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lar segment analysis (ASA)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부산의 중심지 이동과 분화 (Moving and Differentiating the Center Area of Busan Using Space Syntax Theory)

  • 김성열;김지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00-217
    • /
    • 2023
  • 본 연구는 부산의 도시공간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여 중심지 변화 및 공간관리의 계획적 역할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방법은 공간구문론의 ASA(Angular Segment analysis) 기법을 사용하였고 분석 기간은 부산시가지계획이 수립된 1937년부터 2022년까지 세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남포동, 광복동 지역에서 형성된 중심지가 분화하여 서면으로 이동하였고, 이후 서면에서 연산으로 재분화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향후 중심지가 서부권으로 이동할 여지가 있고 정책적으로 설정된 중심지 및 어메니티적 요소로 형성되는 중심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공간구문론의 명료도 분석을 통해 도시공간구조의 체계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연구들에서 정성적으로 해석한 것과 공간구문론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 서로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관리를 위한 계획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주시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An Investigation of the Spatial Transition in Naju City via Space Syntax Framework)

  • 오병삼;최내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4-131
    • /
    • 2023
  • 본 연구는 도시공간 구조분석 설명력이 높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의 ASA(Angular Segment Analysis)를 활용해 나주시의 종단적 공간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시간적 범위로 일제강점기인 1920년 이후 100년 기간 중 5개년도를 선별해 분석도면들을 GIS 플랫폼 상에서 구축한 후, 대상지에 대한 시계열 공간변화 양상을 공간구문론 전체통합도(global integration)와 박스플롯(box plot) 통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ASA 분석결과, 나주시 도시구조는 2000년에서 2020년 사이 큰 변화를 겪었는데, 원도심이 단일핵 구조에서 탈피하여 분화되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도시 중심부 위치도 광주전남 혁신도시가 입지한 원도심 동측으로 이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확장과 원도심 쇠퇴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제주시 동(洞) 지역을 중심으로 (A Space Syntactic Study on Urban Expansion and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Focusing on Jeju City)

  • 김성훈;오병삼;최내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확장이 원도심 쇠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그 가능성을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방법론으로 검토하고자 제주읍성 일대의 원도심을 대상으로 도시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종단적 분석의 시점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 사이에 1914년, 1972년, 1982년, 1996년, 그리고 2021년 현재의 5개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은 공간구문론의 ASA(Angular Segment Analysis)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시 동지역의 도시구조는 1914년에서 2021년 사이에 큰 변화를 겪어왔다. 도심은 단일핵 구조에서 다핵 구조로 변화하였으며, 원도심이 위치한 구제주 지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접하여, 도시확장이 한라산 자락의 남측으로 편중되어 도시중심부의 위치도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제주시 원도심은 도시공간구조의 역동성에 의하여 도시중심부의 중심지에서 주변지역의 하나로 전락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확장에 의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과정에서 원도심의 도시중심부 이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원도심 쇠퇴의 한 요인으로서 도시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상업지구 내 가로망의 공간배열 특성 - 대전시 으능정이 문화거리를 중심으로 (Spac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Street Network in Commercial District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Ecology - Focused on Euneungjeongi Culture Street in Daejeon, Korea)

  • 박준영;임수영;반영운;정상규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17-22
    • /
    • 2013
  • This study aims at proposing a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an urban commercial district by identifying space syntactic propertie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ecology, of the street network in Enuengjeongi culture street as the representative commercial district of Daejeon City in Korea. The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Angular Segment Analysis (ASA) on the street network in subject area for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ocially integrated nodes are arranged along the axis of main street in the district. However, in some of those node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social integrative function have weakened, because open spaces as public space for the general public are occupied illegally by commercial purposes of shops and car parking. It was found that the socially isolated nodes are located at the district boundary connected to a relative narrow street, with a relatively low density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Besides, it was identified that a street width in the commercial district may be a factor affect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a space on the basis of the openness of the space.

대구 약령시 지구 내 가로 체계의 공간구문 분석 (Space Syntax Analysis on Street System in Yakryeong Market District in Daegu, Korea)

  • 정상규;임수영;박준영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51-156
    • /
    • 2013
  • This study examines the properties of spaces wher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been preserved in the street system of Daegu Yakryeong market district, by using Space Syntax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SA(Angular Segment Analysis) on each node (spatial unit) in the street network. An overall characteristic of spatial configuration in street system of the surveyed district is that nodes in the street network tend to form socially integrated spatial structure to allow easy access to each space in the system. There are a small number of socially isolated spaces in the street system, which are located at nodes in narrow streets adjacent to the roadway outside the district, or in narrow alleys between early modern Korean buildings.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spaces have high level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contain buildings playing a central role of the community, a traditional street market, symbolic landmarks.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in leading to rational land use planning for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an urban distr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