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ecedent Rainfall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선행강우를 고려한 제주하천 유출특성 분석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a Jeju Stream considering Antecedent Precipitation)

  • 양성기;김동수;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3-560
    • /
    • 2014
  •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in Jeju Island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in inland, due to highly permeable geologic features driven by volcanic island. Streams are usually sustained in the dry conditions and thereby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changes in terms of initiating stream discharge and its types, depending highly on the antecedent precipitation. Among various the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lag time mainly used for flood warning system in river and direct runoff ratio for determining water budget to estimate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re practically crucial. They are expected to vary accordingly with the given antecedent precipit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lag time in the measured hydrograph and direct runoff ratio, which are especially in the upstream watershed having the outlet as $2^{nd}$ Dongsan bridge of Han stream, Jeju, based upon several typhoon events such as Khanun, Bolaven, Tembin, Sanba as well as a specific heavy rainfall event in August 23, 2012. As results, considering that the lag time changed a bit over the rainfall events, the averaged lag time without antecedent precipitation was around 1.5 hour, but it became increased with antecedent precipitation. Though the direct run-off ratio showed similar percentages (i.e., 23%)without antecedent precipitation, it was substantially increased up to around 45% when antecedent precipitation existed. In addition, the direct run-off ration without antecedent precipitation was also very high (43.8%), especially when there was extremely heavy rainfall event in the more than five hundreds return period such as typhoon Sanba.

불포화토 사면 안정해석에서 선행강우의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Antecedent Rainfall in Stability Analysis of Unsaturated Soil Slope)

  • 이영생;윤승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073-1082
    • /
    • 2015
  • 불포화토 사면 거동은 불포화토의 수리학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 지반 투수계수, 지반 내 지층 구조, 강우조건 즉 강우강도, 강우패턴, 강우 지속시간, 선행강우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여러 요소 중 산사태는 사면 파괴 당시 강우조건보다 그 이전에 발생했던 선행강우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선행강우의 영향은 사면 안정성 해석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선행강우에 따른 사면 내 모관흡수력 분포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며 이후에 발생한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사면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경우 실트질 흙 함량 구성을 5%, 10%, 20%로 달리한 3가지 시료를 조성한 후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흙-함수특성곡선 시험을 수행하여 관련 매개변수들을 분석하였다. 한 달 동안의 선행강우 적용과 집중호우에 해당하는 12시간 동안의 강우가 지속적으로 내릴 때 불포화토 내 모관흡수력 분포 및 응력, 강도와 같은 역학적 특성 변화 등을 분석하고 사면안정 수치해석을 수행한 후 선행강우와 흙-함수특성곡선이 사면의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NRCS 유효우량 산정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을 위한 적정 선행강우일 결정 방안 (Determination of Suitable Antecedent Precipitation Day for the Application of NRCS Method in the Korean Basin)

  • 이명우;이충성;김형수;심명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1-48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유효우량의 산정방법으로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의 유효우량 산정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NRCS 방법은 미국내 유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것으로 미국과 우리나라 유역간의 차이에 대한 별도의 검증 없이 이를 그대로 사용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역에서 NRCS 방법을 적용할 때에 적합한 선행강수일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강수일수를 1일부터 7일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HEC-HMS 모형을 사용해 강우-유출 모의를 수행하여 탄부 소유역에 대해 가장 적절한 선행강우일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선행2일강수량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NRCS 방법을 우리나라 유역에 적용할 때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ndong Dam Inflow during Non-rainfall Season

  • Park, Gey-Hwan;Park, Ki-Bum;Chang, In-So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845-851
    • /
    • 2018
  • In this study,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non-rainfall period were examined using daily rainfall data from 1977 to 2017 and the data of runoff into the dam.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runoff decreases with longer non-rainfall periods in the Andong dam bas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on-rainfall days and average runoff reaches 0.8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during the non-rainfall period, based on the preceding rainfall of Andong dam are as follows.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non-rainfall period, shows that, for a rainfall of 1.0 mm or less, the runoff height was larger than the rainfall size and the base runoff larg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rainfall and runoff height was reached as high as 0.9864 in the 30 ~ 50 mm interval of the antecedent rainfall period, and this is the interval where the linearity of rainfall and runoff was at its maximum in the Andong dam bas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rainfall and the runoff height reached 0.92 for rainfalls of 100.0 mm. However, for rainfalls of 100.0 mm great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cedent rainfall and runoff height during the rainfall period was 0.64, which is relatively smal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rainfall period in the Andong dam watersh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 runoff decreased with rainfall duration. The linearity was found to be weak for rainfall events greater than 100.0 m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for water balance analysis and for formulating a water supply plan to establish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Andong dam.

선행강우와 현장 모관흡수력을 고려한 산사태 해석 방법 제안 (Proposal of Design Method for Landslides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and In-situ Matric Suction)

  • 김정환;정상섬;김용민;이광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2호
    • /
    • pp.11-2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산사태 발생 메커니즘인 강우침투현상과 현장 모관흡수력을 고려한 산사태 해석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산사태가 발생된 지역을 선정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역의 시료를 채취하여 함수특성곡선(SWCC)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불포화 투수계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초기 모관흡수력과 강우발생에 따른 모관흡수력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현장계측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산사태 해석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국내 강우특성을 고려한 비탈면 설계를 위하여, 강우패턴에 따른 습윤대 깊이와 안전율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선행강우 효과를 고려한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여 비탈면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습윤대 깊이 변화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산사태 해석 방법은 지반의 불포화 특성과 선행강우 효과를 고려할 수 있으며, 산사태 발생 위치를 적절히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우발생 시, 강우량이 후반부에 집중된 강우패턴에서 비탈면의 안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선행강우는 비탈면의 모관흡수력을 감소시켜 불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이후 발생된 강우로 인해 습윤대가 깊어지면서 비탈면 파괴 위험이 증가한다.

선행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D curve) 분석 (Rainfall Threshold (ID curve)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ediction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 홍문현;김정환;정경자;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15-2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사태 발생을 예측하기 위하여 선행강우의 영향을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ntensity-Duration, ID curve)을 제안하였다. 1999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유발된 202개의 산사태에 대하여, 기상청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산사태 발생 시점 이전의 시강우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선행강우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강우사상간 시간(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을 6, 12, 24, 48, 72, 96시간으로 구분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강우기준을 제안하였다. 국외의 산사태 유발강우기준과 제안된 유발강우기준을 비교하였으며, 선행강우에 대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경우 비교적 낮은 강우강도에서 산사태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ETD가 증가할수록 산사태 유발강우기준의 기울기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단기간의 강우에 대해서는 산사태 유발강우기준(강우강도)이 높아지고, 장기간의 강우에 대해서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14년도에 국내에서 발생한 산사태 재해이력을 이용하여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ID curve가 산사태 유발을 비교적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강우의 영향에 따른 불포화토의 침투특성 분석 (Effect of Antecedent Rainfall on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in Unsaturated Soil)

  • 윤귀남;신호성;김윤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8호
    • /
    • pp.5-15
    • /
    • 2015
  • 불포화 지반에서 선행강우에 의한 강우침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편마암 풍화토에 대한 일차원 실내강우 침투실험을 수행하였다. 춘천 및 충주지역 시료에 대한 실내모형실험에서 불포화토의 음의 간극수압은 강우 재하시 급격히 감소하고, 강우 종료후 점차 회복되었다. 강우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투속도가 증가하였으며, 선행강우시보다 본강우에서 침투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강우에 의하여 증가된 지반의 높은 포화도가 본강우시 강우침투속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점토함유량이 많은 충주시료에서 음의 간극수압의 회복 속도와 침투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유한요소 사면안정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는 강우 침투에 의한 음의 간극수압의 감소에 따른 사면 안전율을 감소와 강우 종료후 간극수압의 확산에 의한 추가적인 사면 안정성 저감을 보여주고 있다. 사면의 안전율은 선행강우시 보다 본강우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선행강우는 불포화지반의 초기 간극수압의 크기와 깊이별 패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강우 사면의 안정성 해석에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SCS 유효우량 산정방법 적용을 위한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장평유역을 중심으로) (Revised AMC for the Application of SCS Method)

  • 박정훈;유철상;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78-582
    • /
    • 2005
  •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found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AMC) in SCS runoff curve number method are reviewed. Although the runoff volume is very sensitive with AMC condition, the AMC class limits developed in SCS(1972) are used in rainfall-runoff analysis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Tn this study, following the SCS curve number development process,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Jang-Pyung subbasin subject to the Pyung-Chang River basin are analyzed to evaluate the reasonability of the AMC class limits at present. The New AMC class limits are proposed by the sensitive analysis of the antecedent rainfall - curve number value. As a result, the classification value of AMC-I with II is 22mm of antecedent 5-day rainfall amount, and the classification of AMC-II with III is 117mm in growing season. When the New AMC class limits are applied to Jang-Pyung subbasin, AMC probability distribution shows that the AMC-II has increased remarkably even though the AMC-I has a little higher value. But the AMC-III has the smallest one. According to the conceptual basis of the curve number method, the AMC probability distribution, the New AMC class limits adopted, gives reasonable results.

  • PDF

SCS 방법 적용을 위한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2. 선행토양함수조건의 재설정 (Revised AMC for the Application of SCS Method: 2- Revised AMC)

  • 유철상;박정훈;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11호
    • /
    • pp.963-9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선행 5일부터 2일까지 아울러 선행강우량 기준을 다양하게 바꾸어가면서 적절한 AMC의 구분기준을 탐색하였다. AMC 구분기준은 관측된 CN(I) 및 CN(III)가 실제 CN(I) 및 CN(III)로 분류되는 빈도가 최대인 경우로 결정하였다. 이 기준을 적용하여 AMC 발생비율을 분석한 결과 선행 2일과 3일의 경우는 다양한 호우사상의 부족으로 인해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기가 어려웠고, 선행 4일 및 5일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뢰할 만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선행 4일과 5일의 경우 모두에서 AMC-II는 증가하며 최대 유출조건인 AMC-III도 크게 감소하여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내 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선행 5일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AMC-II의 발생비율이 더 크고 CN(I)의 상대도수가 4일의 경우보다 높으므로 선행 5일 기준을 채택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선행 5일 강우량을 이용하는 경우 장평소유역의 AMC-I, 및 AMC-III의 구분기준은 각각 22mm, 117 mm 정도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