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gelica Keiskei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5초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 Kim, So-Joong;Cho, Jeong-Yong;Wee, Ji-Hyang;Jang, Mi-Young;Kim, Cheol;Rim, Yo-Sup;Shin, Soo-Cheol;Ma, Seung-Jin;Moon, Jae-Hak;Park, Keu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58-63
    • /
    • 2005
  • Ethyl acetate-soluble neutral fraction of hot water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showed a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Six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purified and isolated by various chromatographic procedures. Based on the analyses of FAB-MS and NMR, the isolated compounds were structurally elucidated as luteolin 7-O-${\beta}$-D-glucopyranoside (1), quercetin 3-O-${\beta}$-D-galactopyranoside (2), quercetin 3-O-${\beta}$-D-glucopyranoside (3), quercetin 3-O-${\alpha}$-D-arabinopyranoside (4), kaempferol 3-O-${\alpha}$-D-arabinopyranoside (5), and luteolin 7-O-rutinoside (6). The glycosides of flavonols and luteolin showed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ne molecule of 2, 3, 4, 6, 1, and 5 scavenged 4.2, 4.2, 4.1, 2.5, 2.2, and 1.4 molecules of DPPH radical, respectively.

신선초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저장 중 노화도와 기호도의 변화 (Variation of Retrogradation and Preference of Bread with Added Flour of Angelica keiskei Koidz during the Storage)

  • 최옥자;정현숙;고무석;김용두;강성두;이홍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6-131
    • /
    • 1999
  • We have got the following results from tests in the course of time retrogradation and taste change in bread with added flour of Angelica keiskei Koidz, which had been stored in room temperature (27±2oC), refrigerating(2±1oC) and freezing( 20±1oC), respectively. Bread with the added flour showed a little lower degree of retrogradation than control group, and every group in room temperature retrograded from the very first day.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the group in refrigerating was far greater comparing with the group in room temperature. The longer bread was stored, the lower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was, and the higher the adding rate of the flour got, the later its retrogradation happened. Especially the flour of this vegetable's stem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in retarding its retrogradation. Group stored 30 days in freezing didn't show a wide difference in retrograde comparing with the group before storage. Preference for color and shape of the flour added bread stored in room temperatue, refrigerating and freezing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rom the group before storage. Although preference decreased for flavor, texture, mouth feel and overall quality with the lapse of time, flour added group improved in preference for these factors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Above all, added flour of pretreated stem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the sensory tests. With respect to the storing method, the group stored in refrigerating showed greater preference for the texture and mouth feel over the groups in room temperature and freezing. Flavor preference of the group in freezing was the lowest of all.

  • PDF

신선초에 함유된 항산화활성물질 Psoralen 유도체들의 단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Psoralen Derivatives as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 김소중;조정용;위지향;장미영;임요섭;김철;신수철;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6-659
    • /
    • 2005
  • 신선초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성분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신선초 지상부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해석하였다. 신선초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hyl acetate 가용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를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로 정제하여 항산화활성물질 2종을 단리하고, 그들 각각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FAB-MS와 NMR 분석을 실시한 결과, pseudoisopsoralen과 8-methoxypsoralen(xanthotoxin)으로 동정하였다.

아밀로이드 베타로 유발한 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 신선초의 기억력 개선 효과 (Angelica keiskei Improved Beta-amyloid-induced Memory Deficiency of Alzheimer's Disease)

  • 이지혜;김혜정;김동현;신범영;정지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
    • /
    • 2019
  • Objectives : Amyloid ${\beta}(A{\beta})$ could induce cognitive deficits through oxidative stress, inflammation, and neuron death in Alzheimer's disease (A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AK) on memory in $A{\beta}$-induced an AD model. Methods : AK was extracted uses 70% ethanol solvent.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 were obtained by the Folin-Ciocalteu and the Ethylene glycol colorimetric methods,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essed throug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 (ABTS) methods. Intracerebroventrical (i.c.v) injection of $A{\beta}$ 1-42 was used to induce AD in male ICR mice, followed by administrations of 5, 10 or 20 mg/kg AK on a daily. Animals were subjected to short and long term memory behavior in Y-maze and passive avoidance test.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s contents of the AK extract were $88.73{\pm}6.36mg$ gallic acid equivalent/g, $84.21{\pm}5.04mg$ rutin equivalent/g, respectively. The assays of DPPH and ABTS revealed that AK extract in treated concentrations (31.25, 62.5, 125, 250, 500, $1000{\mu}g/m{\ell}$)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Oral administration of AK extract significantly reversed the $A{\beta}$ 1-42-induced decreasing of the spontaneous alternation in the Y-maze test and $A{\beta}$ 1-42-induced shorting of the step-through latency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Conclusions : The findings suggest that AK indicated the antioxid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A{\beta}$-induced memory deficits, and therefore a potential lead natural therapeutic drug or agent for AD.

케일과 명일엽 및 부산물의 급여가 계란 품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el and Whole Crop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Koidz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Quality of Eggs)

  • 강환구;강근호;김동욱;이상진;김상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45-650
    • /
    • 2008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 내 케일, 명일엽 및 부산물의 급여 시 생산성, 계란품질 일반성분, 미량광물질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산란계 총 560수를 7처리 4반복 반복당 20수씩 공시하여 무첨가구, 케일 0.1%, 케일 0.3%, 케일 부산물 0.3%, 명일엽 0.1%, 명일엽 0.3% 그리고 명일염 부산물 0.3%로 처리를 나누어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재료인 케일 및 명일엽에서는 Vit. 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Vit. E의 함량은 각각 3,213 및 $3,177{\mu}g$/100 g이었으며, 부산물은 각각 272.7, $747.1{\mu}g$/100 g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함량으로는 케일 전초에서 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았으며 케일 부산물이 가장 낮았다. 하지만, 명일엽의 경우 전초와 부산물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시험 기간 중 산란을, 난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각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난각강도, 난각두께 및 Haugh unit에 있어서 역시 처리구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난황색은 대조구 대비 케일 및 명일엽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함량으로는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대조구와 비교 시 케일 0.1%를 제외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구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계란 내 Vit. A함량은 케일에서는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함유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Vit. E함량에서 명일엽의 경우 케일에 비해 전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케일 및 명일엽 부산물의 급여는 산란계 사료 내 첨가 급여 시 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크게 영향하지 않았으나 난황색을 개선시켰으며 생리활성물질 인 Vit. A와 Vit. E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어 그 이용 가능성을 충분히 제시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첨가수준 및 급여 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을 미루어 볼 때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립선 암세포주 DU145의 세포고사 유도를 통한 신선초 (Angelica keiskei) 메틸렌 클로라이드 추출물의 항암효과 (Antitumor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Fraction from Angelica Keiskei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rcinoma DU145 Cells)

  • 강윤묵;김성무;김현중;박경란;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안광석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7
    • /
    • 2010
  • The roots and leaves of Angelica keiskei (AK)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including coronary heartdisease, hypertension, and cancer in the Korean folk medicine. However, the mechanism by which methylenechloride fraction (MF) from AK exerts anti-tumorigenic activity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the MF exert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prostate cancer DU145 cells compared with other fractions. Especially, MF caused the accumulation of sub-G1 DNA contents of cell cycle and increased annexin V-positive apoptotic bodies and DNA fragmentation. MF down-regulated several proliferative (Cyclin D1) and anti-apoptotic (Bcl-xl, Bcl-2, IAP-1/2, and survivin)gene products in these cells. Hence, MF 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caspase-3 activation in DU145 cells. We further confirmed that caspase-3 plays an importance role in MF-induced apoptosis in DU145 cells by using caspase-3 inhibitor. Additionally, we observed that MF potentiated Dox-induced apoptosis in DU145 cells. Taken together, our data demonstrate the evidence that MF induces apoptosis depend on caspase-3 activation of and overcomes resistance to chemotherapy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PDF

녹즙의 항산화 영양성분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 정소영;김현위;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880-88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녹즙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신선초, 케일, 당근, 샐러리, 오이로 각각 녹즙을 제조하고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영양성분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5가지 녹즙에는 항산화 영양성분인 ${\beta}-carotene$, 비타민 E, 비타민 C, Se, Ca, Mn, Zn, 페놀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었다. ${\beta}-carotene$의 함량은 쥬스 100 g 당 당근이 59.09 mg, 케일이 3285.3 mg, 신선초가 1398.3 mg, 샐러리가 176.7 mg 오이가 61.4 mg이었다. ${\alpha}$-토코페롤의 함량은 케일녹즙이 1.4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샐러리 녹즙에는 0.04 mg/100 g이 함유되어 있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케일 녹즙은 비타민 C 함량도 녹즙 100 g당 105.1 mg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신선초 31.4 mg, 오이 9.3 mg, 샐러리 7.5 mg, 당근 5.2 mg 순이었다. 항산화성 무기질은 대체로 신선초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양을 보면 녹즙 100 g당 Cu가 0.4 mg, Mn 0.5mg, Zn 0.24mg이고 Se은 녹즙 kg당 0.61 mg이었다. 케일녹즙에는 100 g당 Cu 0.45 mg, Mn 0.22 mg, Zn 0.24 mg이었다. Se는 1kg 당 0.33 mg로 신선초 다음으로 많은 항산화성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샐러리와 오이에 함유되어 있는 황산화성 무기질의 양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물질함량은 5가지 녹즙에서 $0.01{\sim}0.05%$이었으며 케일 녹즙이 가장 많은 페놀물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 PDF

UV 조사한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ngelica keiskei and Brassica loeracea var. acephala Vegetable Juices Treated with UV Irradiation during Storage)

  • 최구희;권상철;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87-1193
    • /
    • 2010
  • 녹즙은 가열살균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아 비가열 살균기술 중의 하나인 UV 살균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온살균방법 중 UV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을 제조한 후 UV 처리에 따른 저장기간 내 항산화 활성의 변화 및 아질산염 소거능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립초 및 케일 녹즙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UV 처리에 의하여 다소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대조군 및 UV 처리군 모두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의 변화는 UV 처리 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UV 처리군 간에는 크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TS 활성을 보면 UV 처리 직후 녹즙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UV 처리군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케일의 경우 UV 처리군간에는 처리 유속이 느릴수록 낮게 나타났다.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신립초의 경우 UV 처리 직후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UV 처리군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UV 처리 유속과는 크게 관계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일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제조 직후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신립초와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지질과산화 억제능은 신립초와 케일 모두 blank에 비하여 낮은 O.D.값을 보여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있었으며 대조군보다 UV 처리군이 다소 높은 O.D.값을 보여 UV 처리 시 지질과산화 억제능이 감소함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대조군과 UV 처리군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pH 1.2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양액종류(養液種類)에 따른 신선초(神仙草)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Growth and Yield in different Hydroponic Solutions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 한승호;최병준;한광섭;신철우;문창식;서상덕;장기운;박상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8-295
    • /
    • 1999
  • 신선초의 시설양액재배시 적정양액의 종류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육,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선초의 초장은 시설양액재배의 화란액이 59.8cm로 가장 컸으며, 엽장은 화란액이 37.4 cm로 가장 길었고, 엽폭도 화란액이 35.8cm로 가장 넓었으며, 수량도 4,542kg/10a로 노지재배 (1,904kg/10a)에 비하여 139% 증수되어, 신선초 시설양액재배시 적정양액은 화란액으로 판단되었다. 2. 신선초의 엽록소함량은 노지재배가 $3.60mg/100cm^2$으로 가장 많았다. 3. 신선초의 물추출 엑스수율은 화란액이 25.97%로서 야마자끼액 (21.93%), 한국원시액 (20.56%) 및 노지재배 (19.71)%)보다 높았으며, 50% 에탄올추출 엑스수율은 각 처리별 $26.59{\sim}29.31%$로서 별 차이가 없었다. 4. 신선초의 무기성분함량 분석결과 주성분은 Na이였으며, 한국원시액은 Mg와 Zn, 야마자끼액은 Na와 Fe, 화란액은 K, Cu, P가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시설양액계배와 노지재배간에는 유사한 함량을 나타냈다. 5. 신선초의 게르마늄함량은 한국원시액이 0.35ppm으로 야마자끼액 (0. 22ppm), 화란액 (0.18ppm) 및 노지재배 (0. 25ppm)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 PDF

명일엽과 울금 추출물의 투여가 고콜레스테롤식이와 P-407로 유도한 고지혈증쥐의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and Turmeric Extract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 Parameters in Hypercholesterolemic Diet or P-407-Induced Hyperlipidemic Rats)

  • 김태현;손연경;황금희;김미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08-713
    • /
    • 2008
  • 명일엽 및 울금의 혼합사용이 고지혈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이용한 고콜레스테롤혈증과 poloxamer 407(P-407)의 복강투여로 유도한 고중성지질혈증에서 명일엽과 울금 추출물의 단독 또는 혼합투여 시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유도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쥐에서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명일엽군은 6.8%, 울금군은 22.1%, 복합조성물군은 28.2%의 감소효과를 보였다(p<0.001).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음성대조군에 비교하여 명일엽군은 9.8%, 울금군은 28.8%, 복합조성물군은 35.6%의 감소효과를 보였다(p<0.001). 동맥경화지수(AI)와 심혈관 위험지수(CRF)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울금군 및 복합조성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각p<0.001). 간기능을 나타내는 GOT의 활성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울금군과 복합조성물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울금군의 감소폭이 커 정상대조군 수준까지 저하되었다(p<0.001). P-407로 유도한 고중성지방혈증 쥐에서 혈청 중성지방농도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명일엽 추출물의 경우 17.2%, 울금 추출물의 경우 19.7%가, 복합조성물 48.3%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할 때 명일엽과 울금의 복합추출물은 식이로 유도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쥐에서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AI, CRF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P-407을 이용하여 유도한 고중성지방혈증 동물모델에서도 중성지방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울금과 명일엽의 단독투여에 비하여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조합한 새로운 기능성식품의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복합추출물의 단일농도 투여에 의한 혈중지질의 개선효과를 확인하는데 그쳤으므로, 향후 이들의 효과적인 투여농도와 작용기전을 밝힐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