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uilla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초

아질산의 만성중독증에 의한 참장어(뱀장어)의 병리조직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y of chronic nitrite toxicity o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양한춘;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3-118
    • /
    • 1992
  • 담수어류중의 주요 양식대상종인 참장어(뱀장어), Anguilla japonica TEMMINCK et SCHLEGEL의 아질산 독성에 의한 만성적인 중독증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H 5.5와 6.0에서는 6주째부터 아질산의 농도에 관계없이 참장어 복면에 회색반문이 생겼다. pH 5.5에서는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액물질이 많이 분비되어 백탁되면서 참장어는 죽기 시작했다. 2. 아질산 10ppm구에서 8주간 사육하였을 때 혈액이 갈색으로 변하였고, 아질산 30ppm구에서 8주간 사육하였 때 빈혈증상이 나타났다. 3. 아질산의 농도가 높을 수록, pH가 낮을 수록 아가미 상피세포 조직의 표면에 점액물질의 분비가 많아졌다. 4. 아질산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염세포의 수가 감소되었으며, 아질산 40ppm구에서는 새변의 선단 부위에서만 염세포가 관찰되었다. 5. 아질산의 농도가 10ppm 이상인 경우 새변의 퇴행성 변성이 진행되어 상피세포의 박리와 탈락이 일어나며 2차새변의 모세혈관이 위축되고 붕괴되었으며 또한 만곡증상도 많이 나타났다. 6. 수온과 아질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새변에 혈전이 많이 생기며 괴사되는 부분도 많이 관찰되었다. 새변의 병변이 적게 일어난 것은 아질산 농도가 10ppm 이하일 때 였으며 아질산 농도 1ppm과 5ppm에서도 새변의 병변은 관찰되었으나 시일이 지남에 따라 정상적인 새변으로 재생되는 경향이 있었다. 7. 참장어의 아질산에 대한 성장저해 농도는 혈전의 형성이 비교적 적은 pH 7.0~7.5에서의 아질산 농도가 5ppm 보다는 높고 10ppm보다는 낮은 농도일 것이고, 아질산에 대한 안전농도는 2차새변의 박리와 혈전이 생기지 않고 모세혈관벽의 붕괴로 출혈이 일어나지 않으며 염세포가 새변의 기저부에까지 출현하는 pH 7.0과 7.5의 아질산 농도가 1ppm보다는 낮은 농도일 것으로 보인다.

  • PDF

참장어(뱀장어) Anguilla japonica 양어장(養魚場)에서의 아질산(亞窒酸) 중독(中毒)에 의한 Methemoglobin증(症)과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변성(變性) (On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Methemoglobinemia to Nitrite Toxicity in the Culture Farms of Eel, Anguilla japonica)

  • 양한춘;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1991
  • 가온(加溫) 양어장(養魚場)에서 자란 참장어(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변화(變化)와 Methemoglobin증(症)에 대(對)해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양어장(養魚場)의 수질(水質)은 수온(水溫) $22.0{\sim}29.0^{\circ}C$, DO 4.33~7.33ppm, pH 6.1~8.2, $NO_2$ - N 0.03~10.1ppm의 범위(範圍)였다. 2. 조사(調査) 대상(對象)인 참상어는 외관상(外觀狀)으로는 활력(活力)이나 체색(體色) 및 혈액(血液)에 이상(異常)이 없었고, pH 6.0 정도(程度)로 낮은 양어장(養魚場)이 참상어는 체표면(體表面)에 점액질(粘液質)이 많았으며 점착력(粘着力)이 컸었다. 3. Methemoglobin양(量)은 12월(月)에 총(總) 적혈구(赤血球)의 1.03~9.86%, 6월(月)에 5.05~25.69%였으며, 변형적혈구(變形赤血球)의 양(量)은 12월(月)에 5.83~30.17%, 6월(月)에 8.67~74.45%로서 Methemoglobin이나 변형적혈구(變形赤血球)의 출현량(出現量)이 다 같이 하계(夏季)에 많은 증가(增加)를 보인 것은 양어장(養魚場)의 물 관리(管理)가 겨울철에도 좋지 못했지만 여름철에 더 좋지못했다는 결과(結果)인 것 같다. 4. 아가미, 간(肝) 및 신장(腎臟) 조직(組織)은 조사(調査)한 양어장(養魚場) 전체(全體)에서 중급(中級) 이상(以上)의 부종증상(浮腫症狀)을 보였고, 3월(月)과 6월(月)에 아가미는 2차새변 상피세포(上皮細胞)(호흡세포((呼吸細胞))의 박리(剝離)가 일어나는 심(甚)한 변성(變性)을 보인 양어장(養魚場)에 많아졌으며 간장(肝臟)은 핵농축(核濃縮)이나 동공화(洞空化)된 세포(細胞)가 많아졌고 신장(腎臟)은 대다수(大多數)의 양어장(養魚場)에서 혈철증(血鐵症)이 생겼다. 5. 아질산(亞窒酸) 농도(濃度)가 높은 양어장(養魚場)에서 Methemoglobin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은 있었으나 반드시 일치(一致)하지는 않았고, pH가 6.0 정도(程度)로 낮은 양어지(養魚池)에서는 아질산(亞窒酸)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Methemoglobin과 변형적혈구(變形赤血球)의 출현량(出現量)이 대체(大體)로 증가(增加)했으며 아가미, 간(肝) 및 신장(腎臟) 조직(組織)의 퇴행성(退行性) 변성(變性)이 심(甚)했다.

  • PDF

Amoxicillin trihydrate의 단독 경구투여 및 정맥투여에 따른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amoxicillin trihydrate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y single oral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s)

  • 전은지;서정수;김진도;정승희;김명석;황지연;박명애;지보영;김진우;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7-367
    • /
    • 2010
  • 아목시실린(Amoxicillin trihydrate; Amox)을 뱀장어(평균 체중 $220{\pm}10\;g$)에 1일 1회 경구투여(40 및 80 mg/kg body weight) 및 정맥투여(1 mg/kg)한 다음, 경시적(0시간~720시간)으로 혈장내 Amox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40 및 80 mg/kg 농도로 경구투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투여 6시간째 각각 $3.3{\pm}0.5$$3.4{\pm}0.1\;{\mu}g/m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Amox의 모든 시험구는 투여 720시간째 혈중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Amox의 경구투여방법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한 2-compartment model로 하여 Amox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2-compartment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40 및 80 mg/kg Amox를 경구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각각 464 및 $667\;{\mu}g{\cdot}h/m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max)은 2.1 및 3.6 hr, 혈중최고농도(Cmax)는 3.04 및 $3.4\;{\mu}l/ml$로 계산되었다. 1 mg/kg Amox을 정맥 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748\;{\mu}g{\cdot}h/ml$, 혈중최고농도(Cmax)는 $4.2\;{\mu}l/ml$로 계산되었다. 1일 1회 단독으로 40 및 80 mg/kg Amox를 각각 경구 투여시의 뱀장어내 생체내이용율(F%; bioavailability)은 각각 1.6, 1.1%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목시실린을 삼수화물 형태로 사용함에도 낮은 어류내 생체내이용율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어류의 심방에 미치는 5-Hydroxytryptamine, Epinephrine , Norepinephrine 및 Acetylcholine의 영향(제 1 보) (The Effects of Hydroxytryptamine,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on the Isolated Atria from Fishes (I)-On the Several Species of Fresh Water Fishes)

  • 위인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8-52
    • /
    • 1964
  • 1. The auther studi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bility of heart of fishes to neuro-hormones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ie) and 5-hydroxytryptamine and the differentiation of nervous system in the heart . Attempts were also made to develop the similarity and systematic relationship of inter-genus and inter-species. 2. Judging from the reactions to neurohormones, it is considered that inter-genus of locah (Misgurnus mizolepis GNTHER) and eel (Anguilla japonic TEMMINEK & SCHJEGEL) are more closely related than that of Crucian (Carassius carassius L. ). 3. As the sensibility of locach to 50 jhdroxytryptamine is more sensitive over 10, 000 times than that of a Mollusca, Meretrix lusoria RODING, it is very excellent material for the bioassay of 5-jydroxytryptamine.

  • PDF

Potentiating effect of methyltestosterone in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 Kwon, Hyuk-Chu;Son, Seong-Ok;Lee, Chan-Hee;Kwon, Joon-Yeong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5-286
    • /
    • 2003
  • Vitelllogenin(Vg) is a sex specific protein appearing in the blood of sexually maturing female fish as well as other oviparous vetebrates. It is synthesized in the liver in response to estradiol-l7$\beta$(E$_2$). Although E$_2$ is a main induce. of Vg synthesis, other hormonal requirements have also been reported to be important in Vg synthesis(lazier et al., 1996; Peyon et at., 1997). (omitted)

  • PDF

염분적응에 따른 뱀장어 표피의 미세 구조적 변화 I . 상피세포 (Fine structural Changes in the Ele Epidermis According to Sea Water Adaptation. I Epithelial Cell)

  • 박인식;김진정조운복박상옥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6-37
    • /
    • 1995
  • 뱀장어, Anguilla joponicu의 표피를 구성하는 주종 세포인 상피세포는 80남 정도의 많은 당김세사를 함유하고 있어서 표피의 골격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회유행동 특성에 의해. 성숙된 뱀장어는 바다로 나가게 되고 표피는 급격한 환경변화를 서게 되는데 그 현상들을 살펴보면 먼저 상해반응으로 세포 내의 파립 형질내세망의 내강이 확장되는 현상과 다양한 크기의 공포의 증가로 인해 상피세포들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며 일부 세포에서는 괴사 또는 변성되는 형태인 다층층판구조를 갖기도 한다. 이에 대한 능동적 대처로 부착반쪽으로 모이는 당김세사들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되며, 상피세포 사이의 연접부위에 부착반의 수가 증가되며 미토콘드리아. 형질내세망 등 세포소기 관이 발달되고, 분비과립의 증가 등 분비양상이 증가되고, 능동적인 염배출과 연관된 핵상부의 중앙축을 따라 미토콘드리아 및 과립 형질내세망이 풍부한 세포도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화는 염분농도의 증가에 따른 환경적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상피세포의 기능적 방어기작이라고 사료된다.

  • PDF

Levamisole이 양식뱀장어의 면역조절작용 및 항균효과에 미치는 영향 (In vivo, Immunomodulatory and Antibacterial Reaction of Levamisole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최민순;박관하;조정곤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levamisole (LMS) in 5. fgrjn challenged eels with different treatment regimens: 7-day LMS treatment before the challenge, 7-day LMS treatment started simultaneously with the challenge, 14-day treatment before and after the challenge.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activated in all treated groups, with the best being obtained in the simultaneously treated group. LMS stimulated the defense mechanisms of the eel as demonstrated by increase in the level of total protein, albumin, trypsin inhibitor capacity, lysozyme activity, antibody titers antibacterial activity and survival ra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bacterial effects of LMS was achieved by not only non-specific immune response but also specific one in eel.

  • PDF

자연산 뱀장어의 인위적인 성숙 유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변동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in Artificially Maturing Wild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김응오;박민우;조용철;임상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7-274
    • /
    • 2006
  • 자연산(silver 및 yellow) 뱀장어의 인위적인 성성숙 과정중에 체중 및 혈중 성호르몬 농도를 조사하기 위해 연어 뇌하수체 추출물(SPE; 20 mg pituitary powder/fish)를 Freund's incomplete adjuvant로 water-in oil (W/O) 형태로 유화시켜 매주 복강에 주사하였다. Eel's Ringer액만으로 유화시켜 주사한 대조구(silver 및 yellow) 뱀장어의 경우, 체중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혈중 성호르몬(testosterone; T, $estradiol-17{\beta};\;E_2$$17{\alpha},20{\beta}-dihydroxyprogesterone$; DHP)의 농도도 실험기간 동안 거의 변화없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한편, 매주 SPE로 주사한 silver 뱀장어는 투여 6주후부터 급격한 체중변화가 일어났으며, 대부분 개체의 난모세포는 핵이동기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또한 혈중 T와 $E_2$ 농도의 두드러진 증가는 투여 6주후부터 관찰되어 졌다. 매주 SPE로 주사한 yellow 뱀장어의 경우, 대부분 개체는 투여 5주까지 체중 변화가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들 개체의 대부분은 실험종료시에도 제3 난황구기의 난모세포들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특히 실험 기간중 혈중 T와 $E_2$ 농도는 개체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는 제각기 투여 8주째와 투여 6주 후 부터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주 SPE로 주사한 자연산 뱀장어(silver 및 yellow)의 혈중 DHP 농도는 실험 기간동안 불검출 혹은 매우 낮은 농도로 유지하였으며,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sliver 뱀장어에 있어서 SPE를 W/O 형태로 유화시켜 반복 투여함으로써 체중 및 혈중 성호르몬(T와 $E_2$)의 급격한 증가 및 최종성숙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뱀장어의 in vitro Vitellogenin 합성에 대한 Estradiol과 뇌하수체 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Estradiol and Pituitary Hormones on in vitro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 권혁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2-290
    • /
    • 1997
  • Vitellogenin 합성 메카니즘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뱀장어의 간세포배양계를 이용하여 Vg합성에 대한 $E_2$ 및 뇌하수체호르몬들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비롯한 난생 척추동물들의 Vg은 $E_2$의 자극에 의해 간장에서 합성분비되어 지나 뱀장어 Vg은 $E_2$으로는 충분한 합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E_2$와 GH 및 PRL을 함께 첨가하면 Vg합성이 활발하게 유도되어 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E_2$ 만으로 Vg이 합성되어지지 않는다면 세포내에 Vg합성 및 $E_2$ 의 활성을 억제하는 내인성 요소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세포를 8일간 호르몬 첨가없이 preculture하여 시행하였으나, $E_2$만으로 Vg합성은 유도되어 지지 않고 GH 및 PRL의 도움이 필요했다. 또한 $E_2$ 만으로 10일간 배양하여 장기간 $E_2$ 로 노출시켜 Vg합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바, 약 10일간의 $E_2$ 노출에 의해 Vg합성은 전기영동상의 확인에 의해 양적으로 다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E_{2}+GH$$E_{2}+PRL$의 첨가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뱀장어의 Vg합성 유도에는 뇌하수체 호르몬들이 직접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E_{2}+GH+PRL$을 함께 첨가하여 6일간 배양하여 Vg이 왕성하게 합성되어 질때에도 계속해서 GH 및 PRL들이 필요한가를 조사하였는데, 3일간 관찰한 결과 Vg의 합성 정도는 GH 및 PRL등의 첨가유무에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9.8{\times}10^5\;CFU/g$$1\~1.5-log-unit$가 증가하였다.평가는 0.005였다.5IU/ml의 배지에서는 대조구의 배란율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E_2$를 제외한 스테로이드와 HCG는 동자개의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을 in vitro에서 유도할 수 있으며, $17\alpha\;20\alpha\;OHP$와 HCG는 다른 스테로이드에 비해 높은 율의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을 유도하였다.체로 잘 일치하였다. 또한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의 전반적인 계절별 공간분포는 다양도 분석 결과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퇴적물 내의 유기물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hlorella sp., yeast를 rotifer에 먹이로 투여했을 때 $S\;\pi-I$에서 lysine이 가장 높았고, PSB, Chlorellaal sp. 순으로 분석되었다. yeast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TEX>, betaine류$(0.1\~0.9\%)$의 순이었다. 연어 엑스분중의 질소분포 특징은 모든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anserine과 creatine이 중요한 함질소 성분으로서 엑스분 질소에 대한 양 성분질소의 비율은 anserine이 평균 $38\%$, creatine이 평균 $31\%$로서 이 두 성분만으로 엑스분질소의 $60.9\~76.5\%$에 달하였다. 분석된 성분에 의한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급여 뱀장어(Anguilla japonica) 지질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Lipids from Eel (Anguilla japonica) Fed Conjugated Linoleic Acid)

  • 최병대;강석중;하영래;김소영;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67
    • /
    • 2006
  •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능성을 나타내는 원료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인의 식습관 상 어류 섭취가 많고 이로부터 DHA, EPA와 같은 기능성 지질의 섭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별인정 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항암성, 체지방 감소효과 등을 보이고 있는 CLA를 어류사료에 첨가하여 안정성이 높은 중성지질의 형태로 바꾸어 항산화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뱀장어 사료에 CLA 함량을 $0\%,\;0.5\%,\;1.0\%,\;2.5\%$, 및 $5.0\%$로 성형하여 순환여과식 사육장치에서 8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후 이들 시료로부터 지질을 추출하고 $37^{\circ}C$에 저장하면서 지방산조성의 변화, 지질 class의 변화, 산소 소비에 따른 중량증가, 과산화물가, 카아보닐가 등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CLA 축적량은 $0.5\%,\;1.7\%,\;3.3\%$$6.2\%$로 나타나 CLA 공급이 많을수록 축적되는 CLA량은 증가하였다. 대조구의 경우 저장 3주 후부터 불포화산의 함량이 감소하여 $13.7\%$에서 5주 후에는 $6.2\%$로 급감하였다. $0.5\%$ CLA 급이구는 저장 4주째 불포화산의 함량이 $11.8\%$, 5주째는 $7.4\%$로 감소하였으며, $1.0\%$$2.5\%$ CLA 급이구에서는 불포화산의 함량이 4주째 $15.3\%$$14.8\%$로 변화가 적었다. 중성지질의 class 조성은 $1.0\%$$2.5\%$ CLA 급이구는 저장 5주째 중성지질과 인지질의 비가 53.9:46.1 및 64.3:35.7로 낮아졌으며, 다른 구에서는 저장 4주째부터 산화가 진행되었다. 과산화물가와 카아보닐가의 변화에서도 $1.0\%$$2.5\%$ CLA 급이구가 산화에 가장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