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imal feeds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37초

배합사료의 부패 동안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및 영양학적 변화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nges of Complete Feed during Spoilage)

  • 이권정;연제성;김주현;김삼철;문형인;전체옥;이상석;김동운;김수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148-1155
    • /
    • 2015
  • 가축의 배합사료는 가축의 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어 적절한 온도와 습도하에서 부패되기 쉽다. 착유우 사료를 여름철 고온 다습한 환경 조건인 수분 33%, 온도 30℃에서 15일 동안 부패시키면서 일어나는 미생물 및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최초 6.29에서 4.66으로, 수분활성은 0.99에서 0.95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세균은 6.2×106~1.6×107 CFU/g에서 5일째에 최대 2.1×109 CFU/g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108 CFU/g수준을 유지하였다. 곰팡이는 약 103에서 8.0×104 CFU/g으로 증가하였다. 세균은 Acinetobacter oleivorans, Pediococcus acidilactici, Acinetobacter oleivorans, Weissella cibaria 및 Methylobacterium komagatae이 성장하였고, 곰팡이는 Fusarium속과 Mucor속이 분리되었다. 10일까지는 수분 함량은 증가하였고(p<0.01), 조단백질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조지방은 약 6.0%에서 5.5%로 감소하였다(p<0.01). 조섬유와 조회분은 각각 2.0~3.0%, 4.5~4.8%의 범위에서 변화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에너지는 4,400 kcal/kg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사료가 부패되면서 젖산과 프로피온산은 증가하였고 아세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p<0.01). 제랄레논은 59.2 μg/kg에서 623.8 μg/kg으로 약 10.5배가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사료부패가 일어나는 동안은 pH 감소, 생균수의 증가 및 다양한 화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초이사료 배합설계를 통한 육계 생산성 증대방안 (Strategy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Broilers: Focusing on Pre-Starter Diet)

  • 남두석;이진영;공창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7-256
    • /
    • 2015
  • 본 총설은 부화 후 1주일간 급여되는 초이사료 적용의 필요성 및 배합설계방안을 제시하여 육계생산성을 증대하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육계는 지난 수년 간 괄목할 만한 증체 속도 증가, 출하일령 단축 그리고 사료효율 향상을 보 여줬다. 이는 육종 개량, 사육 환경 개선, 과학적인 사양관리기법 적용 및 적정 영양공급 등의 결과이며, 한국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육계사육기간이 매우 짧아, 부화 후 약 31일령이면 출하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육계초기 1주일간은 전체 사육기간의 20% 이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초기성장이 출하체중과 일령 그리고 사료효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초기 1주일간의 사료공급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매우 중요하다. 생후 7일령까지의 어린 병아리는 소화기관 미발달과 효소의 분비 및 활력 부족으로 사료 내 영양소의 소화 흡수 및 이용률이 낮은 편임을 고려하여, 초이사료의 급여를 위한 영양적 접근 방법으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는 단순히 영양수준을 올리기보다는 양질의 원료 사용, 특히 단백질과 탄수화물 이용률 증진을 위 한 선택적인 원료 사용 및 원료의 가공처리가 필요하다. 에너지 공급의 경우, 에너지 수준 못지않게 에너지 공급원이 중요한데, 특히 불포화지방산공급원인 식물성이 기름 첨가를 권장한다. 영양소 공급의 경우,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키기보다는 이상적 아미노산 비율에 따른 필수아미노산 공급이 중요하다. 필요 시 효소제를 비롯한 항생제 등의 대체 물질 첨가를 통해 항병력이나 소화흡수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아울러 기타 제한 아미노산의 충족에 대한 연구와 부화 후 7일간 사료 내 전해질 균형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

치어기 잉어에 있어 사료내 Lysine 부산물의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ysine Cell Mass (LCM) in Juvenile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 김강웅;왕소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36-341
    • /
    • 2002
  • 본 연구는 치어기 잉어에 있어서 어분 (fish meal, FM) 대체 단백질원으로서 lysine 부산물 (lysine cell mass, LCM)이 사료내 이용 가능성과 대체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은 $38\%$, 가용에너지는 15.2kJ/g (protein, carbohydrate and lipid: 16.7, 16.7 and 37.7kJ/g)으로 동일하게 맞추어 실험사료를 제조하였으며, 사료의 조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00\%$ $FM; LCM_20$, $80\%$ $FM+20\%$ $LCM; LCM_40$, $60\%$ $FM+40\%$ $LCM; LCM_60$, $40\%$ $FM+60\%$ $LCM; LCM_100$, $100\%$ $LCM; LCM_20$l, $80\%$ $FM+20\%$ $LCM+0.07\%$ $Lysine; LCM_40$l, $60\%$ $FM+40\%$ $LCM+0.14\%$ $Lysine; LCM_60$l $40\%$ $FM+60\%$ $LCM+0.22\%$ $Lysine; LCM_100$l, $100\%$ $LCM+0.35\% Lysine. 6주 동안의 실험 결과, 증체율, 사료효율, 일간성장률, 간중량지수 및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LCM_0와 비교하석 LCM_20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반면에 (P>0.05), $LCM_40,\;LCM_60$$LCM_100,\;LCM_40l,\;LCM_60$l 및 $LCM_100$l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LCM_0$$LCM_20$l은 증체율, 일간성장률, 간중량지수 및 단백질 전환효율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LCM_0$에 비해 $LCM_20$l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헤마토그리트과 비만도는 모든 사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따라서, 치어기 잉어에 있어서 Iysine 부산물은 어분단백질의 $100\%$ $FM; LCM_20$, $80\%$ $FM+20\%$ $LCM; LCM_40$, $60\%$ $FM+40\%$ $LCM; LCM_60$, $40\%$ $FM+60\%$ $LCM; LCM_100$, $100\%$ $LCM; LCM_20$l, $80\%$ $FM+20\%$ $LCM+0.07\%$ $Lysine; LCM_40$l, $60\%$ $FM+40\%$ $LCM+0.14\%$ $Lysine; LCM_60$l $40\%$ $FM+60\%$ $LCM+0.22\%$ $Lysine; LCM_100$l, $100\%$ $LCM+20\%까지 대체 가능하며, lysine 부산물에 결핍된 필수아미노산인 lysine을 첨가한 사료구에서는 첨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식물쓰레기의 가공처리방법별 사료영양소 함량 변화 평가 및 문제점 개선 방안 (Evaluation on Feed-Nutritional Change of Food Waste According to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and Trouble-shooting Strategy)

  • 지경수;백용현;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513-524
    • /
    • 2005
  •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식 건조, 반건식 발효, 습식 발효 사료화 방법별로 대표적 업체를 방문하여 사료 제조 공정을 조사․소개하고, 사료화 방법별 공정별 음식물쓰레기의 물리화학적 성분을 추적하고, 영양소 손실율을 비교․평가하며, 사료화 방법별 문제점을 발굴하여 이의 개선 방안을 최종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건식 사료화 방법의 경우, 탈수 공정은 원료 음식물쓰레기의 수분(10% 정도) 및 조지방 성분을 감소시키고(P<0.05), 섬유소(NDF, ADF, 조섬유소) 성분을 증가시켰다(P<0.05). 탈수․건조 공정은 원료 음식물쓰레기의 조지방과 필수아미노산 중 lysine, methio- nine, histidine 성분을 줄이고(P<0.05), 단백질의 pepsin 소화율을 반 정도로 감소시켰으며(P<0.05), 섬유소, 조회분, Ca, P 성분은 증가시켰다(P<0.05). pH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염분은 40% 이상 감소하였다(P<0.05). 반건식 발효사료화 방법은 음식물쓰레기 혼합물의 일반 조성분, 단백질의 pepsin 소화율, 에너지 성분, pH 및 염분 농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05). 습식 발효사료화 방법의 경우, 멸균 전과 비교해서 멸균․발효 후에는 건물, 조지방, 조섬유소, lysine 성분이 감소하였으나(P<0.05), 그 외의 일반 조성분, 단백질의 pepsin 소화율 및 pH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염분(5.16 vs 4.40%)은 9% 정도 감소하였다(P<0.05). 사료화 방법 중 건식 사료화 방법은 영양소 손실율(대사성에너지 24%, 유기물 12% 등)이 가장 높았으며(P<0.05), 반건식 및 습식 발효 사료화 방법은 미미한 영양소 손실을 보여주었다. 현장 업체 방문 조사 결과, 특히 아파트원 음식물쓰레기의 사료화 시 모든 처리 방법들 공히 제품에의 이물질 잔존 문제는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완벽한 선별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건식 사료화시 열처리에 따른 상당한 에너지 성분 감소와 단백질의 질적 저하는 다른 사료와의 배합비 설계시 양질의 에너지 및 단백질 사료의 보충을 필요로 하였다. 반건식 발효 사료화의 경우, 보조 사료와의 혼합시 과학적인 사료 배합비 설계가 요구되었다. 습식 발효 사료화 방법의 경우, 고수분 사료의 공급으로 인한 동물의 건물 섭취량 제한 현상으로 초래되는 동물 성장 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고영양성 사료를 보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Chemical composition of protein concentrate prepared from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roe by cook-dried process

  • Lee, Hyun Ji;Park, Sung Hwan;Yoon, In Seong;Lee, Gyoon-Woo;Kim, Yong Jung;Kim, Jin-Soo;Heu, Min 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12.1-12.8
    • /
    • 2016
  • Roe is the term used to describe fish eggs (oocytes) gathered in skeins and is one of the most valuable food products from fishery sources. Thus, means of processing are required to convert the underutilized yellowfin tuna roes (YTR) into more marketable and acceptable forms as protein concentrate. Roe protein concentrates (RPCs) were prepared by cooking condition (boil-dried concentrate, BDC and steam-dried concentrate, SDC, respectively) and un-cooking condition (freeze-dried concentrate, FDC) from yellowfin tuna roe. The yield of RPCs was in the range from 22.2 to 25.3 g/100 g of roe. RPCs contained protein (72.3-77.3 %), moisture (4.3-5.6 %), lipid (10.6-11.3 %) and ash (4.3-5.7 %) as the major constituents. The prominent amino acids of RPCs were aspartic acid, 8.7-9.2, glutamic acid, 13.1-13.2, and leucine, 8.5-8.6 g/100 g of protein. Major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in each of the amino acid. K, S, Na, and P as minerals were the major elements in RPCs. No difference noted in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rotein band (15-100 K) possibly representing partial hydrolysis of myosin. Therefore, RPCs from YTR could be use potential protein ingredient for human food and animal feeds.

Evaluation of the Probiotic Potential of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Isolated from Meju, a Korean Soybean Fermentation Starter

  • Jung, Ji Hye;Lee, Myung Yul;Chang, Hae 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1호
    • /
    • pp.1510-1517
    • /
    • 2012
  • To evaluate the probiotic potential of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isolated from meju, a Korean traditional soybean fermentation starter, its functionality and safety were investigated. B. polyfermenticus CJ6 was sensitive to all antibiotics listed by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The strain was also non-hemolytic, carried no emetic toxin or enterotoxin genes, and produced no enterotoxins. The resistance of B. polyfermenticus CJ6 vegetative cells and spores to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was high (60-100% survival rate). B. polyfermenticus CJ6 produced high amounts (0.36 g as a purified lyophilized form) of ${\gamma}$-polyglutamic acid (PGA). We speculate that the improved cell viability and the production of ${\gamma}$-PGA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dhesion of the strain to Caco-2 and HT-29 cells was weak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strain (Lb. rhamnosus GG), but it was comparable to or stronger than those of reported Bacillus spp. When B. polyfermenticus CJ6 spores were given orally to mice, the number of cells excreted in the feces was 4-fold higher than the original inocula. This suggests the inoculated spores propagated within the intestinal tract of the mice. This idea was confirm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hich revealed directly that B. polyfermenticus CJ6 cells germinated and adhered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mic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 polyfermenticus CJ6 has probiotic potential for both human consumption and use in animal feeds.

Effect of Dietary Genetically Modified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on Immune in Rats

  • Park, Soo-Jin;Jeong, Mi-Hye;Park, Kyung-Hun;Park, Jae-Eup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33-139
    • /
    • 2012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etically Modified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rice developed by simultaneous expression technology in NAAS on biological immunity. Accordingly, this study added Genetically Modified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25, 50% and general rice 50% as control group into diet and provided rats with the prescribed feeds and then measured the contents of immunoglobulin and cytokine in blood. As a result, male and female IgM, IgE, male IgG1, female IgG2a and TNF-a, IL5 and IL12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male IgG2a tended to decrease dependently on the combined concentr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female IgG1 showed significance with control group, but its association with diet was not found. The higher the dietary mixing ratio, the more the male and female IFN-a and female IL-4 contents, regardless of rice variety, and it was found that female IL6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but its association with diet was not found. The risk of beta carotene-enriched rice into environment and human body has not been reported yet. The digestion of Genetically Modified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can be seen as "safe" as this test result showed no big difference between general rice and Genetically Modified ${\beta}$-Carotene Biofortified Rice, and its usability is full of suggestions.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의 성분분석(成分分析) 및 효소분해(酵素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mposi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of Some Agricultural Waste Products)

  • 우창명;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00-308
    • /
    • 1972
  • 주요(主要)한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의 사료적(飼料的) 이용(利用)을 위하여 그들의 성분분석(成分分析)을 실시하였고, 왕겨의 효소적(酵素的) 가수분해(加水分解)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왕겨, 볏짚, 보리짚, 밀짚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탄수화물(炭水化物) 조성(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2) 왕겨 분해효소(分解酵素) 생산균주(生産菌株)로서 Aspergillus niger를 선정하였고 이를 수세(水洗)밀기울에 배양할 때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배양일수(培養日數) 3일, 철수량(撤水量) 55%, 철수(撤水) pH는 중성(中性)이었으며 효소추출(酵素抽出)시간은 1시간 정도가 적당하였다. 3) Aspergillus niger에서 생산(生産)한 조효소제(粗酵素劑)의 xylan가수분해율(加水分解率)은 63%, 왕겨 가수분해율(加水分解率)은 7%이었고, 작용(作用) 최적(最適) pH는 xylan 4.0, 왕겨 4.5이었다. 4) 왕겨의 효소분해(酵素分解)는 감마선 조사(照射) $0.5{\sim}5Mrad$에 의하여 풍건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억제되었으나 수화상태(水和狀態)에서는 선량(線量)이 높아짐에 따라 그 효과(效果)가 적었다.

  • PDF

Changes in in vivo ruminal fermentation patterns and blood metabolites by different protein fraction-enriched feeds in Holstein steers

  • Choi, Chang Weo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92-399
    • /
    • 2017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proteins as fraction-enriched protein, defined by Cornell net carbohydrates and protein system (CNCPS), on in vivo ruminal fermentation pattern and blood metabolites in Holstein steers fed total mixed ration (TMR) containing 17.2% crude protein. Four ruminally cannulated Holstein steers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consumed TMR only (control) and TMR with rapeseed meal (AB1), soybean meal (B2), and perilla meal (B3C). Each protein was substituted for 23.0% of crude protein in TMR. Rumen digesta were taken through ruminal cannula at 1 h interval during the feeding cycle in order to analyze ruminal pH, ammonia-N, and volatile fatty acids (VFA). Plasma metabolites in blood taken via the jugular vein after the rumen digesta sampling were analyzed. Feeding perilla meal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mean ruminal pH compared with control and the other protein feeding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feeding protein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ruminal ammonia-N concentration except for AB1. Statistically (p > 0.05) similar total VFA appeared among control and the supplemented groups. However, control, AB1, and B2 showed higher (p < 0.05) acetate concentrations than B3C, and propionate was vice versa. CNCPS fractionated protein significantly (p < 0.05) affected concentrations of albumin and total protein in blood; i.e. plasma albumin was lower for control and B2 groups than AB1 and B3C groups. Despite lack of significances (p > 0.05) in creatinine and blood urea nitrogen, AB1 and B2 groups were numerically higher than the others.

팽이버섯 탈병배지의 사료첨가가 육계의 질 및 생산비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ng of Flammulina velutipes Cultivation Media Wastes into Chicken Feed on the Meat Quality and Production Cost of Broiler)

  • 정종천;전창성;김승환;장갑열;박정식;나재천;전민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9-33
    • /
    • 2006
  • 버섯(mushroom)의 가축사료화 가능성을 조사하여 친환경농업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한 결과, 팽이버섯 탈병배지를 육게사료에 5~10% 첨가시 사료절감 10~20%, 복강지방 감소 25~37% 및 육질개선 효과가 있었다. 또한 팽이버섯 탈병배지를 육계사료에 5~10% 첨가하여 사육한 닭고기는 아미노산 함량이 33~38% 증가하였으나, 20% 이상 첨가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