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odic aluminum oxide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9초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on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by Polytetrakis(2-aminophenyl)porphyrin Nanowire

  • Jeong, Hae-Sang;Kim, Song-Mi;Seol, Hee-Jin;You, Jung-Min;Jeong, Eun-Seon;Kim, Seul-Ki;Seol, Kyung-Sik;Jeon, Seung-W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2호
    • /
    • pp.2979-2983
    • /
    • 2009
  • Nanowires of polytetrakis(o-aminophenyl)porphyrin (PTAPPNW) were fabricated by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with the cyclic voltammetric method in anodic aluminum oxide (AAO) membranes. The glassy carbon electrode (GCE) modified by PTAPPNW,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 and Nafion as a binder was investigated with voltammetric methods in a phosphate buffer saline (PBS) solution at pH 7.4. The PTAPPNW + SWNT + Nafion/GCE exhibited strongly enhanced voltammetric and amperometric sensitivity towards hydrogen peroxide ($H_2O_2$), which shortened the response time and enhanced the sensitivity for $H_2O_2$ determination at an applied potential of 0.0 V by amperometric method. The PTAPPNW + SWNT + Nafion/GCE can be used to monitor $H_2O_2$ at very low concentrations in biological pH as an efficient electrochemical $H_2O_2$ sensor.

레이저 간섭 석판술로 전처리된 AAO을 이용한 Fe 나노점 제작 (Fabrication of Fe Nanodot Using AAO Prepatterned by 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 강진혁;황현미;이성구;이재용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7-140
    • /
    • 2007
  • 레이저 간섭 석판 장비(Laser Interference Lithography; LIL)를 이용하여, Anodic Aluminum Oxide(AAO) 나노기공의 배열을 향상 시켰다. 이후 진공에서 Fe와 Cu를 AAO/Si에 성장하고, AAO를 제거하여 Cu/Fe(20 nm) 나노구조를 제작하였다. AAO의 나노기공과 나노구조는 전처리 과정에서 제작된 PR(photoresist) 나노선을 따라 1차원으로 배열되었다. 자성 나노구조의 자기이력곡선으로부터 이들이 vortex 구조를 가지며, 쌍극자 상호작용이 지배적임을 확인하였다.

법과학 분야에서 디지털 적외선 사진을 위한 노출 결정 방법 (The Method of Exposure Determination for Digital Infrared Photography in Forensic Field)

  • 김상기;김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81-191
    • /
    • 2014
  • 과거 적외선 사진은 다소 까다로운 제작과정 때문에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상당히 쉽고 간편해 졌기 때문에 활용 분야와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움직임에 맞춰 과학사진을 위한 적외선 대역의 노출과 톤 관리를 위한 표준차트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진행하였다. 적외선 표준 차트의 제작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첫 번째는 알루미늄을 이용한 제작방법이었다. 알루미늄은 양극산화처리를 거쳐 산화피막을 형성하게 되면 높은 내구성과 내식성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두께에 따라 적외선 대역에서의 어느 정도의 반사율을 조절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접근 방법은 안료를 사용하는 방법이었다. 가장 밝은 패치를 위해서 Yellow 10P150라는 특수 안료를 사용하였다. 이 안료는 열에 강하며 높은 적외선 반사율을 가지도록 특수 제작된 안료로 본 실험에 적합하였다. 가장 어두운 패치를 위해 사용한 카본블랙 안료를 사용하였다. 카본블랙은 적외선을 많이 흡수하고 빛에 의해 색이 변하지 않는 안료이기 때문에 적합하였다. 이 두 안료를 섞어 더욱 세밀한 반사율 조절이 가능하였다. 최종적으로 패치들을 모아 실질적인 적외선 반사율을 기준으로 6개의 패치를 선택하였다. 이들을 촬영하여 확인한 결과 피사체의 적외선 반사율을 알아냄과 동시에 적절한 콘트라스트를 가지는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양극산화 알루미늄 합금6061의 초순수 물 윤활에서의 트라이볼로지적 특성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dized Al 6061 Under Deinoized Water Lubricated Reciprocating Condition)

  • 정준호;조민행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3권2호
    • /
    • pp.59-6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anodized aluminum (Al) alloy 6061 by using a reciprocating tribotester. The diameter and height of the specimen are 30 mm and 10 mm, respectivel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mirrored-surface is approximately $0.01{\sim}0.02{\mu}m$, and it is used throughout the current study. As a result of anodizing, the depth and diameter of the nanopore are approximately $25{\mu}m$ and 30-40 nm, respectively. The testing conditions are as follows: loads of 1, 3, and 5 N; a frequency of 1 Hz; a stoke of 3 mm; and a duration of 1800 s. We use deionized water with a volume of approximately $25{\mu}l$, as the lubricant. Micro Vickers hardness measurements show that mirrored-surface specimens had lower hardness values than anodized specimens. Further, their coefficients of friction are lower than those of the anodized samples, and the width of their wear track increases with load, as expected. The anodized specimens' coefficients of friction increase with stable frictional behavior and exhibit insignificant load dependence. Further, we observe that the width of the wear track is less than that of the mirrored-surface specimens, and micro cracks are present near it. Moreover, the anodizing process increases the hardness of the samples, improving their wear resi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anoporous structures are not effective in lowering friction under the water-lubricated condition.

누름가공과 AAO 공정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복합패턴 제작방법 연구 (A Study on Manufacturing Method of Nano-Micro Hybrid Pattern Using Indentation Machining Method and AAO Process)

  • 김한희;전은채;최대희;장웅기;박용민;제태진;최두선;김병희;서영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3-68
    • /
    • 2015
  • Micro/nano patterns for optical concentration and diffusion have been studied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displays, optics, and sensors. Conventional micro patterns were continuous and linear shapes due to using linear-type light sources, however, recently non-continuous patterns have been applied as point sources are used for dot-type light sources such as LEDs and OLEDs. In this study, a hybrid machining technology combining an indentation machining method and an AAO process was developed for manufacturing the non-continuous micro patterns having nano patterns. First, mirror-like surfaces ($R_a<20nm$) of pure Aluminum substrates were obtained by optimizing cutting conditions. Then, The letter of 'K' consisting of the arrays of the micro patterns was manufactured by the indentation machining method which has a similar principle to indentation hardness testing. Finally, nano patterns were machined by AAO process on the micro patterns. Conclusively, a specific letter having nano-micro hybrid patterns was manufactured in this study.

Co계 자성합금 나노와이어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화학적 변수 (Electrochemical Factors Affecting the Magnetic Properties of Co based Magnetic Nanowires)

  • 이종욱;박호동;이관희;김긍호;정원용
    • 전기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25-12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 알루미늄 호일$(t=300{\mu}m)$양극산화 공정을 통해 AAO 나노템플레이트를 자체 제조하였고, 이렇게 제조된 형틀을 가지고 교류 나노전주법에 의해 경자성 합금인 CoP와 연자성 합금인 CoFe를 나노와이어로 제조하였다. 대표적인 Co계 자성합금인 CoP와 CoFe나노와이어는 각기 독특한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경자성 CoP 합금 나노와이어의 경우 교류 인가전압에 따라 hcp와 fcc가 혼재된 구조가 형성되어 자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높은 포화자화 값을 갖는 CoFe연자성 합금 나노와이어는 박막 도금 시와는 달리 이상합금도금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Co_{30}Fe_{70}$에서 가장 좋은 238emu/g의 포화자화 값을 나타내었다.

SiGe Nanostructure Fabrication Using Selective Epitaxial Growth and Self-Assembled Nanotemplates

  • Park, Sang-Joon;Lee, Heung-Soon;Hwang, In-Chan;Son, Jong-Yeog;Kim, Hyung-Jun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2-24.2
    • /
    • 2009
  • Nanostuctures such as nanodot and nanowire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s building blocks for nanoscale devices. However, the direct growth of the nanostuctures at the desired pos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for realization of the practical devices with high integrity. Self-assembled nanotemplate is one of viable methods to produce highly-ordered nanostructures because it exhibits the highly ordered nanometer-sized pattern without resorting to lithography techniques. And selective epitaxial growth (SEG) can be a proper method for nanostructure fabrication because selective growth on the patterned openings obtained from nanotemplate can be a proper direction to achieve high level of control and reproducibility of nanostructucture fabrication. Especially, SiGe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in which the band structure is varied by the composition and strain distribution, and nanostructures of SiGe has represented new class of devices such nanowire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and photovoltaics. So, in this study, various shaped SiGe nanostructures were selectively grown on Si substrate through ultrahigh vacuum chemical vapor deposition (UHV-CVD) of SiGe on the hexagonally arranged Si openings obtained using nanotemplates. We adopted two types of nanotemplates in this study; anodic aluminum oxide (AAO) and diblock copolymer of PS-b-PMMA. Well ordered and various shaped nanostructure of SiGe, nanodots and nanowire, were fabricated on Si openings by combining SEG of SiGe to self-assembled nanotemplates. Nanostructure fabrication method adopted in this study will open up the easy way to produce the integrated nanoelectronic device arrays using the well ordered nano-building blocks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SEG and self-assembled nanotemplates.

  • PDF

이온빔 나노 패터닝을 위한 양극산화 알루미나의 이온빔 투과 (Ion Transmittance of Anodic Alumina for Ion Beam Nano-patterning)

  • 신상원;이종한;이성구;이재용;황정남;최인훈;이관희;정원용;문현찬;김태곤;송종한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7-102
    • /
    • 2006
  • 양극 산화된 알루미나 (anodized aluminum oxide : AAO)는 균일하고 일정한 크기의 나노기공 패턴을 지니고 있다. AAO를 이온빔 나노 patterning을 위한 이온조사 시 마스크로서 이용하기 위해 AAO 나노 기공을 통과하는 이온빔의 투과율(AAO에 입사한 이온에 대한 투과이온의 양의 비)을 측정하였다. Al bulk foil을 양극 산화하여 두께가 $4{\mu}m$이고 종횡비(두께와 기공의 지름의 비)가 각각 200:1, 100:1 인 AAO를 Goniometer에 부착하여 500 keV의 $O^{2+}$ 이온빔에 대해 나노기공을 정렬시킨 후, 기울임 각에 따른 투과율을 측정한 결과, 종횡비가 200:1, 100:1 일 때 투과율은 각각 약 $10^{-8},\;10^{-4}$로 거의 이온빔이 투과하지 못하였다. 반면에 $SiO_2$ 위에 증착된 Al 박막으로 양극산화하여 종횡비가 5:1인 AAO의 이온빔 투과율은 0.67로 투과율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높은 종횡비를 갖는 AAO의 경우에는 범과 AAO 기공의 정렬이 쉽지 않은데다 알루미나의 비전도성으로 인한 charge-up 현상으로 인해 이온빔이 극히 투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80 keV의 Co 음이온을 종횡비 5:1인 AAO에 조사시킨 후에는 AAO 나노기공과 동일한 크기의 나노 구조체가 형성됨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전기도금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CdSe 나노로드 제작 (Electrochemical Deposition of CdSe Nanorods for Photovoltaic Cell Applications)

  • 지창욱;김성훈;이재호;김양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596-600
    • /
    • 2009
  • Electrochemical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CdSe nanorods were investigated for hybrid solar cell applications. CdSe nanorods were fabricated by electrochemical method in $CdSO_4$ and $H_2SeO_3$ dissolved aqueous solution using an anodic aluminum oxide (AAO) template. Uniformity of CdSe nanorods was dependent on the diameter and the height of holes in AAO. The current density, current mode, bath composition and temperature were controlled to obtain a 1:1 atomic composition of CdSe. CdSe nanorods deposited by direct-current method showed better uniformity compared to those deposited by purse-current and/or purse-reverse current methods due to the bottom-up filling characteristics. $H_2SeO_3$ concentration showe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pH of solution and stoichiometry of deposits compared to that of $CdSO_4$. A 1:1 stoichiometry of uniform CdSe nanorods was obtained from 0.25M $CdSO_4-5$ mM $H_2SeO_3$ electrolytes with a direct current of 10 $mA/cm^2$ at room temperature. X-ray diffraction and electron diffraction pattern investigations demonstrate that CdSe nanorods are a uniform cubic CdSe crystal.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을 기반으로 한 크레아티닌 여과장치 (A Microfluidic Chip-Based Creatinine Filtration Device)

  • 이삭;신동규;응웬탄콰;박우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12호
    • /
    • pp.921-925
    • /
    • 2015
  • 매년마다 신장질환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가장 흔한 치료법 중 하나는 혈액 투석인데, 이 방법은 많은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인공신장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혈액에서 크레아티닌을 여과하는 것은 신장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이다. 우리는 이 기능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2 채널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을 고안하였다. 두 개의 PDMS 층을 결합하기 위하여, 아크릴을 가공한 하우징 시스템이 개발하였으며, 이 방법은 여과막을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리는 알루미늄 양극 산화물(AAO)을 여과막으로 사용하였다. 여과된 용액은 자페반응(Jaffe reation)을 이용하여, 크레아티닌 농도별 흡광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크레아티닌의 양에 대한 표준식을 만들어, 측정한 데이터를 보간하여 여과된 용액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유량 및 크레아티닌 농도에 따른 여과율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