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applications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47초

립모션 기반의 윈도우즈 애플리케이션 제어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indows Application Control Model Based on Leap Motion)

  • 김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11-116
    • /
    • 2019
  • 최근 컴퓨터 능력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 작용을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많은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는 상황으로, 전통적인 입력장치를 사용한 GUI에서 3D 모션, 햅틱, 멀티 터치와 같은 신체를 이용한 NUI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인간의 동작을 센서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전달하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3D 객체를 획득할 수 있는 광학 센서의 개발과 더불어 산업 및 의료 분야,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 등으로 응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립모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라 기본 입력장치인 마우스를 대신하여 제스처를 통한 타 프로그램 실행 및 윈도우즈 제어가 가능하며, 안드로이드 앱과 융합하여 메인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통하여, 음성인식과 버튼을 사용해 각종 미디어와 음성 명령 기능을 통한 제어가 가능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을 통하여 영상, 음악과 같은 인터넷 미디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 뿐만 아니라 앱을 통한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여, 편리하게 미디어를 시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Using Smartphone-Based Mobile Application for Affect and Stress Assessment

  • Yang, Yong Sook;Ryu, Gi Wook;Han, Insu;Oh, Seojin;Choi, Mona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81-38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process of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for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to collect data on stress and mood in daily life setting. Methods: A mobile application for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was developed and installed with a set of questions regarding momentary mood and stress into a smartphone of a participant. The application sets alarms at semi-random intervals in 60-minute blocks, four times a day for 7 days. After obtaining all momentary affect and stress, the questions to assess the usability of the mobile EMA application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7 police offic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 The mean completion rate was 60.0% ranging from 3.5% to 100%. The mean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were 18.34 of 28 and 19.09 of 63. The mean stress was 17.92 of 40.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mobile application correctly measured their affect ($4.34{\pm}0.83$) and stress ($4.48{\pm}0.62$) of 5-point Likert scale. Conclusions: Our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 of utilizing a mobile application to assess momentary affect and stress at repeated times. We found challenges regarding adherence to the research protocol, such as completion and delay of answering after alarm notification. Despite this inherent issue of adherence to the research protocol, the EMA still has advantages of reducing recall bias and assessing the actual moment of interest at multiple time points that improves ecological validity.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노약자 자동 인식 기술 구현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old and the infirm using Arduino technology implementation)

  • 최철길;이성진;최병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4-457
    • /
    • 2014
  •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 전자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서, 예술가, 디자이너, 취미 활동가 등 인터랙티브 객체 또는 환경 구축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아두이노의 강점은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구성은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ATmega 168을 사용하며 아두이노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아두이노 프로그램, MATLAB, Processing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이며 하드웨어를 직접 제작할 수 있거나 실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아두이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아두이노는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계속해서 확장이 가능한데 이를 실드라고 통칭하고 있다. 실드는 기본 보드로 주어지는 아두이노 Uno 보드를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시켜 더 많은 기능을 탑재할 수 있게 도와준다. 실드의 종류로는 이더넷 실드, 모터 실드, RFID 실드 등이 있으며 이 실드는 다시 실드 위에 결합할 수 있어 단순한 확장성을 넘어선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 자동 인식 기술은 RFID 실드를 이용하여 노약자를 식별하고 있으며 이를 호환할 태그는 SM130 13.56Mhz 태그를 결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하였다.

  • PDF

A Meta-Model for Development Process of IoT Application by Using UML

  • Cho, Eun-Sook;Song, Chee-Y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1-128
    • /
    • 2019
  • An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which provides intelligent services by combining context-awareness based intelligences, inter-communication is made of between things and things or between things and person through the network connected with intelligent things is spreading rapidly. Especially as this technology is converged into smart device, mobile, cloud, big data technologies, it is applied into various domains. Therefore, this is different from existing Web or Mobile Application. New types of IoT applications are emerging by adapting IoT into Web or mobile. Because IoT application is not only focused on software but also considering hardware or things aspect, there are limitations existing development process. Existing development processes don't consider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s considering both hardware and things. We propose not only a meta-model for development process which can support IoT application's development but also meta-models for main activities in this paper. Especially we define modeling elements by using UML's extension mechanisms, provide development process, and suggest design techniques how to apply those elements into IoT application's modeling phase. Because there are many types of IoT application's type, we propose an Android and Arduino-based on IoT application as a case study. We expect that proposed technique can be applied into many of various IoT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sign with a form of flexible and extensible as well as main functionalities or elements are more concretely described. As a result, it brings IoT application's flexibility and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그룹 사용자를 위한 알람 및 메모 애플리케이션 (Alarm and Memo Application for Group)

  • 임용민;권두위;박수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1-1112
    • /
    • 2013
  • 우리나라의 스마트 폰 이용자 수가 3000만이 넘어서면서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 폰에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있으며 그 중에서 스마트 폰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인 알람기능과 메모장 기능은 현재에도 유용하게 쓰이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이다. 기존의 알람 및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대부분 개인의 일정 관리에 한정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여행 스케줄링, 회의 공지 등 그룹을 이루는 사용자 모두에게 알람을 제공하거나 메모를 공유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의 구성원 전체를 대상으로 알람과 메모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여행, 회의 등과 같이 그룹을 대상으로 스케줄링, 알람이 필요한 경우, 그룹 구성원 중 한 명의 설정으로 그룹 전체에게 알람을 제공하고 메모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여행 시 개인별로 준비해야 할 준비물이나 주의사항, 회의 시 필요한 자료 등, 그룹 구성원 전체에게 전달해야 할 정보를 게시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스마트폰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안드로이드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ndroid Application for Protec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n Smart Phones)

  • 임헌진;최도진;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66-277
    • /
    • 2020
  •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그만큼 스마트폰에 대한 개인 정보 유출 문제도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미 언급하였듯이 전자금융관련 서비스, 개인 파일 저장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모두 스마트폰 안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분실 하거나 도난당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중요한 개인 정보가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정부 및 통신 사업자는 스마트폰 잠금이나 초기화 서비스를 제공하고는 있지만 많은 허점과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분실 또는 도난당하였을 때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유출하여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심 칩(USIM Chip)을 제거하거나 변경한 후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자동으로 초기화하여 전화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분실 또는 도난당하였을 때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악의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Worker-Driven Approach for Opening Detection by Integrating Computer Vision and Built-in Inertia Sensors on Embedded Devices

  • Anjum, Sharjeel;Sibtain, Muhammad;Khalid, Rabia;Khan, Muhammad;Lee, Doyeop;Park, Chan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53-360
    • /
    • 2022
  • Due to the dense and complicated working environment,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susceptible to many accidents. Worker's fall is a severe problem at the construction site, including falling into holes or openings because of the inadequate coverings as per the safety rules. During the construction or demolition of a building, openings and holes are formed in the floors and roofs. Many workers neglect to cover openings for ease of work while being aware of the risks of holes, openings, and gaps at heights. However, there are safety rules for worker safety; the holes and openings must be covered to prevent falls. The safety inspector typically examines it by visiting the construction site, which is time-consuming and requires safety manager effor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a worker-driven approach (the worker is involved in the reporting process) to facilitate safety managers by developing integrated computer vision and inertia sensors-based mobile applications to identify openings. The TensorFlow framework is used to desig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the designed CNN is trained on a custom dataset for binary class openings and covered and deployed on an android smartphone. When an application captures an image, the device also extracts the accelerometer values to determine the inclination in parallel with the classification task of the device to predict the final output as floor (openings/ covered), wall (openings/covered), and roof (openings / covered). The proposed worker-driven approach will be extended with other case scenarios at the construction site.

  • PDF

An Application of RASA Technology to Design an AI Virtual Assistant: A Case of Learning Finance and Banking Terms in Vietnamese

  • PHAM, Thi My Ni;PHAM, Thi Ngoc Thao;NGUYEN, Ha Phuong Truc;LY, Bao Tuyen;NGUYEN, Truc Linh;LE, Hoanh S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5호
    • /
    • pp.273-283
    • /
    • 2022
  • Banking and finance is a broad term that incorporates a variety of smaller, more specialized subjects such as corporate finance, tax finance, and insurance finance. A virtual assistant that assists users in searching for information about banking and finance terms might be an extremely beneficial tool for user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information, seeking opportunities, and developing a virtual assistant in the first stages of starting learning and understanding Vietnamese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save time, which is also an innovative business practice in Use-case Vietnam. We built the FIBA2020 dataset and proposed a pipeline that u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inclusive of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algorithms to build chatbot applications. The open-source framework RASA is used to implement the system in our study. We aim to improve our model performance by replacing parts of RASA's default tokenizers with Vietnamese tokenizers and experimenting with various language models. The best accuracy we achieved is 86.48% and 70.04% in the ideal condition and worst condition, respectively. Finally, we put our findings into practice by creating an Android virtual assistant application using the model trained using Whitespace tokenizer and the pre-trained language m-BERT.

스마트 디바이스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위한 상대속도 기반 작업 분배 기법 (Relative Speed based Task Distribution Algorithm for Smart Device Cluster)

  • 이재훈;강수용
    •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0-71
    • /
    • 2017
  • 스마트 폰,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최근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기기가 되었다. 인기가 많아지고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능 또한 점차 좋아져 교육, 비즈니스 등 많은 일을 처리하기 위해 번거로운 데스크탑 PC 대신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성능이 좋아졌다해도 여전히 데스크탑 PC에 비해 부족한 성능을 지닌 스마트 디바이스는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고성능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원 제한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변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원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특성을 적용한 작업 분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플랫폼 내 분산 처리 시스템 서비스를 추가 후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에 탑재해 클러스터를 구성 후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노드 간 성능이 균일하지 않은 클러스터에서도 각 노드의 성능을 파악해 서로 다른 양의 작업을 분배함으로써 전체적인 분산 처리 성능이 효율적으로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콘 간 RSSI 차이에 따른 오차 최적화 기법의 연구 (Research of Error Optimiz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RSSI Differences between Beacons)

  • 윤동언;반민아;박정은;정가연;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3-245
    • /
    • 2021
  • 기존 비콘은 비대면 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기술이지만 환경에 따라 신호 세기의 편차가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실내 측위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삼변측량기법을 사용하면 편차를 줄일 수 있으나 비콘 간 거리가 상당히 불규칙해지면 알고리즘 적용이 어려워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비콘 간 신호 세기 측정 오차를 줄일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TX값이 같다는 가정하에 RSSI를 이용한 거리 측정 공식을 변형하였다. 그리고 안드로이드로 구현한 비콘 스캐너 어플로 비콘 기기를 검색하여 기존 비콘과의 측정 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정 거리가 멀어지면 측정값이 변동되지 않는 비콘보다 좀 더 먼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장애 상황에서도 정확한 실내 측위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비콘을 비대면 서비스와 접목시킨 서비스 구축 사례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