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tarctic Scienc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북동태평양지역의 방산충 생층서 및 고해양환경 연구 (Radiolarian Biostratigraphy and Paleoceanographic Study from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 김기현;박정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27-136
    • /
    • 1999
  • Radiolarian assemblages from KODOS area we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biostratigraphy and paleoceanography of deep-sea sediment from the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The sediment core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units on the basis of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the upper sediment, mixtures of Quaternary and Tertiary radiolarians are found indicating active reworking processes. Dissolution of radiolarians seem to increase with depth. Radiolarians are seldom in Unit III presumably due to dissolution and corrosion. The middle part of unit I appears to correspond to Collosphaera invaginata Zone (0.21 Ma). Unit II belongs to Collosphaera tuberosa Zone. Based on the absence of Stylatractus universus, we estimate its age to be younger than 0.42 Ma. Based on our analyses of radiolarians in Unit I and II, we estimated the age of unit III as Tertiary, particularly from Oligocene to Miocene. There may to be hiatuses of more than 3 My from late Miocene to Pliocene, which probably resulted from erosion and dissolution by the Antarctic Bottom Water Sedimentation rates during Quaternary range from 0.15 to 0.50 mm/ky with significant variabilities among stations. Radiolarians in the study area were mostly warm-water species.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남극 로스해 반응에 관한 고찰: 남극 로스해 관측의 중요성 (Responses of the Ross Sea to the Climate Change: Importance of observations in the Ross Sea, Antarctica)

  • 윤승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69-82
    • /
    • 2022
  • The Ross Sea, Antarctic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Antarctic Bottom Water (AABW) which is the densest water mass in global thermohaline circulation. Of the AABW, 25% is formed in the Ross Sea, and sea ice formation at the polynya (ice-free area) developed in front of ice shelves of the Ross Sea is considered as a pivotal mechanism for AABW production. For this reason, monitoring the Ross Sea variations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changes of global thermohaline circulation influenced by climate change. In addition, the Ross Sea is also regarded as a natural laboratory in investigating ice-ocean interactions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polynya. In this article, I introduce characteristics of the Ross Sea described in previous observational studies, and investigate variations that have occurred in the Ross Sea in the past and those taking place in the present. Furthermore, based on these observational results, I outline variations or changes that can be anticipated in the Ross Sea in the future, and make an appeal to resear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tinuous observations in the Ross Sea.

남극 지의류에서 분리한 Caballeronia sordidicola균주 PAMC 26510의 유전체 서열 분석 (Genome sequence of Caballeronia sordidicola strain PAMC 26510 isolated from Psoroma sp., an Antarctic lichen)

  • 양정안;홍순규;오현명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7-140
    • /
    • 2017
  • Caballeronia sordidicola 균주 PAMC 26510은 남극 킹조지섬의 바톤반도에서 채집된 지의류인 Psoroma sp.에서 분리되었다. 균주 PAMC 26510의 초안 유전체 서열은 224개의 콘티그로 이루어졌으며, 총 7,872,143 염기쌍은 59.7% G+C 함량을 나타냈다. 유전체는 7,580개의 단백질 유전자, 6개의 rRNA 유전자와 46개의 tRNA 유전자를 포함하였다. 균주 PAMC 26510는 이전에 연구한 Caballeronia sordidicola에 속하는 북극 균주와 마찬가지로 대사능력에 있어서 광범위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PAMC 26510의 초안 유전체는 6개의 CRISPR arrays를 각각의 콘티그 상에 가지고 있으며, 이중 두 개의 콘티그 상에 CRISPR-관련 유전자가 연결되어 있었다.

어류 빈혈에 관한 병리학적 고찰 (Pathological Discussion of Anemia in Fish)

  • 허민도;송나영;이무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8
    • /
    • 2005
  • 어류의 빈혈은 병어 또는 임상적으로 건강한 어류에서 확인되는 증상으로 심하면 아가미가 창백해 보이거나 채혈 혈액의 물성으로 인지될 수 있다. 어류의 적혈구 수는 일반적으로 1-3${\times}10^6$개이며, 헤마토크리트 (Ht)는 35-45%로 포유류와 유사범위로 보고되는 경우가 많으나 아직 그 정상치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제대로 정리된 자료가 없다. 어류에서도 출혈성, 용혈성, 재생불량성 빈혈로 나누고 있다. 포유류와 유사한 병리학적 영향이 예상되지만, 어류의 경우 10% 이하의 극단적으로 낮은 Ht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며, antarctic icefish (Chanenocephalus aceratus)에서는 적혈구가 없이 생존하고 있다는 점 등으로부터, 포유류와 다른 병리학적 영향이 예상되나 그 정보가 매우 부족하다. 양식현장에서 어류 질병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빈혈 소견은 어체의 건강평가에 중요한 파라메타의 하나로 볼 수 있는 병리학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지금까지 알려진 각종 어류 질병에 대하여 기술된 임상병리 및 병리조직학 변화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어류에서의 빈혈 관련 질병을 정리하고, 저자 등의 예비적 실험 결과와 함께, 그 병리학적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RACMO 기후 모델에 기반한 남극 빙상 질량 변동의 재현 (Recovery of Mass Changes in Antarctic Ice-Sheet based on the Regional Climate Model, RACMO)

  • 엄주영;임형래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2호
    • /
    • pp.147-157
    • /
    • 2020
  • 남극 빙상의 질량 변화는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의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 중력 자료와 광역 기후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남극 빙상 질량에 대한 시공간 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력 자료의 분석을 통해 연구 기간(2002.08-2016.08) 동안 지속적으로 남극 빙상의 심각한 질량 손실이 서남극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고, 상대적으로 미약한 질량 증가가 동남극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질량 변동이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함께 확인하였다. 광역 기후 수치 모델을 사용하여 이러한 질량 변동의 시간적, 공간적 패턴을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었으나, 관측 값에 비해 그 변화 폭이 매우 작았다. 이러한 문제는 빙하의 기저 유출량에 대한 조정을 통해 상당 부분 해결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재현된 빙상의 질량 변화는 2009년 이전 관측 값의 추세를 97%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빙하 흐름의 역학적 변동이 빙상의 가장 자리를 따라 크게 변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지난 10여 년 동안 남극 빙상의 질량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인근에서 채취한 눈시료 내의 주요 이온성분들의 고해상도 계절변동성 연구 (A Study on High-Resolution Seasonal Variations of Major Ionic Species in Recent Snow Near the Antarctic Jang Bogo Station)

  • 곽호제;강정호;홍상범;이정훈;장채원;허순도;홍성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2호
    • /
    • pp.127-140
    • /
    • 2015
  • A continuous series of 60 snow samples was collected at a 2.5-cm interval from a 1.5-m snow pit at a site on the Styx Glacier Plateau in Victoria Land, Antarctica, during the 2011/2012 austral summer season. Various chemical components (${\delta}D$, ${\delta}^{18}O$, $Na^+$, $K^+$, $Mg^{2+}$, $Ca^{2+}$, $Cl^-$, $SO_4{^2-}$, $NO_3{^-}$, $F^-$, $CH_3SO_3{^-}$, $CH_3CO_2{^-}$ and $HCO_2{^-}$) were determined to understand the highly resolved seasonal variations of these species in the coastal atmosphere near the Antarctic Jang Bogo station. Based on vertical profiles of ${\delta}^{18}O$, $NO_3{^-}$and MSA, which showed prominent seasonal changes in concentrations, the snow samples were dated to cover the time period from 2009 austral winter to 2012 austral summer with a mean accumulation rate of $226kgH_2Om^{-2}yr^{-1}$. Our snow profiles show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s for all the measured chemical species with a different pattern between different species.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seasonal variations is clearly linked to changes in the relative strength of contributions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sea salt spray, volcanoes, crust-derived dust, and marine biogenic activities) during different short-term periods. The results allow us to understand the transport pathways and input mechanisms for each species an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be useful for investigating long-term (decades to century scale periods)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that can be deduced from an ice core to be retrieved from the Styx Glacier Plateau in the near future.

남극 지의류 Usnea Aurantiaco-atra의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및 항암 활성 (Anti-inflammation and Anti-cancer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of Antarctic Lichen, Usnea Aurantiaco-atra)

  • 서승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978-986
    • /
    • 2023
  • 선천면역체계에 의한 염증은 감염에 의해 매개되는 환경적 위험 요인에 대한 보호 메커니즘이며 암 발병을 포함한 다양한 인간 질병의 발병 원인이기도 하다. 지의류는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다양한 생체 활성분자를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이끼류의 2차 대사산물이 지닌 항산화, 항염증 그리고 항암 활성에 대해서 널리 보고되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남극 지의류 Usnea aurantiaco-atra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및 항암 활성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메탄올 추출물은 COX-2, IL-6, iNOS, TNF-α 및 NO 생성과 같은 주요 염증 지표들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HCT116 결장암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활성을 가지며, caspase-3 활성화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를 통해 암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했다. 이 연구에서 남극 이끼류인 Usnea aurantiaco-atra의 메탄올 추출물이 항염증과 항암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염증과 암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하는 분자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보여준다.

Blood transcriptome resources of chinstrap (Pygoscelis antarcticus) and gentoo (Pygoscelis papua) penguins from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a

  • Kim, Bo-Mi;Jeong, Jihye;Jo, Euna;Ahn, Do-Hwan;Kim, Jeong-Hoon;Rhee, Jae-Sung;Park, Hyu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1호
    • /
    • pp.5.1-5.9
    • /
    • 2019
  • The chinstrap (Pygoscelis antarcticus) and gentoo (P. papua) penguins are distributed throughout Antarctica and the sub-Antarctic islands. In this study, high-quality de novo assemblies of blood transcriptomes from these penguins were generated using the Illumina MiSeq platform. A total of 22.2 and 21.8 raw reads were obtained from chinstrap and gentoo penguins, respectively. These reads were assembled using the Oases assembly platform and resulted in 26,036 and 21,854 contigs with N50 values of 929 and 933 base pairs, respectively. Functional gene annotations through pathway analyses of the Gene Ontology, EuKaryotic Orthologous Groups,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databases were performed for each blood transcriptome, resulting in a similar compositional order between the two transcriptomes. Ortholog comparisons with previously published transcriptomes from the $Ad{\acute{e}}lie$ (P. adeliae) and emperor (Aptenodytes forsteri) penguins revealed that a high proportion of the four penguins' transcriptomes had significant sequence homology. Because blood and tissues of penguins have been used to monitor pollution in Antarctica, immune parameters in blood could be important indicators for understanding the health status of penguins and other Antarctic animals. In the blood transcriptomes, KEGG analyses detected many essential genes involved in the major innate immunity pathways, which are key metabolic pathways for maintaining homeostasis against exogenous infections or toxins. Blood transcriptome studies such as this may be useful for checking the immune and health status of penguins without sacrifice.

남극 남쉐틀란드 군도 북부 해역의 크릴 분포 및 자원량 (Biomass and distribu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outh Shetland Islands, Antarctic Ocean)

  • 강돈혁;황두진;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37-747
    • /
    • 1999
  • 본 연구는 남극반도 북서부에 해당하는 South Shetland 군도 북쪽 해역에서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연속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크릴의 공간적인 분포 (수평, 수직분포) 및 자원량 파악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자원량 계산을 위하여 플랑크톤 네트를 이용한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CTD를 이용한 연구 해역의 수온 구조의 수직적 특성을 파악하여 크릴 군집과의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밀도의 크릴군은 $1^{\circ}C$ 이상인 Circumpolar Deep Water와 연안쪽에서 형성된 Weddell 해에 기원을 두고 있는 $-0.5^{\circ}C$ 이하의 낮은 온도층 사이에 존재하는 전선역 (frontal area)에서 형성되고있다. 크릴군의 분포 유형은 작은 군집을 이루는 표층 분포, 100$\~$200m 수층의 넓은 띠 모양의 연속적인 분포, 200$\~$300m 수층의 연속적인 분포 그리고 300m 이하의 point scatter분포 둥 네 가지 특징을 보였으며, echogram으로부터 분리해 낸 군집의 최대 수평분포는 약 35 mile에 걸쳐 나타났으며, 최대 수직 분포는 최대 275m의 두께를 보이고 있었다. 채집된 크릴의 표준 길이는 최소 30mm에서 최대 51 mm까지 분포를 나타냈으며, 성체 크릴은 41mm에서 하나의 모드만 나타내고 있었으며 30mm 미만의 미성체크릴은 채집되지 않았다. 자원량 밀도를 정선별로 나타낸 결과, 전체적으로 연안역보다는 대륙사면과 외양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전 층의 평균 밀도는 151.0g/$m^2$였다. 해수의 표층 혼합이 강하게 일어나고 관측 자료 중상층부에 해당하는 22$\~$65m 수 층의 분포는 이 수층에서 전 정선의 평균 밀도는 17.0g/$m^2$로 계산되었으며, 이와 같은 분포는 5개의 수 층 가운데 가장 낮은 분포이다. 중층에 해당하는 115$\~$165m 수 층에서는 1,000m 수심을 경계로 대부분의 고농도 군집이 대륙 사면과 외양 쪽으로 치우치고 대륙붕 쪽으로는 대부분이 10g/$m^2$ 미만의 미약한 어군 형성이 나타나는 상반된 특징을 보였다. 이수충의 평균 밀도는 35.9g/$m^2$로 상층부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하층으로 접어드는 165$\~$215m 층의 분포도 1,000m 등심선을 경계로 연안역과 대륙사면에서 상반된 분포를 보이며, 전체적으로 120$\~$l70m 수 층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수 층의 평균 밀도는 40.2g/$m^2$으로 전 수 층 가운데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다. 관측 자료 중 가장 하층인 215$\~$3l5m 수 층의 평균 밀도는 37.8g/$m^2$로 크릴군이 비교적 깊은 수심까지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다. 각 수층에서 예측된 자원량으로부터 22$\~$315m 사이의 총 예측자원량은 약 277만 톤 (CV=$19.92\%$)으로 계산되었으며, 수층별로는 22$\~$65m 에서 전체 양의 $11.2\%$ (31만 톤, CV=$16.24\%$), 65$\~$115 m에서 $13.3\%$ (37만 톤, CV=$34.91\%$), 115$\~$l65m에서 $23.7\%$ (66만 톤, CV=$41.5\%$), 170$\~$220m에서 $26.6\%$ (74만 톤. CV=$27.84\%$) 그리고 215$\~$315m에서 $25\%$ (69만 톤, CV=$26.83\%$)를 차지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전체 예측된 크릴 자원량의 약 $75\%$가 115m 하층에 분포하여 크릴군이 표층보다는 중층 이하에 높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남극 세종기지에서 추운 해와 덜 추운 해에 관찰된 펭귄들의 생태에 관한 1차보고 (Preliminary Report on the Ecology of the Penguins Observed in the Cold Years and a Less Cold Year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off the Antarctic Peninsula)

  • 장순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87-101
    • /
    • 2004
  • This paper delineated the ecology including movement (departure from the rookery and returning to the rookery), egg-laying, and hatch of the penguins occurred in the cold years and a less cold year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off the Antarctic Peninsula. The years of 1988, 1991, 1992, and 1995 were selected as cold years and the year of 2001 was selected as a less cold year based on the mean annual temperature of the years. Gentoo Penguin (Pygoscelis papua) left their rookery in May, meanwhile some remained around the station. They returned in middle-September in the less cold .year, and returned in late-September to early-October in the cold years. Chinstrap Penguin (Pygoscelis antarctica) left their rookery in early-April in the cold years as well as in the less cold year without exception. They returned to the rookery in late-October to early-November in cold years, meanwhile in early-October in the less cold year. This difference in the returning of this bird seems to be related with the exposed sea water, i.e., sea ice condition to feed in the sea. The global warming will lead to the appearance of birds which breed in the Sub-Antarctic. For example, one pair of King Penguin (Aptenodytes patagonicus) was observed in the Maxwell Bay in austral summer. And a pair of snide-like bird was recently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November 2001 at the penguin rookery located in the Barton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And it will also lead to the disappearance of an Emperor Penguin (Aptenodytes forsteri) which appeared in the full winter when Maxwell Bay and Marian Cove were frozen. It seems that the behaviour of the penguins observed around the station shows the complex effects of the ecology of the birds in combination with the natural environments, which include feeding strategy and areas, animal Instincts, exposed terrain related to weather conditions, and globa1 warming. It is necessary to take further observation and carry out systematic researches on the birds including penguins around the station which show the ecology of the birds as well as the environmental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