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3초

참당귀의 과실성분 I Imperatorin 의 분리에 대하여 (Components of the Fruits of Angelica gigas $N_{AKAI}$ I Occurence of Imperatorin in the Fruits of Angelica gigas $N_{AKAI}$)

  • 지형준
    • 약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4-95
    • /
    • 1964
  • Ether extract of the fruits of Angelica gigas NAKAI(Umbelliferae) growing wild and cultivating in Korea, afforded frocoumarin derivative, imperatorin which was identified through physical constants-I.R.spectrum, paper partition chromatography, and preparation of derivatives.

  • PDF

Detection of Anticancer Activity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In Vitro

  • Ahn, Kyung-Seop;Sim, Woong-Seop;Kim, Ik-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2호
    • /
    • pp.105-109
    • /
    • 1995
  • Anticancer activity of a fraction of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of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was recognized in human cancer cell lines HeLa $S_3$, K-562, and Hep $G_2$. The extract blocked the phorbol ester-inducing megakaryocytic differentiation of K-562 cells, which indicated the modification of protein kinase C (PKC) activity. In vitro assay showed the activation of PKC by the extract. An effective fraction of the Angelica gigas extract, of which $R_f$ value was 0.64 in a thin layer chromatography, was a different component from those of European angelicas. The $ED_50$ value of the fraction was 8, 9, and $16\;\mu\textrm{m}/ml$ against HeLa $S_3\;Hep\;G_2$, and K-562 cells, respectively, while the fraction showed higher $ED_50$ values against normal cell lines.

  • PDF

감마선 조사 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유효성분 안정성 및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연구 (Evaluation on the Safety of ${\gamma}$-Irradiated Angelica gigas Nakai: Stability of Active Components and Safety in Genotoxicity Test)

  • 조성기;유영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00-306
    • /
    • 2000
  • In the present studies, we assessed the stability of active components and toxicological safety of irradiated Angelica gigas Nakai(Danggui). In order to confirm the stability of active components in the ${\gamma}$-irradiated roots of Danggui,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of ${\gamma}$-irradiated sample was carried out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HPLC) methods using reverse phase columns and normal phase columns. From the root of Danggui,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were isolated by a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toluene : ether (1 : 1), Hexane : EtOAc(15 : 1)). And then the structures were confirmed in the 1H and 13C-NMR analysis. The HPLC chromatogram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in ${\gamma}$-irradiated Danggui were similar with those of non-irradiated sample. In the examination of in vitro genotoxicity of the water extract from ${\gamma}$-irradiated Danggui using Salmonella reversion assay(Ames test) and micronucleus test in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mutagenicity was not exhibited in the two assay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These resutls suggest that active components in the ${\gamma}$-irradiated Danggui should be stable and that the safety of ${\gamma}$-irradiated Danggui could be revealed in further test in vivo.

  • PDF

The Effect of Polysaccharide from Angelica Gigas Nakai on Controlling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 Park, Young-S.;Lee, Jae-E.;Lee, Seo-H.;Lee, Hyeon-Y.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2
    • /
    • 2002
  • It was found that the purified extract from A. gigas Nakai (polysaccharide, M.W., 25 kD) controled differentiating human ES cells. Its optimal supplementation concentration was decided as 0.8 $({\mu}g/ml)$ to efficiently control the differentiation. It also enhanced the cell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most widely us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differentiating agent,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negatively affected on the cell growth even though it controls the differentiation of ES cells, down to 40-50 % based on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telomerase activity. It was presumed that the extract first affected on cell membrane and resulted in controlling signal system, then amplify gene expression of telomere, which enhanced the telomerase activity up to three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LIF only increased the enzyme activity up to two time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t from A. gigas Nakai could be used for substituting currently used differentiation controlling agent, LIF from animal resources as a cheap plant resource and not affecting the cell growth. It can broaden the application of the plants not only to functional foods and their substitutes but also to fine chemicals and most cutting-edge biopharmaceutical medicine.

C57BL/6 마우스에서 모발성장 촉진에 대한 Allium cepa (red)와 Angelica gigas Nakai의 효과 (Effect of Allium cepa (red) and Angelica gigas Nakai on Hair-growth Promotion in C57BL/6 Mice)

  • 이진영;동재경;강재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90-998
    • /
    • 2020
  • 본 연구는 C57BL/6 마우스에서 Allium cepa (red) 생물전환 추출물과 Angelica gigas Nakai 추출물이 혼합된 새로운 물질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적양파의 에탄올 추출물을 Bacillus subtilis KJ-3(BS3) 균주의 사용을 통해 생물전환하였고 이것을 Red-BCQ라고 명명하였다. Red-BCQ의 퀘르세틴 함량은 생물전환 후 약 7.4배 증가 되었다. 참당귀 추출물(Agnex)에는 decursin (D), decursinol angelate (DA) 등 쿠마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Agnex 1 mg 중에는 D 0.4146 mg, DA 0.3659 mg이 포함되어 있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Red-BCQ, Agnex 및 이들 혼합물의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5% 미녹시딜과 비교하였다. 25마리의 마우스는 생리식염수(CON), 5% 미녹시딜(PCON), Red-BCQ (RA), Agnex (AG), 이들 혼합물 (RAG) 처리군 등 5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시료는 하루에 한 번 4주 동안 정해진 시간에 경구로 투여되었다. 모발 증식은 7, 14, 21, 28일에 사진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5α-reductase, alkaline phosphatase (ALP), γ-glutamyl transpeptidase (γ-GT),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1, 항산화효소활성, 피부조직의 모낭도 관찰했다. 모든 결과에서 혼합물 투여 그룹은 다른 그룹보다 항산화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데이터는 RAG가 C57BL/6 종의 모발 성장에 대해 강력한 자극활동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lowers of Angelica gigas Nakai)

  • 박유화;임상현;김희연;박민희;이광재;김경희;김영국;안영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79-10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부위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암세포 억제 효과,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해 참당귀 꽃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을 측정한 결과 $IC_{50}$ 값이 각각 3,535, 105.0 ${\mu}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로 쓰인 ascorbic acid는 12.7 ${\mu}g/mL$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48.43${\pm}$0.18 mg/g)이 물 추출물(39.03${\pm}$0.69 mg/g)보다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에탄올 추출물(67.02${\pm}$4.38 mg/g)이 물 추출물(50.32${\pm}$1.24 mg/g)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항당뇨 활성을 위해 ${\alpha}$-glucosidase와 ${\alpha}$-amyl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acarbose 대비 약 34.45%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23.62%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물 추출물은 16.76%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 및 항염 활성 측정 결과 모두 활성이 없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 참당귀 꽃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황기, 당귀 추출물의 추출조건이 추출물의 수율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action Conditions on Yield and Quality of Extracts in Astragalas manbranaceus Bunge, Angelica gigas Nakai)

  • 이미숙;이근보;한명규;박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43-547
    • /
    • 2001
  • 전통 한약재인 황기. 당귀로부터 추출물의 획득은 일반적으로 열수 추출법에 의하여 행해져 왔으나 추출물의 획득수율이 낮고 추출, 농축과정에서의 심한 열처리로 인하여 고유의 향이 소실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정추출법을 시도하여 황기, 당귀 추출물의 획득수율을 열수 추출법의 50, 39% (w/w) 대비 각각 15, 36% 증가한 65, 75%로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강한 고유의 향을 포집하고 있는 전혀 새로운 타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과정에서 열수 추출법과의 차이는 추출용매를 물에서 주정으로 변경한 것과 1차 추출 후 얻어진 박을 이용하여 2차 추출을 행하였으며, 농축온도를 열수 추출의 104$^{\circ}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9$0^{\circ}C$에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온도와 거의 무관하게 주정은 고유의 향을 포집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추출물을 물엿, 음료 등의 제품에 적용할 경우별도의 인공향료 처리없이 천연물 그대로의 가공으로도 충분한 고유의 향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Angelica gigas Nakai 뿌리배양에 의한 decursin 유도체 생산 증진을 위한 연구

  • 조지숙;김명환;김지연;이경선;전수환;김익환;김동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155-158
    • /
    • 2000
  • Angelica gigas Nakai 뿌리배양을 통한 decursinol angelate생산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elicitor들을 처리하여 생산 증진을 도모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elicitor로는 hydrogen peroxide와 $CM-\;{\beta}\;-chitin$이었으며, 이때의 g당 생산되는 decursinol angelate 양은 각각 대조구에 비해 2.12, 1.62배 증대된 값이다.

  • PDF

당귀 추출액과 매실 염절임액을 첨가한 불고기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lgogi Seasoning Sauce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nd Salted Liquid of Prunus mume)

  • 이세희;박미란;이상화;김현룡;최수근;최석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47-263
    • /
    • 2010
  • 본 연구는 당귀추출액과 매실 염절임액을 첨가한 불고기 양념 소스의 물리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당귀 추출액을 첨가한 불고기 소스에 매실 염절임액의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pH와 당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료의 L값은 22.50~23.4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고기 양념육의 조직감의 특성 중 경도는 매실 염절임액의 첨가함에 따라 낮아졌다. 관능 평가결과로는 매실 염절임액을 10% 첨가한 시료가 조직감, 맛, 전반적인 기호도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를 보아, 불고기 소스에 기능성과 기호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당귀 추출액과 10%의 매실 염절임액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저장 기간에 따른 본 불고기 양념 소스의 총균수는 매실 염절임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 PDF

균주 종류를 달리한 참당귀의 발효 후 유효 성분 변화 (Analysis of Active Ingredients Changed After Fermentation by Different Types of Bacteria for Angelica Gigas Nakai)

  • 정연옥;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2호
    • /
    • pp.5-14
    • /
    • 2021
  • 참당귀의 유효성분인 nodakenin, decursinol, decursin, decursinol angerate 4종의 함량이 균주에 따라 어떤 물질의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Bacillus EMD17, 9-3, HCD2, #8, 191 5종과 Lactobacillus KCTC 3320, WCP02, S65, P1201 4종 모두 9종류의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참당귀의 추출물에 Bacillus균을 접종하여 발효한지 2일 경과한 후부터 지표물질인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발효한지 4일이 경과한 후에도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이 2일째와 동일했다. 반면 발효한지 4일이 경과한 후에 nodakenin과 decursinol의 함량이 높아졌다. 또한 decursin의 함량은 발효한지 6일이 지난 후에는 크게 증가하였다. 2. 참당귀의 추출물에 Bacillus균을 접종 후 nodakenin과 decursinol의 물질변화는 균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유효함량 변화는 Bacillus EMD17, 9-3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 변화는 Bacillus HCD2, #8, 191균주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3. 참당귀의 추출물에 Lactobacillus KCTC 3320, WCP02, S65, P1201 4종류를 이용하여 발효한지 8일 후에 유효성분 변화를 알아본 결과균의 종류와 상관없이 nodakenin과 decursinol의 함량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Lactobacillus S65, P1201로 발효를 한 경우에는 decursin과 decursinol angerate의 함량에서 변화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