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le interpola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7초

최단강하선 문제를 위한 신경회로망 최적 제어 (Optimal Control using Neural Networks for Brachistochrone Problem)

  • 박진현;최영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818-824
    • /
    • 2014
  • 최단강하선 문제의 해는 cycloid 형태라는 것이 밝혀졌으나, bead의 정확한 각도 값은 복잡한 비선형방정식의 역관계를 테이블 형태로 구해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사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비선형방정식의 역관계식을 표현하였고, 신경회로망의 보간 기능으로 인해 높은 정확도의 최단시간제어가 가능하였다. 여러 가지 최종목표점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Design Method for Cascades Consisting of Circular Arc Blades with Constant Thickness

  • Bian, Tao;Han, Qianpeng;Bohle, Martin
    •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 Machinery and Systems
    • /
    • 제10권1호
    • /
    • pp.63-75
    • /
    • 2017
  • Many axial fans have circular arc blades with constant thickness. It is still a challenging task to calculate their performance, i.e. to predict how large their pressure rise and pressure losses are. For this task a need for cascade data exists. Therefore, the designer needs a method which works quickly for design purposes. In the present contribution a design method for such cascades consisting of circular arc blades with constant thickness is described. It is based on a singularity method which is combined with a CFD-data-based flow loss model. The flow loss model uses CFD-data to predict the total pressure losses. An interpolation method for the CFD-data are applied and described in detail. Data of measurements are used to validate the CFD-data and parameter variations are conducted. The parameter variations include the variation of the camber angle, pitch chord ratio and the Reynolds number. Additionally, flow patterns of two dimensional cascades consisting of circular arc blades with constant thickness are shown.

Image analysis에 의한 한지와 화지의 섬유 배향성 연구 (The Study of Hanji and Washi Fiber Orientation using Image analysis)

  • 한윤희;에노마에 토시하루;이소가이 아키라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89-96
    • /
    • 2006
  • To estimate the manufacturing district and generation of ancient paper as a cultural property, fiber orientation is one of the criteria. Image analysis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with suitable modifications was demonstrated to be an effective means to determine angle and intensity of fiber orientation as a nondestructive method. Binarization process of microscopic images of paper surface and precise calculation for average Fourier coefficients as an angular distribution by linear interpolation were newly introduced in the procedures to improve the accuracy. This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digital optical micrographs of paper surfaces. Korea and Japanese traditional hand making papers were well distinguished. Korea and Japanese papers made in the traditional ways showed its own characteristic orientation behavior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 of a bamboo wire.

  • PDF

M형 CIP법을 이용한 3차원 음장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hree-Dimension Acoustic Field Analysis using the Type-M CIP Method)

  • 이채봉;오성관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20-22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유체역학 분야의 Yabe 박사 팀에 의해 제안된 CIP법을 이용한 3차원 시간영역 음장해석법의 정밀도에 대해서 자세한 검토를 하였다. 즉, 3차원 CIP 음장해석의 위상오차의 특성과 전파방향에 따른 오차를 명확히 하고, 본 수치 해석법의 유효성을 나타내었다. 다차원 CIP법으로는 M형, C형, A형이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M형 CIP법을 이용한 음장해석의 정밀도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 종래의 수치해석법으로 staggered-grid 모델을 이용한 FDTD법에 따른 계산결과와의 비교 검토를 하였다. 본 논문의 검토에 의해 같은 이산화조건에서는 CIP법이 FDTD법보다 해석법이 가진 분산성이 적고, CIP법으로 계산된 음압 파형이 FDTD법으로 계산된 음압 파형보다 변형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탄성파 주시 토모그래피의 연구 (Seismic Traveltime Tomography using Neural Network)

  • 김태연;윤왕중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권4호
    • /
    • pp.167-173
    • /
    • 1999
  • 탄성파 토모그래피 중에서 많이 사용되는 2차원 시추공-시추공 주시 토모그래피는 파선각이 제한됨에 따라 분해능이 저하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감소된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검토해 보았다. 토모그래피 역산 과정은 파선의 위치 및 주시에 대한 오차에 민감하므로 선형 주시 보간법을 사용하여 파선을 추적하였으며, 다른 파선 추적법들에 의한 역산결과와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반복적 비선형 역산 과정에 있어서, 파선경로의 추적에 소요되는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 계산과정 동안 선형성을 고려하였으며 그 결과 빠른 수렴을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역산과정에서는 적절한 초기 모델의 선정이 계산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획득된 주시로부터 초기속도 모델을 계산하였다. 지구물리학에서 인공 신경망법으로 많이 쓰이는 다층 전향 신경망은 내재된 단점들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GRNN신경망을 이용하였다. 인공 신경망으로부터 계산된 초기모델을 역산에 사용함으로써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파선 투과각이 넓은 경우나 탐사 대상체가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초기모델이 역산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지구물리학적 토모그래피에서는 파선의 투과각이 제한을 받게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럴 경우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초기 모델값을 계산함으로써 역산 결과 생성되는 단면도의 분해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극 좌표계 원형 홍채영상에서의 특징 검출에 의한 홍채인식 연구 (A Study on Iris Recognition by Iris Feature Extraction from Polar Coordinate Circular Iris Region)

  • 정대식;박강령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3호
    • /
    • pp.48-60
    • /
    • 2007
  • 기존의 연구에서는 홍채 특징 추출을 위해 검출된 원형 홍채 영역을 직교 사각형 홍채 영상으로 스트레칭 및 보간 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경우 실제 홍채 특징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홍채 영상의 왜곡 없이 정확하게 홍채 특징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극좌표 원형 영상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직교 사각형 영상 방식보다 인식 성능 면에서 우수하다는 점을 해밍거리, 코사인거리, 유클리디안 거리의 3가지 metric을 이용하여 실제로 비교해본 점이며, 두 번째, 최근 홍채인식 연구의 주된 흐름인 품질이 좋지 못한 Non-Ideal 홍채 영상 중 하나의 형태인 홍채 카메라의 중심을 쳐다보지 않은 상태에서 취득된 홍채 영상의 동공과 홍채 중심 위치가 많이 차이나는 경우에 동공과 홍채 경계를 각각 원형 경계 검출로 경계를 찾은 후, 영상에 대한 보간(interpolation)없이 극좌표 원형 홍채 영상에서 직접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홍채인식의 성능을 향상한 점이다. 마지막 세 번째는 극좌표 원형방식을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중복 포인트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러한 중복 포인트들은 같은 위치에서 여러 홍채 특징을 추출하는 현상을 야기함으로서 저주파 홍채 특징을 생성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홍채 특징의 신호 변화가 실제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같은 위치에서의 여러 홍채 특징들을 추출함으로써 파형변화가 적은 비슷한 홍채 신호를 만들게 된다. 중복 포인트가 주기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동공부근의 첫 번째 트랙에 가버필더 적용 시 필터의 주파수를 작게 하여 중복 포인트에 의해 발생된 저주파 홍채 신호를 정확하게 추출하게 함으로써 홍채 인식 성능을 향상 시킨 점이다. 실험 결과, 기존의 직교 사각형 영상 기반 방식이 EER 0.29% 와 d'값 5.8 이였으며, 제안하는 극좌표 원형 방식이 EER 0.16% 와 d'값 6.4로 인식 성공률이 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정지궤도 위성의 탑재 궤도 생성 알고리듬 개발 (Development of Onboard Orbit Generation Algorithm for GEO Satellite)

  • 임조령;박봉규;박영웅;최홍택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2호
    • /
    • pp.7-17
    • /
    • 2014
  • 본 기술논문은 정지궤도위성의 탑재 궤도 생성 알고리듬 개발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정지궤도위성 실시간 궤도 생성에 사용되었던 기존 알고리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제시한 알고리듬을 토대로 궤도 오차 요인들의 영향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초기 궤도 결정 오차가 50 m 이내이고, 지상시스템과 탑재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위성위치각 (sidereal oscillator) 오차가 ${\pm}0.0025deg$ 이내로 유지되어야만 궤도 요구조건을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알고리듬에 대한 탑재코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소프트웨어 기반 검증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성능 검증이 수행되고 있다.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매체 이송 시스템의 이송속도 및 비틀어짐 제어기의 이득값 결정 (Gain Parameter Determination for the Feeding Speed and Skew Controller of Media Transport System using Optimization Technique)

  • 차호영;범선호;김민수;이순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6호
    • /
    • pp.607-613
    • /
    • 2009
  • In this paper, we made a simple paper feeding system which is one of MTS (media transport system) and controllers. The plant has a flexible paper and two driving rollers and two driven rollers. The control system has two conventional PID controllers. Skew angle and feeding speed of MTS deteriorate the quality of feeding system. In order to control a feeding speed and skew of feeding paper, we control rotational velocity of two driving rollers. Therefore, this controller has two inputs and two outputs as MIMO (multi-input and multi-output) system. The control inputs were the feeding speed and the skew displacement of the paper. The control outputs were the rotational velocity to each driving roller. To find appropriate PID gains of two controllers, we proposed an optimization technique. We assume the system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a whole system as follows. PID gains of two controllers for skew and feeding speed are system variables. System performance is both skew and feeding speed. We simulates to making mathematical correlation using global Kriging interpolation. To find appropriate value of system variables, optimization method is simulation in sequence as following method. First, the optimization solver simulates with DOE (design of experiment) tables to find correlation equation of both system variable and performances. Then, the solver guesses the appropriate values and simulates if the system variables are appropriate or not. If the result of validation doesn't satisfy the convergence and iteration tolerance, the solver makes a new Kriging models and iterates this sequence until satisfy the tolerances.

영역집중 형태 기술자에 의한 이진 영상의 효과적인 표현 방법 (An Efficient Method for Representing of Binary Images by Region-centralized Shape Descriptor)

  • 김선종;권혁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1호
    • /
    • pp.5-1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이진 영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 집중 형태 기술자(Region-centralized shape descriptor : RCSD)를 제안한다. 제안된 형태 기술자는 영역의 크기를 하나의 중심점에 집중되어 있는 원(circle)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주어진 이진 영상은 제안된 RCSD 파라미터로 나타난 여러 개의 원으로 표현되며, 각각의 원은 기준이 되는 원과의 거리, 반지름, 각도의 세 개 파라미터로 주어진다. RCSD로 표현된 파라미터들은 영역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형태에 대한 정보도 가지고 있으며, 주어진 RCSD 파라미터로부터 복구 성능을 평가하여 제안된 기술자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복구 성능은 원래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원래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어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윤곽선 위의 점을 찾고, 이 점들을 보간법을 사용하여 연결하였다. 성능을 평가한 결과, 여러 가지의 디지털에러에도 불구하고 실제 영상에서도 최대 88%의 성능으로 복구되었다. 이로 보아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형태정보 뿐만 아니라 영역의 크기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영상을 표현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정규화된 RCSD 패턴으로 표현이 가능하여 다양한 응용으로의 확장도 가능하다.

스트립 영상 배치를 이용한 동심원 모자익의 효율적인 생성 (Efficient generation of concentric mosaics using image-strip mosaicking)

  • 장경호;정순기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9-35
    • /
    • 2001
  • 영상기반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상환경은 영상모자익(image mosaics)을 통해 만들어진 파노라마 영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린더 파노라마 영상은 생성 시 제약성 때문에 고정 시점에 방향만을 바꿀 수 있는 탐색을 지원하다. Shum은 가상환경 내에서 자유로운 시점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카메라를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시켜 얻은 영상으로부터 동심원을 이루는 여러 개의 실린더 형태인 광필드(light field)의 4차원 함수를 세 개의 파라미터, 즉 중심으로부터 거리, 높이, 각도의 3차원 함수로 단순화시킨 동심원 모자익(concentric mosaics)을 제안하였다[10]. 그러나, 이 방법은 카메라의 동일한 간격의 수평 회전운동에 의해 영상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카메라를 배치시켜 촬영함으로써 많은 영상을 처리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hum의 동심원 모자익 생성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영상 스트립을 실린더 평면에 배치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동심원 모자익 생성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영상 촬영 시 자유로운 수평 회전이 가능하여 부가적인 촬영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새로운 시점에 대한 영상을 생성할 때, 보간 영상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영상의 질을 향상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