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odonta woodian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수온, 페놀 및 납에 대한 펄조개의 내성 실험 (Experimental Studies on the Tolerance of Anodonta woodiana against Temperature, Phenol and Lead)

  • 김재진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85-88
    • /
    • 1999
  • 한강의 밤섬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펄조개(Anodonta woodiana)의 수온, 페놀 및 납에 대한 내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펄조개의 치사수온은 $37-38^{\circ}C$였으며, 페놀에 대한 $LC_{50}$은 1200 ppm, 납에 대한 $LC_{50$=220 ppm 으로 조사되었다.

  • PDF

의암호에 서식하는 작은대칭이 ( Anodonta arcaeformis) 와 펄조개 ( Anodonta woodiana despecta ) 유생의 기생에 대하여 (On the Parasitism of the Glochidium of Anodonta arcaeformis and Anodonta woodiana despecta in the Lake Uiam)

  • 이준상;박갑만;송호복;박제철;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9-34
    • /
    • 1989
  • 의암호에서 채집된 작은애칭이(Anodonta aracaeformis)와 펄조개(Anodonta woodiana despecta)의 유생을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autae), 돌고기(Pungtungia heizi), 붕어(Carassius auratus)를 숙주로 하여 인위 감염 시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펄조개 glochidium 의 부착기간은 줄납자루, 돌고기에 각각 10일과 9일이었고 작은대칭이glochidium은 붕어에 21일간 부착하였다.2. 펄조개, 작은 대칭이 glochidium은 숙주의 가슴지느러미와 아가미에 높은 부착률을 나타내었다.3. 펄조개glochidium의 부착전과 후의 크기 변화는 없었으나 작은 대칭이 glochidium의 경우는 각고, 각장, 인대길이의 부착전 평균 크기가 0.345mm, 10365mm, 0.271mm에서 21일 이후 이탈 직전의 평균 크기는 0.373mm, 0,386mm, 0.290mm로 외형적인 크기 증가를 나타내었다.4. 펄조개 glochidium감염에 대한 숙주의 민감성은 줄납자루가 돌고기보다 높게 나타났다.5. 펄조개 glochidium은 부착후 2일, 작은대칭이는 8일째부터 기관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담수산 진주패 뻘조개, Anodonta(Sinanodonta) woodiana(Lea)의 생식주기 및 임란기 (REPRODUCTIVE CYCLE AND BREEDING SEASON OF THE FRESHWATER CLAM, ANDONTA (SINANODONTA) WOODIANA(LEA))

  • 정의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5-144
    • /
    • 1980
  • 우리나라 낙동강 하류에 서식하는 뻘조개, Anodonta (Sinanodonta) woodiana의 생식소발달 과정 및 생식주기 그리고 임란기 등을 조사하였다. 1.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사선 하방으로부터 족부의 외벽근층내에 있는 섬유성 망상결제조직까지 분포되어 있다. 난소는 많은 난소소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소낭의 내공상피가 생식상피 기능을 하고 있다. 2. 초기난소 몇 정소의 생식상피상에는 호산성 과립세포와 부분화 간충조직들이 풍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은 생식소 발달과 함께 그 량이 감소하고 있다. 3. 산란은 고수온기인 8월과 9월을 제외하고 년중 일어나고 있는데 1월에서 3월과, 6월에서 7월의 2회에 걸쳐 성기를 나타내고 있다. 4. 보육낭내에 trochophore 유생을 임란한 개체는 8월과 9월을 제외하고 년중 나타났으며 glochidia 유생을 임란한 개체는 9월을 제외하고 연중 나타났는데, 5월이 $72.7\%$ 년중 가장 높은 임란율을 나타내고 있다.

  • PDF

한국산 펄조개 (석패과)의 세포학적 연구 (Cytological Studies of Anodonta ( Sinanodonta ) woodiana ( Palaeoheterodonta : Unionidae) in Korea)

  • 박갑만;이준상;송호복;박제철;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0-54
    • /
    • 1988
  • The chromosome of Anodota woodiana in the Lake Uiam was analysed as using air drying technique of spermatogonial tissue to obtain mitotic and meiotic chromosomes. The chromosome chcle did mot differ, in general, from that found in other bivalves. Chromosome of this species consisted of metacentrics and submetacentrics. The longest chromosome was 2.1 ${\mu}{\textrm}{m}$ and the shortest was about 1.4 ${\mu}{\textrm}{m}$ in length.

  • PDF

한국산 석패과 유생의 형태하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rphology of the Freshwater Unionidae Glochidia (Bivalvia : Palaeoheterodonta ) in Korea))

  • 박갑만;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6-62
    • /
    • 1993
  • Six species of freshx\water Unionidae mussels in Korea,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Unio douglasiae, U. douglasiae sinuloatu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 acorohyncha were compared in regard to the various 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ultra structures of shells and glochidi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the orter demibranchs of all the females of six species have served as marsupial(gravid)pouch. However, all the foru demibranchs were used as the marsupium in some female individuals of L. gottschei. The glochidia of 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were separated one by one with the mucous strings and U. douglasiae sinuolatus were round-subtriangular in shape, and those of L. gottschei were subelliptical in shape. Each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s of six species had a hook studded with many spines on the superior face on valve. The glochidial shell valve had two or three rows of large spines; 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had two rows and three rows in U. douglasi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The numbers of sensory hairs of A. arcaeformis flavotincta and A. woodiana were all eight, those of U. douglasi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were six. and that of L. gottschei was four. The external and internal surfaces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s of A. A. arcad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had foveolate and psilate in U. douglase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 PDF

남(南)·북한강(北漢江) 담수산(淡水産) 패류(貝類)의 분포상(分布相)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a Distribution of the Freshwater Snails and Mussels in the North-South Han River)

  • 권오길;조동현;박갑만;이준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
    • /
    • 1985
  • The investigation of freshwater molluscs in the South Han River was carried out from 1984 and in 1985. The authors selected 12 stations and collected freshwater snails and mussels. We here publish the catalogue of molluscs in South and North Han River. The catalogue of molluscs in the South Han River is as follows; two classes, four orders, six families including twenty species(Semisulcospira coreana, Semisulcospira globus, Semisulcospira gottschei, Semisulcospira forticosta, Parafossarulus manchouricus, Gabbia misella, Radix auricularia coreana, Austroppepleaollura, Limnoperma lucustri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acrorhyncha, Unio douglasiae, Unio sp, Solenaia triangulalis, Anodonta fukudai, Anodonta woodiana, Corbicula felnouilliana, Corbiculafluminea, Corbicula sp).

  • PDF

한강 하류의 패류 분포상 (Molluscan Fauna in Lower Part of Han River, Korea)

  • 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1-166
    • /
    • 1998
  • Mollusks were collected with Ponar grab from seven stations in lower part of Han river, Korea from June 1995 through May 1996. Basket sampler with artificial substrate was also employed to collect the adhesive mollusks. In addition to above mentioned sampling stations, Bam islet was surveyed. A total of species, Corbicula fluminea, Anodonta woodiana, Unio douglasiae, Limnoperna fortunei, corbicula fenouilliana and Physa acuta, were collected in lower part of Han river. Author reviewed the literatures on the ecological survey of molluscan fauna in Han river.

  • PDF

담수산 이매패 펄조개를 이용한 흐름형 유기물 제어(CROM) 운영 - 퇴적물의 영향 (Operation of CROM System and its Effects of on the Removal of Seston in a Eutrophic Reservoir Using a Native Freshwater Bivalve (Anodonta woodiana) in Korea.)

  • 김백호;백순기;황수옥;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161-171
    • /
    • 2009
  • 국내산 담수 이매패 펄조개를 이용하여 부영양 저수지의 표층수를 실험실로 유입 처리하고 처리수는 다시 저수지로 환원하는 이른바 '흐름형 유기물 제어'(CROM: continuous removal of organic matters) 기술을 개발하고 하천에서 채취한 모래퇴적물의 첨가가 유기물 제어와 수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였다. CROM은 크게 저류조, 조정조, 처리조, 분석조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은 처리조에 현장수, 현장수+모래, 현장수+패류, 현장수+모래+패류 등을 각각 구성하여 유업속도는 18${\sim}$25 L $h^{-1}$ 패류밀도는 486.1 indiv. $m^{-2}$, 수온은 15${\sim}$22$^{\circ}C$ 범위에서 13일간 실시하였다. 유기물 및 수질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일 동일한 시간에 수온, pH, DO, 전도도, 탁도, 염분도, 엽록소 a, 부유물질, TN, TP, $NO_2$, $NO_3$, $NH_3$, $PO_4$ 등을 측정하거나 채수하여 곧바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미처리수의 반송이 패류의 유기물 제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퇴적물의 첨가에 상관없이 실험기간 동안 80% 이상 유기물(부유물질 빛 ChI-a)을 감소시켰으나 높은 농도의 암모니아와 인산 등을 배출하였다. 결국 한국산 이매패 펄조개를 이용한 CROM 운영효과는 매우 뚜렷하였으나 장기간 운영시 유기물 제어능 및 패류 생존율에 미치는 다른 요인들-수온, 미생물, 세정주기 등의 변화가 예상되며, 처리수에 대한 처리 및 활용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패류의 부영양수 유기물 제어능 연구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Optimization of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s in Eutrophic Waters by Korean Freshwater Bivalves)

  • 최환석;남귀숙;김민섭;신현재;박명환;황순진;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12-318
    • /
    • 2014
  • 부영양화 호소수에 대한 국내 서식 펄조개(A. woodiana)의 유기물 제어 실험 결과, 펄조개 30개체를 대상으로 패각 크기 4.3~15.5 cm (평균 9.54 cm)에 따른 유기물 여과율은 $0.08{\sim}0.86L\;g^{-1}\;h^{-1}$, 단위 건중량당 펄조개의 여과율은 $0.09L\;g^{-1}\;h^{-1}$를 나타내었다. 펄조개의 배설물 생산량 (PF)은 $0.00{\sim}11.10mg\;g^{-1}\;h^{-1}$, 단위 건 중량당 배설물 생산량은 $0.37mg\;g^{-1}\;h^{-1}$를 나타내었다. 또한, 클로로필-a와 부유물질 제거율(RA, %)은 느린 유속에서 82.1%, 71.0% 빠른 유속에서는 65.4%, 57.5%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반응표면분석 결과, 패각 크기는 14.3~15.6 cm, 유속은 $22{\sim}30Lh^{-1}$ 구간에서 여과율 $6.21L\;mussel^{-1}\;d^{-1}$의 최적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배설물 생산능은 패각 크기는 14.3~16.3 cm, 유속은 $36{\sim}44Lh^{-1}$ 구간에서 배설물 생산이 $4.2mg\;g^{-1}\;d^{-1}$의 최적값을 나타내었다.

만경강유역 저질토 및 패류의 중금속 함량 조사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shellifish along Mangyong River)

  • 유일수;유은주;이종섭;박현;소진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1
    • /
    • 1989
  • Heaty metals in mollusks and in sedimints collected from five stations along Mangyong river area in Jeonra Bug Do were examined during 1988 through 1989.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Cipa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and Anodonta woodiana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at in sediments, An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both of millusks and sediments from industrialized area was higher than the other stations.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Mangyong river was polluted with heavy metals and heavy metals were accumulated in molluscan soft bo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