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application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36초

무선 USB 기술을 활용한 무선웹캠 구현 및 적용방법 (Wireless Webcam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Utilizing Wireless USB Technology)

  • 채정식;반태학;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9-575
    • /
    • 2014
  • 최근 들어 스마트 TV나 안드로이드 셋톱박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기존 컴퓨터에서 구동되던 Skype등 인터넷 전화를 스마트TV나 셋톱박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화상 교육 프로그램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웹캠을 활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스마트TV나 셋톱박스 앞으로 이동하여 사용 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른 기존 웹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기술은 기존 컴퓨터 앞이 아닌 거실처럼 사용자와 TV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이 가능한 무선 웹캠 구현에 관한 기술이다. 실험결과 다소 거리의 문제에 대한 단점은 존재하였으나, 거실과 같은 근거리 사용상에서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과 임베디드 촬영 모듈을 활용한 구강 환자 관리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oral patient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phone and embedded imaging module)

  • 이현섭;윤주상;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81-586
    • /
    • 2018
  • 중증 질환 환자의 대부분은 치료 적기를 놓쳐 병을 키우게 된 경우가 많다. 높은 자각 증상이 나타나거나 강력한 통증이 없는 경우 병원 방문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다. 치은염의 경우 잇몸에서 출혈을 일으키며 치아 붕괴를 일으키는 질환이지만 초기의 증상이 경미하다. 이 시점에서의 병원 치료는 매우 높은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잇몸과 구강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켜 음식을 섭취 할 수없는 상황까지 병증이 진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치주 이미지를 스마트 폰으로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치의료 기관에 구축된 환자 관리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를 담당 의사가 판단하며 이에 대한 치료 적기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내재적 리스크 감지 모델을 사용한 사용자 인증 편의성 향상 프레임워크 (The Framework for Cost Reduction of User Authentication Using Implicit Risk Model)

  • 김경평;서경진;조진만;김수형;이윤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033-1047
    • /
    • 2017
  • 사용자의 인증 프로세스에 대한 인식을 필요로 하는 기존의 명시적 인증은 그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많은 부담이 되며 이는 사용자가 인증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바이오 인식 및 위치 기반 인증 방법과 같은 내재적 인증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의 편의성을 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명시적 인증으로 달성할 수 있는 4단계 보증 레벨을 정의하고, 내재적 인증 방법과 명시적 인증 방법과 같이 사용하여 보다 적은 인증 비용으로 동일 단계의 신뢰 보증 레벨에 도달할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 방법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해, 스크린 키보드 기반 인증, 얼굴인식 기반 인증, 위치 기반 인증을 내재적 인증 기법으로 도입하며 이를 안드로이드 응용으로 구현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제안 방법은 패스워드 인증 대비 21.7%, 6자리 PIN 인증 대비 14.9%의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하였다.

손상된 ZIP 파일 복구 기법 (A Method of Recovery for Damaged ZIP Files)

  • 정병준;한재혁;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107-1115
    • /
    • 2017
  • 압축파일 형식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PKZIP형식은 ZIP 파일뿐만 아니라 MS Office 파일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파일 등에서 사용되는 파일형식이다. 이처럼 다양한 영역에서 널리 쓰이는 PKZIP 형식의 파일은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구조분석이 필수적이고 파일이 손상된 경우 복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의 경우 ZIP 파일에서 사용하는 Deflate 압축 알고리즘이 적용된 데이터를 복구하거나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비록 대부분의 데이터가 ZIP 파일의 압축된 데이터에 존재하지만 그 외의 영역에서도 포렌식적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ZIP 파일 형태로 복구를 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손상된 ZIP 파일이 주어졌을 때 이를 정상적인 형태의 ZIP 파일로 복구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스마트 단말기 상의 기능적 지원을 위한 협업 서비스 모델 연구 (A Study of Collaboration Service Model for Supporting Functional Resources in Smart Device)

  • 송수미;윤용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5호
    • /
    • pp.161-170
    • /
    • 2015
  • 스마트 단말기가 확산되면서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 또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스마트 환경이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 환경에서 다수의 단말기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필요성이 요구된다. 즉, 스마트 환경은 단말기 간의 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 협업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사양 단말기의 재사용성을 높여 단말기 효율성 증대와 개인의 스마트 공간 구현에 도움이 되고자 데이터 콘텐츠 자원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기능 및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기능적 지원까지 가능한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를 스마트 단말기 협업 서비스라고 정의하였으며, 전체적인 서비스 모델 구성을 설계하였다. 제안한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을 증명하기 위하여 연락처 교환 및 카메라 기능 지원이 가능한 스마트 협업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새로운 단말기 협업 서비스 모델이 등장할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서비스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사용하지 않았던 단말기까지 재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막고, 개인 스마트 공간 구성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

광과민성 증후군자를 위한 태블릿 PC와 스마트폰 용 가상 색 오버레이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Virtual Colored Overlay for People with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 장영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2호
    • /
    • pp.145-150
    • /
    • 2013
  • 색 오버레이는 광과민성 증후군의 증세를 완화시키는 보조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종의 가상 색 오버레이가 개발되었으나,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발표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의 최상위 윈도우를 활용하여 가상 색 오버레이를 이동시키지 않고 겹쳐진 앱이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용 가상 색 오버레이를 구현하였다.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필름 오버레이의 색도 정보와 투과율을 측정하여 가상 색 오버레이에 적용할 색상정보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Intuitive Overlays에서 표현하는 모든 색상을 구현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의 필름 오버레이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운전자를 위한 벅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BUGS android application for driver)

  • 김동우;임은주;이장수;무디샤오;최낙중;고석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69-572
    • /
    • 2014
  •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를 교통수단으로 이용함에 따라서 다양한 자동차 액세서리 및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자동차에서 다양한 여가 활용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와 함께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가 되게 되면서 음악을 스마트폰으로 이용하여 들으면서 차에서도 많이들 활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폰 사용을 하게 됨으로 인해서 자동차 안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고가 일어나는 빈도가 점점 많아지게 되었다. 그로 인해서 운전자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현재 나와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에 Bugs Driver라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있지만, 이 어플리케이션은 차량 운전자를 위한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고, 기존 음악 어플리케이션에서 기능을 축소한 음악 어플리케이션이다. 또한, 직관적이지 않은 UI(User Interface)를 가지고 있으며, 속도 또한 충분히 빠르지 않아 운전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량 안에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UI 와 모션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조작,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 시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음악 관련 정보는 (주)네오위즈의 벅스 어플리케이션 API 를 이용하였고, 모션인식은 OPENCV를 이용하여 구현 하였다.

학생 외부활동 관리기능을 포함한 학급관리 시스템의 구현 :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Implementation of the Class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Management Function of Students' Outside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 문창배;이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00-710
    • /
    • 2017
  •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인재육성의 목표 아래 다양한 창의활동과 진로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대표되는 이 정책의 시행 이후에 교사는 교원 고유의 학급경영 업무이외에 체험활동의 기획과 실행,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과 같은 포괄적인 책임을 가지게 되어 업무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다. 기존의 교사 업무용 정보시스템에서는 규격화된 정보의 제공과 관리만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포함하여 변화하는 교육현장에 맞추고 체계적으로 학급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전체 시스템은 교사용 어플리케이션과 학생용 쪽지시험 어플리케이션, 학생용 출결체크 어플리케이션, 교사용 전체 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관리시스템은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위치확인, 소감문 등록, 활동등록 기능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을 포함한 다양한 학급활동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교사들 간의 활동내역 공유가 가능하여 교사들의 업무효율성 향상에 기여하였고 나아가 이 시스템을 통하여 개정교육과정의 목표달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모바일 LCD 디스플레이의 저전력 Backlight 제어 및 영상 크기 조절을 이용한 가속화 기법 (Low-Power Backlight Control and Its Acceleration Based on Image Resizing for Mobile LCD Displays)

  • 이규호;배진곤;김재우;김종옥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7호
    • /
    • pp.100-106
    • /
    • 2015
  • 본 논문은 모바일 LCD 디스플레이를 위한 저전력 화질 개선의 가속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을 분석 및 보정 시에 영상의 공간 해상도를 변환하고, 변환된 저해상도에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개선함으로써 필요한 연산량을 감소시킨다. 변환된 저해상도에서 영상에 적응적인 최적의 dimming rate을 찾아 적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한다. 실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절전 및 화질 개선 가속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디바이스상의 화질 평가 및 알고리즘 수행속도 측정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영상의 화질저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연산량을 95% 이상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실내외 환경과 사용자의 행동을 고려한 스마트 홈 서비스 시스템 (Smart Home Service System Considering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 and User Behavior)

  • 김재정;김창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473-480
    • /
    • 2019
  • 스마트 홈은 가정의 가전제품, 에너지 소비 장치, 보안기기 등 모든 사물을 통신망으로 연결해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스마트 홈은 자동제어 뿐 아니라 상황과 사용자의 취향을 학습하고, 이에 맞는 결과를 스스로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쾌적한 실내 환경 제어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전체 시스템 구성은 센서와 와이파이를 탑재한 ESP8266,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인 firebase, 스마트 폰 어플로 구성된다. 본 모델은 사용자가 가전기기 작동시의 학습모드, 학습 결과를 통한 학습 제어, 실내와 실외 센서의 값을 이용한 자동 환기 등의 기능으로 구분된다. 학습은 에어컨, 가습기, 공기청정지 등 가전기기 제어시의 온도와 습도에 대한 이동 평균을 이용하였다. 본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지속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다양한 기계학습과 딥 러닝을 통해 사용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예측하여 보다 고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