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r in

검색결과 1,013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 주소 충돌 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rnet Address Collision Detection Method)

  • 위선정;임영희;이태헌;박기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45-547
    • /
    • 2004
  • 현재 개인용 컴퓨터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일반 개인들은 ip에 대한 특별한 지식 없이 isp업체에서 제공하는 유동아이피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고정아이피를 사용하는 학교나 회사의 경우 일반 사용자의 대부분은 TCP/IP 주소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에 고의 또는 실수로 자신의 것이 아닌 다른 사용자의 TCP/IP주소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전체를 마비시키며, 원래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네트워크 관리자가 망 내부의 관리 대상 개인 컴퓨터와 네트워크 시스템들의 주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현재 사용하는 주소 정보가 저장된 정보와 같은 지를 웹을 통해 패킷을 검출하고, 잘못된 TCP/IP 주소의 사용을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고의나 실수에 의한 IP주소 변경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마비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 게임 콘텐츠의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자동 생성 기법 (Automatic Generation Technique of Touch-Screen Interface for Mobile Game Contents)

  • 고석훈;손윤식;박지우;오세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1호
    • /
    • pp.866-870
    • /
    • 2009
  • 최근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휴대폰의 출시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모바일 게임 콘텐츠를 터치스크린 콘텐츠로 변환하여 재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콘텐츠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터치스크린 콘텐츠로 자동 변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없는 모바일 게임 콘텐츠에 대하여 키보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콘텐츠에서 사용되는 키 이벤트의 종류를 분석하여 최적의 스크린 키보드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터치스크린 이벤트에 대해 자동으로 대응되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켜 키보드 이벤트 핸들러가 실행되는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끝으로, 실험을 통해 콘텐츠에 최적화된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가 생성됨을 확인한다.

정지영상과 동영상의 융합모델에 의한 얼굴 감정인식 (Face Emotion Recognition by Fusion Model based on Static and Dynamic Image)

  • 이대종;이경아;고현주;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73-58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좀더 자연스럽고 쉬운 형태의 능동적인 휴먼 인터페이스로 구현하기 위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에서의 감정인식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얼굴의 감정인식 기법은 Hidden Markov Model(HMM), 주성분분석기법(PCA)와 웨이블렛 변환을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얼굴의 감정인식을 위하여 심리학자인 Ekman과 Friesen의 연구에 의해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공통으로 인식하는 6개의 기본 감정인 기쁨, 슬픔, 화남, 놀람, 공포, 혐오를 바탕으로 실험하였다. 감정인식에서 입력영상은 이산 웨이블렛을 기반으로 한 다해상도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를 압축한 후, 각각의 영상에서 PCA 특징벡터를 추출한 후 이를 사용하여 HMM의 모델을 생성한다. 인식단계에서는 정지영상에서의 인식값과 동영상에서의 인식값을 정규화 과정을 통하여 상호보완 함으로써 인식률을 높일 수 있었다.

"촛불혁명"의 희망은 무엇이었으며 그것은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 (Institutional Commitment to Accomplishing the Cause of the "Candle Revolution")

  • 강명세
    • 의정연구
    • /
    • 제23권2호
    • /
    • pp.5-36
    • /
    • 2017
  • 촛불의 분노는 부패한 박근혜 정부를 무너뜨리고 문재인 정부를 탄생시켰다. 촛불의 거시적 배경은 세계화와 신자유주의가 조성한 사회적 부조리와 불평등이며 촛불은 광범한 사회개혁과 복지국가를 요구한다. 문재인 정부가 촛불의 요구를 실현하려면 정치제도를 개혁해야 한다. 개혁의 핵심은 촛불의 요구를수용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비례대표제와 의회중심제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실은 제도 개혁에 대해 수동적이고 미온적이다. 이런 점은 기득권 엘리트가 촛불이 웅변하는 변혁보다는 현상유지를 바라기 때문이다. 왜 비례대표제와 의회중심제가 민심을 반영하는가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야 한다. 학자는 정부형태와 사회적 요구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쟁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미디어는 학문적 논의가 헌법개혁과 정치제도로 나타나도록 기여해야 한다. 비례대표제와 다당제 하에서 다양한 사회적 이해가 반영되며 이는 연합정부를 매개로 정책으로 실현된다. 중산층 정당과 진보정당은 보편복지를통해 연합정부에 참여하고 복지국가재정에 필요한 증세를 추진한다. 강력한정당기능에 기초한 의회중심제는 정당의 대표기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대통령제에 비해 강력한 사회정책을 제공한다.

암환자의 성정(性情)과 심욕(心慾) 조절 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study on the controlling methods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for patients with cancer)

  • 전현진;오현주;이수경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1-21
    • /
    • 2018
  • Objective The management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with cancer is a major concern in clinical practice. In this paper, we discussed how to apply the controlling methods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o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ontrolling methods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through the literature of " Gyukchigo (格致藁)", "Donguisusebowon-Sasangchobongyun (東醫壽世保元 四象草本卷)", "Donguisusebowon (東醫壽世保元) and "Dongmuyougo (東武遺稿)", and presented the controlling methods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for patients with cancer based on the clinical experience. Results We identified the equilibrium and harmony (中節) of sorrow-anger-joy-pleasure (喜怒哀樂) is the basis of treatment and suggested 'understanding of the others (知人)', 'understanding of the diseases (知病)' and 'knowing and acting (知行)' as methods to control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The 'understanding of the others (知人)' and 'understanding of the diseases (知病)' could reduce the psychological distress. The 'knowing and acting (知行)' encourages the patients to overcome the covetous desire (心慾) and have a positive attitude to life and disease. Conclusion The controlling method of Seong-Jeong (性情) and covetous desire (心慾)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ould help cancer treatment controlling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patients with cancer, and could impact positively on the view of life and disease.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가해 경험에 대한 융합 연구 (Bullying Experience of School Bullies on Convergence Study)

  • 송열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49-35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의 가해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자료는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교폭력으로 인해 특별교육을 받고 있는 청소년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학교폭력의 원인과 지속하게 하는 요인, 사건 이후의 경험을 중심으로 13개의 주제모음과 5개의 범주로 구조화되었다. 5개의 범주는 '타인을 공감하기 어려움', '통제되지 않는 분노행동',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음'. '폭력을 통해 이득을 얻음'. '일상이 주는 어려움'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에게 실질적인 도움과 지원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 단일사례연구: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ic Client: Focused on Fairbairn's Psychological Structure)

  • 고준식;안인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09-117
    • /
    • 2023
  • 현대산업사회는 직장인에게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을 요구하며, 자기불일치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중심으로 분열된 자아를 통합하고 대인관계 패턴을 변화시켜 자기불일치를 감소시키는 상담전략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상담은 2022년 3월부터 7월까지 주 1회, 총 14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t-검증을 사용하였고, 자기질문지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내담자의 자기불일치 수준을 비교하였다. 내담자는 상담 초기에 직장상사와 갈등하면서 분노, 우울, 위장장애 등의 신체화 증상과 엄격한 자기 및 타인 평가들을 나타냈으며, 자기불일치 수준이 높았다.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리비도적 자아와 반비리도적 자아가 탈억압되어 중심자아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기불일치가 감소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자기불일치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상담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Fairbairn의 심리구조를 적용한 사례연구로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의 내담자가 대인관계 패턴의 변화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nraveling the Web of Health Misinformation: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Emotions, and Motivations of Misinform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Vinit Yadav;Yukti Dhadwal;Rubal Kanozia;Shri Ram Pandey;Ashok Kumar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3-74
    • /
    • 2024
  • The proliferation of health misinformation gained momentum amidst the outbreak of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eople stuck in their homes, without work pressure, regardless of health concerns towards personal, family, or peer groups, consistently demanded information. People became engaged with misinformation while attempting to fi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This study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analyzed 1,154 misinformation stories from four prominent signatories of the 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during the pandemic. The study finds the five main categories of misinformation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These are 1) the severity of the virus, 2) cure, prevention, and treatment, 3) myths and rumors about vaccines, 4) health authorities' guidelines, and 5) personal and social impacts. Various sub-categories supporte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se categorie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motional valence of health mis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misinformation containing negative sentiments got higher engagement during the pandemic. Positive and neutral sentiment misinformation has less reach. Surprise, fear, and anger/aggressive emotions highly affected people during the pandemic; in general, people and social media users warning people to safeguard themselves from COVID-19 and creating a confusing state were found as the primary motivation behind the propagation of misinformation. The present study offers valuable perspectives on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spread of health-related misinformation amidst the COVID-19 outbreak.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iscerning the accuracy of information and the feelings it conveys in minimizing the adverse effects on the well-being of public health.

소셜 미디어 상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적 여론에 대한 다 범주 감성 분석 (Multi-Category Sentiment Analysis for Social Opin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cial Media)

  • 이상원;최창욱;김동성;여운영;김종우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51-66
    • /
    • 2018
  • 인공지능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목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된 제품과 서비스들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에는 긍정적인 파급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나, 향후 발생 가능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경우 안정성의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트롤리 딜레마, 시스템 보안 문제 등의 사회적 이슈 또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관련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수용을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논의되는 주요 관련 이슈들에 대한 확인과 효과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세돌 vs 알파고' 시점인 2016년 3월을 포함하여 2016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2년 동안의 인공지능과 관련된 사회적인 이슈들을 파악하고 온라인상에서 발생되는 사회적 여론에 대하여 다 범주 감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표적인 포털 사이트에서 인공지능 관련 뉴스의 수와 관련된 뉴스 제목, 뉴스의 댓글을 웹 크롤링(Web Crawling) 하였다. 사회적 여론에 대한 다 범주 감성 분석은 논의되는 이슈들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단순 긍정 또는 부정이 아닌, 분노, 혐오, 두려움, 행복, 중립, 슬픔, 놀라움의 7가지 다 범주 감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이벤트 기간에 대하여 1위 감성은 '행복'으로 나타났지만 각 키워드에 대하여 나오는 감성이 상이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2016년 상반기, 하반기, 2017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보았을 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노'의 감성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현재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이슈와 동향 파악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향후 감성 분석기의 성능 향상과 댓글에 대한 공감 및 비공감도의 가중치를 추가하여 분석한다면 사회적 여론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간접적 산림체험이 인체의 심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direct Forest Experience on Human Psychology)

  • 전진영;신창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0-42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인자인 경관과 청각요소를 활용한 산림의 간접적 영향이 기분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신체건강한 대학생 30명($23.6{\pm}1.7$세)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5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약 2달간 실시되었다. 산림과 도시공간의 경관과 소리를 이용하여 3가지 요소(이미지 요소, 소리 요소 그리고 이미지+소리 요소)를 만들었으며, 대상자들이 실내에서 이 3가지 요소들을 감상하였다. 그리고 3가지 요소들이 기분개선에 미치는 영향들을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기분개선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검사로써 기분상태검사(POMS)와 의미분별법(SD)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간접적인 산림의 자극은 긴장, 피로, 분노, 혼란, 우울감을 억제하고 활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산림의 자극 간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지 않았으나 도시의 자극에 비해 산림의 자극이 쾌적감과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