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nual ring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4초

지리산 세석지역 구상나무 임분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 on Seseok in Mt. Jiri)

  • 조민기;정재민;김태운;김충열;노일;문현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79-388
    • /
    • 2015
  •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reasonable management for Abies koreana in Mt. Jiri through analysi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on Seseok. Due to low soil pH (4.26), high organic matter (10.5%) and total N (0.32%), the soil properties of A. koreana forest on Seseok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forest soil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importance value analysis, A. koreana (70.5) for tree layer, A. koreana (37.6)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20.8) for subtree layer and A. koreana (12.6), Sasa borealis (11.5) and Acer pseudosieboldianum (11.2) for shrub layer were high, respectively. The species diversity of Shannon was 0.425 for tree layer, 0.869 for subtree layer and 1.320 for shrub layer. Evenness and dominance for all layers ranged from 0.365 to 0.894 and 0.187 to 0.635, respectively. Height growth according to DBH of A. koreana on Seseok was relative high. Annual mean tree ring growth of A. koreana showed up 1.372, 1.557 and 1.483 mm/yr for small, middle and large diameter tree,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value, distribution of seedling, height growth and ring growth, A. koreana forest on Seseok in Mt. Jiri will be maintained as the major population from now on.

잣나무 조림목(造林木)의 조직특성(組織特性)의 변동(變動)과 성열재(成熱材)·미성열재(未成熱材)의 재질(材質) (Changes in Cellular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Matured and Juvenile Wood from Reforested Tree of Pinus koraiensis)

  • 강선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73-80
    • /
    • 1993
  • Pinus koraiens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forestation species which had widely been planted around the country. Therefore, there are great research needs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wood to extend the frequency of uses and adequate availabilities. Research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wood properties and chang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a horizontal direction of tree trunk, the tracheid length at outer wood gradually becomes shorter as it reaches to pith. The tracheid length having between 32 and 42 annual rings showed over 2.5 times longer than that of pith, and also its length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tem. 2. The tracheid diameters in latewood showed a little fluctuations, and the shortest near to the pith in earlywood. The tracheid diameters in earlywood are more than 2 times those of latewoo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ture and juvenile wood in earlywood are less than 10${\mu}m$. 3. The tracheid wall thickness in early wood showed a little fluctuations. On the contrary, tracheid wall thickness in latewood rapidly increases from the pith to the bark. The tracheid wall of mature wood showed 10 to 20% thicker than that of juvenile wood. 4. The fibril angle at the secondary walls of tracheid within an annual ring showed higher degree in earlywood than that of latewood. The highest tracheid fibril angle was observed at around the pith of both earlywood and latewood. Then, fibril angle slowly decreased toward outer wood, and was stabilized after 15 years. 5. Structural boundaries between mature and juvenile wood from Pinus koraiensis are divided by 13 to 19 annual ring and distance of 5 to 8cm from the pith.

  • PDF

월악산에 식재된 잣나무와 화백나무의 형성층 활동과 기후인자와의 관계 (The Association of Intra-Annual Cambial Activities of Pinus koraiensis and Chamaecyparis pisifera planted in Mt. Worak with Climatic Factors)

  • 서정욱;최은비;주정덕;신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43-52
    • /
    • 2017
  • 본 연구는 월악산에 식재된 잣나무와 화백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모니터링 하여, 1) 수종에 따른 형성층 활동 기간을 확인하고, 2) 적산온도가 형성층 활동 개시에 미치는 영향과 3) 생육기간 중 강수량이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식재연도가 동일하지만 직경생장이 다른 두 그룹(DBH 평균 30 cm (CPL)와 15 cm(CPS))의 화백나무 생장패턴도 함께 조사하였다. 형성층 활동 모니터링을 위해 미니코어를 활용하였으며, 시료채취는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실시되었다. 형성층 활동 개시와 종료가 기대되는 4-5월과 9월 중순-10월은 일주일 간격으로 실시하였다. 연륜분석 결과 잣나무의 평균 연륜 수는 30개로 CPS와 CPL보다 7 (CPS) 또는 8 (CPL)개 적었다. 반면, 잣나무의 평균 연륜폭은 4.12 mm로 CPL (3.97 mm)과 CPS (1.84 mm)보다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백나무 상호비교에서는 CPL의 평균 연륜폭이 CPS보다 2.13 mm 넓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최근 3년간 평균 연륜폭을 비교한 결과 CPS1 (0.83 mm)를 제외한 CPS2 (2.42 mm)와 CPS3 (2.73 mm)은 CPL (2.71 mm) 그룹과 유사하였다. PK의 형성층 활동 개시는 4월 13일과 21일 사이로 CPS1를 제외한 화백나무보다 일주일 정도 빨랐으며, 종료는 9월 1일과 22일 사이로 형성층 활동 최대기간이 157.3 (${\pm}3.3$)일이었으며, CPS ($145.7{\pm}6.6$일)와 CPL ($148.0{\pm}15.1$일)보다 길었다. 화백나무의 경우 형성층 활동 종료 시기에 차이가 많았으며, 형성층 활동기간과 연륜폭 상호간 상관분석에서는 유의수준에 근접한 결과(r = 0.69, p < 0.064)를 보였다. 잣나무의 형성층 활동을 유도하는 적산온도는 99와 134 사이였으며, CPS1 (274)을 제외한 화백나무는 134와 200 사이었다. CPS3을 제외한 모든 수목은 7월 21일에 채취한 시료에서 위연륜(false ring)이 관찰되었으며, 그 원인이 여름철 강수량 부족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스마트폰 촬영 이미지를 활용한 나이테 검출 및 분석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Tree Ring Measuring Program Using Smartphone-Captured Images)

  • 김동현;김태이;조형주;김동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484-491
    • /
    • 2020
  • 본 연구는 고가의 나이테 분석 장비에서 탈피하고 손쉽게 나이테 분석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폰 촬영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인 TRIO(Tree Ring Information)를 개발하였다. TRIO는 반 자동형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스마트폰 촬영 이미지를 활용해 1년 단위별 나이테 반경을 측정하고, 결과를 엑셀로 저장한다. 카메라 성능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삼성 갤럭시 S10과 삼성 갤럭시 탭 S2로 기종을 달리하여 30개의 리기다소나무 원판의 4방위 이미지를 취득하고 WinDENDROTM와 1년 단위별 나이테 반경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삼성 갤럭시 S10과 S2 모두 WinDENDROTM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S10의 R2 값이 0.976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RMSE는 0.4199로 분석되어 매우 유사한 결과를 출력하였다. S2의 R2 값은 0.975, RMSE은 0.4232로 S10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TRIO는 WinDENDROTM와 매우 유사한 1년 단위별 반경 값을 분석하였다.

노거수 수령 추정을 위한 지역별 연륜연대기 구축 및 활용 (Establishing Local Master Ring-Width Chronologies and Their Utilization for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 오정애;서정욱;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85-95
    • /
    • 2017
  • 본 연구는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노거수 수령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청북도 괴산군(CBGS), 전라남도 구례군(JNGR), 경상북도 울진군(GBUJ)이며, 수종은 각 지역의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와 소나무로 하였다. CBGS, JNGR, GBUJ에서 채취한 느티나무는 각각 12, 8, 6본이며, 소나무는 각각 10, 3, 9본이다. 시료(생장편)는 생장추(직경 5.2 mm)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정확한 연륜측정을 위해 느티나무는 활주식 마이크로톰으로 횡단면을 절삭하였으며, 소나무는 사포를 이용하여 횡단면을 연마하였다. 연륜폭은 이용하여 0.01 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느티나무의 경우 CBGS와 GBUJ에서 203 (1813~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작성되었으며, JNGR에서는 175 (1841~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소나무의 경우 CBGS, JNGR, GBUJ에서 각각 154(1862~2015)년, 175 (1841~2015)년, 250 (1776~2015)년의 연륜연대기가 성공적으로 작성되었다.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를 상호 비교한 결과 대부분 낮은 t 값과 Glk 값을 보여 대표연륜연대기 상호간 일치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50년 평균 기온과 강수량 분포도를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와 비교한 결과, 지역별 대표 연륜연대기 패턴은 온도보다 강수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륜연대학적 방법을 이용한 정확한 수령추정을 위해선 강수량이 고려된 지역별 대표연륜연대기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고재(古材)의 구조(構造)와 수종식별(樹種識別)(제(第) 1 보(報)) -제주도지방(濟州道地方)에 있어서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목조건축재(木造建築材)-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of Ancient Wood (I) -Construction Wood of Yi-dynasty m Jeju Province-)

  • 박상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15-23
    • /
    • 1978
  • This report observed for anatomical structure and identified species of small wood debris collected at Chungi-Hyankyo, Yunbuk-Chung, Jeju-Hyankyo, Teachung-Hyangkyo and Kwanduk-Chung in Jeju province constructed in a central period of Yi-dynasty, and now named as local cultral assets. 1. Sample of Chungi-Hyangkyo is gymnosperm with window-like pit, axial and radial cannal & dentate ray tracheid. This sample with identified with Pinus densiflora or Pinus thunbergii. 2. Samples of Yunbuk-Chung and Jeju-Hyangkyo are diffuse porous wood having small vessels with scalariform perforation plates scattered almost equally in annual ring, possess heterogenus ray parenchyma & banded apotracheal parenchyma. This sample is identified with Distylium racemosum. 3. Sample of Teachung-Hyangkyo is ring porous wood composed of big vessels of pore zone and compound vessels outside pore zone. It also has simple perforation plates, tylosis, homogenlls uniseriate ray parenchyma & diffuse parenchyma This sample is identified with Castanopsis cuspidata. 4. Sample of kwanduk-Chung is ring porous wood composed of big vessels of pore zone and compound vessels outside pore zone. It has simple perforation plates, heterogenus ray parenchyma, crystal, vasicentric parenchyma. This sample is identified with Zelkova serrata.

  • PDF

홍대용 통천의의 혼천의 연구 (A STUDY ON THE ARMILLARY SPHERE OF TONGCHEON-UI DESCRIBED BY HONG DAE-YONG)

  • 민병희;윤용현;김상혁;기호철
    • 천문학논총
    • /
    • 제36권3호
    • /
    • pp.79-9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storation model of an armillary sphere of Tongcheon-ui (Pan-celestial Armillary Sphere) by referring to the records of Damheonseo (Hong Dae-Yong Anthology) and the artifact of an armillary sphere in the Korean Christian Museum of Soongsil University. Between 1760 and 1762, Hong, Dae-Yong (1731-1783) built Tongcheon-ui, with Na, Kyung-Jeok (1690-1762) designing the basic structure and Ann, Cheo-In (1710-1787) completing the assembly. The model in this study is a spherical body with a diameter of 510 mm. Tongcheon-ui operates the armillary sphere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lantern clock. The armillary sphere is constructed in the fashion of a two-layer sphere: the outer one is Yukhab-ui that is fixed; and the inner one, Samsin-ui, is rotated around the polar axis. In the equatorial ring possessed by Samsin-ui, an ecliptic ring and a lunar-path ring are successively fixed and are tilted by 23.5° and 28.5° over the equatorial ring, respectively. A solar miniature attached to a 365-toothed inner gear on the ecliptic ring reproduces the annual motion of the Sun. A lunar miniature installed on a 114-toothed inner gear of the lunar-path ring can also replay the moon's orbital motion and phase change. By the set of 'a ratchet gear, a shaft and a spur gear' installed in the solstice-colure double-ring, the inner gears in the ecliptic ring and lunar-path ring can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of Samsin-ui and then the solar and lunar miniatures can simulate their revolution over the period of a year and a month, respectively. In order to indicate the change of the moon phases, 27 pins were arranged in a uniform circle around the lunar-path ring, and the 29-toothed wheel is fixed under the solar miniature. At the center of the armillary sphere, an earth plate representing a world map is fixed horizontally. Tongcheon-ui is the armillary sphere clock developed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technical level at which astronomical clocks could be produced at the time is of a high standard.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hilippi)의 자원관리I. 연령과 성장 (Management of the Hen Clam, Mactra chinensis Philippi, on the Coast of Kunsan. I. Age and Growth)

  • 류동기;김용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01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전라북도 군산시 하제 연안에 서식하는 개량조개의 성장을 조사하였다. 개량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 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8월에서 9월로 조사되었다. 초륜 형성기간은 15 개월 (1.25년)로 나타났다. 각장 (SL) 과 전중 (TW) 간의 관계는 TW = 2.2476 $\times$ $10^{-5}$ SL$^{3.536}$ 이었으며,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관계는 SH = 0.7545 SL - 0.0145 이고, 각장 (SL) 과 각폭 (SW) 간의 관계는 SW = 0.5336 SL - 2.4253 였다. 연령 (t) 에 대한 각장 (SL$_{t}$ ) 과 전중(TW$_{t}$ )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 =60.02[1 - e$^{-0.6458(t-0.3895)}$ ], 이고 Twt = 43.63[1 - e$^{0.6458(t-0.3895)}$ ]$^{3.536}$ 였다.

  • PDF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Vegetational Structure of Dwarf Bamboo and Its Effects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Deciduous Forests in Clearcutting Sites)

  • 차윤정;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9
    • /
    • 2002
  • 산림발달에 따른 조릿대 임분의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내 천연임분과 1987년 벌채임분, 1993년 벌채임분에서의 조릿대 발생임분과 비발생 임분에 대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상층 수목의 생장에 대한 조릿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조릿대가 분포하는 임분과 분포하지 않는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에 대한 연륜 생장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지역의 식생형은 조릿대 우점 식생형과 조릿대 소점 또는 무점 식생형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전자의 경우 졸참나무-서어나무/조릿대 군락, 때죽나무-쪽동백나무/조릿대 군락, 층층나무-산뽕나무/조릿대 군락, 느티나무-조릿대 군락 등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고, 후자의 경우는 졸참나무/비목군락, 층층나무/비목 군락, 졸참나무/당단풍/물참대 군락, 물푸레나무-졸참나무/비목/회잎나무 군락, 산딸기-산수국 군락, 산딸기-싸리 군락 등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임분발달 단계에 따라서는 천연임분의 경우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중심의 낙엽활엽교목과 하층식생으로서 조릿대가 우점하는 반면, 벌채임분의 경우 하층식생으로서의 조릿대 출현밀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초기생장기에는 조릿대가 발생하지 않은 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이 조릿대 발생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보다 넓었으나 약 30년을 전후하여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조릿대에 의한 생장감소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심변재(心邊材)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Heartwood and Sapwood of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Grown in Gangweon - do)

  • 심종섭;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88-95
    • /
    • 1982
  • 본(本) 시험(試驗)은 강원도산(江原道産) 소나무의 기건상태(氣乾狀態)에 있는 심재(心材)와 변재의 추재율(秋材率), 기건비중(氣乾比重), 종압축강도 그리고 추재율(秋材率)과 기건비중(氣乾比重)의 관계, 추재율(秋材率)과 종압축강도의 관계, 비중(比重)과 종압축강도의 관계 등을 알고자 하였으며,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심재(心材)의 연륜폭(年輪幅)은 추재율(秋材率)과 종압축강도에 뚜렷한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연륜폭(年輪幅)이 감소함에 따라 추재율(秋材率)과 종압축강도는 상응하여 증대(增大)했다. 그러나 기건비중(氣乾比重)은 연륜폭별(年輪幅別)에따라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심재(心材)와 변재 모두 추재율(秋材率)과 기건비중간(氣乾比重間)에는 직선적(直線的)인 관계(關係)가 나타났으며, 심재(心材)는 $x_{12}$=0.31+0.006 x 식(式)으로, 변재는 $r_{12}$=0.27+0.007 x 식(式)으로 나타났다. 심재(心材)와 변재 모두 추재율(秋材率)과 종압축강도에도 역시 직선적(直線的) 관계(關係)가 나타났으며 심재(心材)는 ${\sigma}c11$=343+1.93 x 식(式)으로, 변재는 ${\sigma}c11$=208+6.97 x 식(式)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