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2009년 10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견관절 탈구나 골절로 의심되어 본원에 내원한 환자들 중 velpeau view 처방을 받은 환자 20명과 정상인 30명을 대상으로 velpeau view와 modified velpeau view에서 wall-bucky와 환자의 상체 숙임각(30도, 45도, 60도, 75도)의 변화에 따른 골 구조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영상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0점부터 5점을 만점으로 영상이 평가되었다. 정상인군에서 wall-bucky와 상체의 숙임각 변화에 따른 골구조의 비교결과 45도와 60도가 velpeau view 와 비슷한 진단수준을 보였으며, 진단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영상평가 결과 velpeau view에서는 shoulder head의 anterior와 posterior, glenoid fossa의 anterior와 posterior를 관찰할 수 있었지만, modified velpeau view에서는 velpeau view에서 관찰되는 부위 뿐만 아니라 acromioclavicular joint와 coracoid process도 관찰할 수 있었다. modified velpeau view가 velpeau view와 비교시 velpeau view를 대체할 만한 수준의 진단적 가치를 지닌 유용한 검사임이 확인 되었다. 또한 modified velpeau view는 velpeau view position이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대체법으로서 뿐만 아니라 어깨 골절과 탈구 이외의 어깨 질환의 진단을 위한 새로운 검사로서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 다양한 시각에서의 연구와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