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smartphone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31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게이트웨이 구현 (An Implementation of Mobile Gateway Based on Android Smartphone)

  • 이동건;임재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333-338
    • /
    • 2014
  • Zigbee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 최적화된 무선 통신 기술 중의 하나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는 센서 노드들을 제어하고 송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고정된 형태의 게이트웨이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유연성을 제한한다. 고성능 프로세서가 탐재된 스마트폰과 안드로이드 OS를 이용하면 쉽게 스마트폰을 모바일 게이트웨이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에서 Zigbee 통신 모듈은 USB 포트를 이용하여 스마트폰과 연결된다. 또한 모바일 게이트웨이를 위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도 구현하였다.

모바일 환경에 적합한 DNN 기반의 악성 앱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DNN 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Method for Mobile Environmentt)

  • 유진현;서인혁;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3호
    • /
    • pp.159-168
    • /
    • 2017
  •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고 스마트폰이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리는 악성코드 또한 증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2012년 이후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운영체제이지만, 안드로이드 마켓의 개방성으로 인해 수많은 악성 앱이 마켓에 존재하며 사용자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규칙 기반의 탐지 방법은 쉽게 우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악성 앱에 대해서는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앱의 정적 분석과 딥러닝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에서 직접 악성 앱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집한 6,120개의 악성 앱과 7,000개의 정상 앱 데이터 셋을 가지고 제안하는 방법을 평가한 결과 98.05%의 정확도로 악성 앱과 정상 앱을 분류하였고, 학습하지 않은 악성 앱 패밀리의 탐지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스마트폰 환경에서 평균 10초 내외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위한 앤티-포렌식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Anti-Forensic Tools for Android Smartphones)

  • 문필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95-102
    • /
    • 2015
  • 스마트폰은 실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면서도, 스마트폰을 이용한 범죄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 또한 앤티-포렌식 도구들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메모리의 데이터를 고의로 삭제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상에서 사용되는 앤티-포렌식 도구를 구현하고, 상용 포렌식 툴인 Oxygen Forensic Suite를 사용하여 구현한 앤티-포렌식 도구가 제공하는 기능들의 활용성을 검증하는 시험을 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Web Page Visualization Techniques using Android Smartphone

  • Song, Teuk-Seob;Choi, Seung-H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4호
    • /
    • pp.416-420
    • /
    • 2010
  • SMARTPHONE has become a big issue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In this work we will propose techniques that display web contents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and service provider' interest for small screen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 number of works and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generate suitable web contents for small screen devices. But such previous attempts have not failed to reflect the interest of users and service providers. Our proposed system simulates the Google Android Emulator, which is a free and well known open source.

스마트폰 보안 기술 분석 (The Study on the security of Smartphone)

  • 이영숙;김지연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91-105
    • /
    • 2010
  • With the release Apple's iPhone, smartphone is enjoying a tremendous popularity. Security experts pointed the smartphone security risks and KCC(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published safety rules for smartphone users. In this paper we surveyed market and product trends of smartphone and analyzed the security technology of smartphoen OS including Symbian, iPhone OS, Windows Mobile and Android.

스마트폰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사용자 중심 반응 시간 분석 도구 (A User-Centric Response Time Analyzer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of Android Applications)

  • 송욱;성노섭;김지홍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79-38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 중심의 반응 완료 시간에 대한 동적 분석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인지하는 성능 중심의 새로운 최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실제 인지하는 성능에 대한 평가 지표로써 사용자 중심 반응 시간을 정의한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중심 반응 시간의 동적 탐색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성능 병목 지점을 최적화의 힌트로써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중심 반응 시간 분석 도구의 설계와 개발에 대하여 소개한다. 제안한 사용자 중심 반응 시간 분석 도구를 갤럭시 넥서스 스마트폰에 구현하여 그 정확도와 계산부하를 평가한 결과, 전체 반응 시간의 1% 미만의 계산 부하로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대비 92%의 정확도를 보였다. 제안한 도구의 효율성 평가를 위하여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안드로이드 응용프로그램의 성능 개선에 제안한 도구를 활용하여 최대 16.4%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였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변조 안드로이드 악성 앱 판별 (Identification of Counterfeit Android Malware Apps using Hyperledger Fabric Blockchain)

  • 황수민;이형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1-68
    • /
    • 2019
  •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위조앱이 급증하고 있어 스마트폰 내부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Android 앱은 자바 언어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디컴파일 과정을 수행한 후 리패키징 취약점을 역이용할 경우 손쉽게 위조앱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난독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모바일 앱에는 미적용 상태로 배포되고 있으며,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에 대한 리패키징 공격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 내에 앱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위조 여부를 자체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스마트폰내 저장된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Hyperledger Fabric 블록 체인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정상앱 등록 과정을 구현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위조앱을 식별 및 탐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Android Operating System: Security Features, Vulnerabilities, and Protection Mechanisms

  • AlJeraisy, Lulwa Abdulmajeed;Alsultan, Arw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367-372
    • /
    • 2022
  • In the age of smartphones, users accomplish their daily tasks using their smartphones due to the significant growth in smartphone technology. Due to these tremendous expansions, attackers are highly motivated to penetrate numerous mobile marketplaces with their developed malicious apps. Android has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overall market share when compared to other platforms including Windows, iOS, and Blackberry. This research will discuss the Android security features, vulnerabilities and threats, in addition to some existing protection mechanisms.

운영체제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 성향 (Smartphone User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ces between Operating Systems)

  • 엄명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93-9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iOS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성향을 두 가지 관점(구매성향과 이용성향)에서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매 성향에 대한 연구결과, 두 운영체제 사용자에 따라 스마트폰 선택의 우선순위와 성별 비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했다. 그러나 스마트폰 교체주기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성향에 대한 연구결과, 두 운영체제 사용자에 따라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가입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갯수, 월평균 요금, 그리고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두 운영체제 간 인터넷 사용시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영체제 개발자, 스마트폰 제조기업,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에게 유의한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들로네 삼각망을 이용한 모핑 및 와핑 기법 (Morphing and Warping using Delaunay Triangulation in Android Platform)

  • 황기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7-146
    • /
    • 2010
  • 고성능 스마트 폰 개발이 급속화 됨에 따라 PC 상에서 가능하였던 소프트웨어 기술을 스마트폰 상에 도입되고 있다.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상에서 두 개의 얼굴 이미지를 합성하는 모핑과 얼굴이미지를 사용자의 터치로 마음껏 변형하는 와핑을 구현한 오락 앱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한다. 본 논문은 모바일 단말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간단한 LCD 터치로 제어점을 입력하고 이들로부터 들로네 삼각망 기법을 적용하여 이미지 합성 및 변환 단위를 구성하였다. 본 논문의 구현 사례는 안드로이드에서 이미지 모핑 및 와핑 기법을 활용하여 게임 등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 좋은 참고 사례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