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tion History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Birth of a Holy Land and the Role of Local Residents: The failure to establish a memorial facility for the victims of the Kyoto Animation's arson attack in 2019

  • Lee, Jeonghoon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2권2호
    • /
    • pp.272-296
    • /
    • 2020
  • The study will first pay attention to the conflict between Kyoto Animation Co. and residents over establishing memorial facilities after the "Kyoto Animation 1st Studio arson and Murder Incident," which occurred in Kyoto, Japan on the morning of July 18, 2019. And through on-site coverage and review of related TV program "Summer of Prayer, Voice of the Holy Land" aired by Mainichi Broadcasting System on August 17, 2019. We reviewed what this conflict means by Japanese animation fans to set a "Holy Land" of specific regions and the resulting content tourism business model. The conflict between Kyoto Animation Co. and the residents resulted in a lengthy confrontation which did not get solved until late July 2020. It proves the cooperation of resident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 of content tourism, especially the cooperation model for development of Holy Land.

산업화시대 한국 하청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 - 1970-80년대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ubcontract Animation in Korea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Era - Centered around Animations in 1970-80s -)

  • 김종옥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3호
    • /
    • pp.47-75
    • /
    • 2016
  • 본 연구는 1966년 TBC 동화부의 황금박쥐로 시작된 한국 하청애니메이션의 역사를 1980년대 시기까지 분석하여, 한국애니메이션에서 30년 넘게 진행되어 온 하청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하청애니메이션 제작사 제작현황 산업의 규모 등 하청애니메이션 개괄적인 상황을 통해 당시 OEM산업의 실태를 점검하였고, 애니메이션이 하청제작산업으로 고착화된 배경을 시대상황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청애니메이션산업이 발생시킨 문제점과 한계 그리고 이를 극복하고 창작애니메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새로운 모색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 역사 연구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하였다. 1970년대는 중화학공업 육성과 수출주도형 경제성장이 국가적 목표였던 시기였다. 70년대 후반부터 애니메이션도 해외애니메이션 하청 수주를 통해 수출 주력산업으로 주목받았다. 하청 해니메이션 제작의 확대는 당시 대중문화에 대한 국가의 정책과 칼라TV보급, 비디오 제작 시장 활성화 등의 매체 변화로 극장용 애니메이션 관객이 축소된 점에도 영향을 받았으며 경제적 논리로 자체 애니메이션 제작을 기피했던 방송사 등 플랫폼 부재도 그 원인이었다. 하청애니메이션산업은 애니메이션 인프라의 구축과 신진 인력 양성 등 애니메이션 환경을 확장시켰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집약적인 '프로덕션' 단계 중심의 발전은 기획력 등 '프리 프로덕션'의 부재와 '포스트 프로덕션(후반작업)'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전문인력 양성에 왜곡된 구조를 만들었고, OEM산업으로 축적된 자본을 창작애니메이션 제작에 재투자하여 내수시장을 형성하지 못한 점은 부정적 측면으로 평가된다. 애니메이션은 한 나라의 문화적, 정신적 산물이다. 따라서 전문인력의 양성과 우수한 작품의 창작,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시장의 형성 등 창작애니메이션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 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은 산업이지만 하드웨어 중심의 제조업이 아닌 창의력에 기반한 문화산업이라는 인식은 없었다. 이러한 인식의 부재로 이 시기 한국 애니메이션은 독자적인 작품 제작을 위한 장기적인 계획과 투자를 통해 시장을 만들고, 창작애니메이션을 활성화하는 어떠한 정책 방안도 마련하지 못했다. 이러한 시도는 1990년대 이후 한국도 창작 애니메이션 보호 육성을 위한 다각적인 모색을 통해 새롭게 시작된다.

1960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 - 국립영화제작소 문화영화 중 애니메이션에 관하여 (A Study of Korean Short Animation Films in 1960s - On Animation from Culture Movies of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 김종옥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0호
    • /
    • pp.1-31
    • /
    • 2015
  • 서구 유럽 및 일본애니메이션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닌 한국 애니메이션은 1950년대 후반 광고애니메이션과 문화영화의 일환으로 제작된 비상업용 단편애니메이션으로 출발하였다. 1960년대 영화법과 문화정책이 투영된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은 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 이전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 창작물이다. 특히 15초 내외의 짧은 CF애니메이션에 비해 4분에서 10분 내외의 단편애니메이션으로 그 당시 한국애니메이션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1960년대에 20여편의 단편애니메이션이 제작 되었으며, 주로 근대화 정책추진과정에서 국민들을 계몽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문화영화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은 셀을 활용한 카툰애니메이션 이외에도 페이퍼애니메이션, 퍼핏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60년대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CF 이외에 초기 단편애니메이션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품의 발굴과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창작과정에 참여했던 박영일감독, 한성학감독, 정도빈감독, 신동헌감독, 넬슨신감독 등이 이후 극장용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였기에 그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한국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논문에서는 국립영화제작소 창설의 시대적 상황 및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중 감독 등 참여인력을 확인할 수 있는 1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사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2D 애니메션 장면에서 칼라디자인 분석 - 작품 "Uproar in Heaven" 중심으로 (Analysis of 2D Animation Scene Color Design - focused on "Uproar in Heaven")

  • 장평;김해윤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5-326
    • /
    • 2014
  • With a history of over 100 years, animation is an art of film and television, and a diversified special form of art as well. Animation scene design is not just about scenic painting but also a time-space formative art that serves for film and television animation, presents story plots, unveils dramatic conflicts and depicts character personalities. Scene design requires both high creativity and artistry. Scene design shall cover the living places, soci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environment where the characters live. The use of color is an important part in animation creation. In terms of scene design, i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up the scene atmosphere, promote the plot and enriching screen contents. Focused on Uproar in Heaven-a classic Chinese anim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imation scene color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color.

  • PDF

애니메이션캐릭터를 이용한 국내 패션산업의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s of Internal Fashion Industry Using Animation Character)

  • 백경실;유태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26-33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known the animation history, function of the animation charact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animation industry, and the industry process of the animation character in the center of the animation character of America and Japan occupying the internal character market largely. Also, it was examined how the animation character was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and w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 industry, and it was seen the design development of the fashion character in the future and the proceeding method of the fashion marketing strategy. The following this study was examined by using the various newspaper and magazine, the internal and external referenc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nimation character created in the TV and the screen is extended the related industry and is developed the various cultural products, and it is recognized as the product of the highly added value. The internal animation characters are mostly the characters of America and Japan, but now the internal animation productions i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nimation industry and is producted the animation to attack the internal and external market. The potential of the animation character was really excessive. The excellent animation product was important but the animation character and the activity of the accompaniment industry related to it was important. Also the animation character mostly had influence on the fashion industry.

  • PDF

애니메이션 콘텐츠 분석을 통한 문화원형 표현 연구 -켈스의 비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Cultural Preserv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nimation Contents -Focusing on Animation film "The Secret of Kells (2009)"-)

  • 김예은;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89-495
    • /
    • 2020
  • 역사적 실제 사건들을 배경으로 과거의 사건과 위인에 대해 의미와 교훈 등을 부여하며 계몽 및 민족적 정체성을 각인케 하는 작품은 이상적인 예술 영화 콘텐츠 중 하나의 특징이다. 애니메이션 <켈스의 비밀>은 실존하는 문화원형, '켈스의 서'가 제작된 당시의 상황과 역사, 켈트족의 신화 등을 애니메이션이라는 미디어로 재현하면서 다양한 조형적 방법을 통해 문화원형을 관객에게 어필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영화 <켈스의 비밀>에서 보여주는 켈트족의 역사, 전통 문양과 조형적 상징성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 작품을 통한 자국의 전통문화와 역사에 대한 의미표현을 연구하려 한다. 결론적으로 영화 <켈스의 비밀>은 애니메이션 콘텐츠가 고유 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보존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영원한 것을 추구하며 역사에 대한 계몽 및 교훈 등의 예술적 가치를 띈 대중예술로서의 이상적인 가치표현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메카닉 애니메이션의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Korean Mechanic Animation)

  • 홍륜영;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7-620
    • /
    • 2009
  • 전 세계적으로 메카닉 애니메이션의 인기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 '로봇 태권브이' 이후 여러 메카닉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이 하나의 문화장르로 인정받지 못해 생긴 제약으로 애니메이션의 수준이 대중의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그리하여 한국 애니메이션은 외면 받았고 그로인해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줄어들게 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 메카닉 애니메이션이 거쳐 온 역사와 현 상황을 일본 메카닉 애니메이션인 기동전사 건담과 비교 분석하고, 한국 메카닉 애니메이션의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 PDF

1960-1980년대 초반 사회, 문화적 상황과 관련해 본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alities and fantasy, portrayed in the Russian animation works from 1960's to the beginning of 1980's)

  • 이혜승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29-47
    • /
    • 2009
  • 21세기 들어 애니메이션은 대중문화의 핵심 주자로서 그 발전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어린이들의 소일거리로 여겨졌던 애니메이션은 혁신적인 하이테크 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해 문화 산업 분야에서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다져가고 있다. 애니메이션은 전에 없던 사회적 관심 속에 성장하고 있으나 그 경제적, 오락적 가치에 비해 철학적 측면은 아직까지 합당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개별 애니메이션 작품들이 사회 문화적 맥락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또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고찰한 논문들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은 1960-1980년대 초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주요 작품들을 대상으로 과거 애니메이션과 다른 이 시대의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논문은 그 변화의 핵심을 애니메이션이 다루는 객관적 현실과 주관적 환상에서 살펴보고 이 주제들이 당대 사회, 문화적 상황과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그리고 예술 체계 내에서 차지하는 애니메이션의 위상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애니메이션 조형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style of modeling animation)

  • 성문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9-120
    • /
    • 2004
  • 한국의 상업 애니메이션의 모습은 역사와 미디어가 발전함에 따라 제작방법을 통한 조형적, 기술적 이미지면에서 다른 양상을 보여 왔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측면은 한국 상업 애니메이션의 장점과 특징을 바탕으로 상호보완 하면서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발달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