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roid application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42초

안드로이드 OS 기반 한국어 TTS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of Korean TTS Service on Android OS)

  • 김태권;김봉완;최대림;이용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6
    • /
    • 2012
  • 국내에서 출시된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은 한국어 TTS 엔진이 내장되어 있지 않고, 구글에서도 공식적인 한국어 TTS 기술 개발을 발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사용자들의 불편이 갈수록 심해져 가고 있다.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서 서비스할 수 있는 TTS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였다. 신속 명료한 TTS를 위해 안드로이드 NDK를 이용하여 텍스트 전처리와 합성음 생성 라이브러리를 구현하였다. 또한, 자바의 스레드 기법과 스트림을 적용한 AudioTrack 클래스 객체를 사용하여 TTS 응답시간을 최소화 하였다. 구현된 한국어 TTS 서비스를 테스트하기 위해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읽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평가 결과, 임의의 문장에 대해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하였으며, 실시간 청취가 가능하였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은 구현된 한국어 TTS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을 통한 정보 전달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한국어 TTS 서비스는 기존 제한적 음성합성 방식의 어플리케이션의 단점을 개선하였으며, 음성을 통한 정보전달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및 사용자들에게 사용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위치기반 모바일 농업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시험 개발 (Development of A Pilot Android Application for Location-based Mobile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 김상민;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277-284
    • /
    • 2014
  • Recently the use of smart phones and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rapidly, data search and retrieval in the mobile environments are generalized. There are only few mobile applications available in the area of agriculture while huge amount of new applications are developed and uploa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droid based mobile application for providing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nd disaster information. The mobile application was designed through the databas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ystem, server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The database is composed of weather data,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ata, and agricultural disaster data. By developing the mobile application which provides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nformation,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mitigate the agricultural disaster damages.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보안 취약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Vulnerability for Android Operating System)

  • 조희훈;김종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4-226
    • /
    • 2015
  •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기기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장점유율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경우에는 다른 폐쇄적 운영체제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많은 보안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 응용프로그램은 과도한 권한 승인이나 모바일 기기의 식별정보를 요구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보안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응용프로그램의 설치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를 얻기 때문에 보안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가 책임을 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지속될 경우, 사용자는 안드로이드 응용프로그램 사용 시 거부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의 신뢰성을 잃을 수 있다. 때문에 위와 같은 보안 취약점에 대해서는 조속한 대응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조사하고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Hyperledger Composer 기반 컨소시움 블록체인을 이용한 위조 모바일 APK 검출 DApp (Consortium Blockchain based Forgery Android APK Discrimination DApp using Hyperledger Composer)

  • 이형우;이한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18
    • /
    • 2019
  • APK (Android Application Package)는 리패키징 공격에 취약하므로 APK 파일 내부에 난독화 기술이 적용되어 있다. 하지만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 역시 더욱 고도화 됨에 따라 또다른 위조 모바일 APK 파일이 개발 및 배포되고 있어 새로운 대응 방식이 필요하다. 블록체인은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 및 보호되는 레코드 블록이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방식으로, 각 블록에는 일반적으로 이전 블록의 암호화 해시값, 타임스탬프 및 트랜잭션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블록체인에 기록되면 해당 블록의 데이터는 이후에 생성된 모든 블록을 변경하지 않고서는 소급해서 변경/수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면 모바일 APK 파일에 대한 정상 및 위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yperledger Composer를 이용한 컨소시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합법적인 APK를 블록체인 내에 기록하고 유지함으로써 위조 APK에 대한 검출 기능을 제공하는 DApp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DApp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위조된 앱이 설치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안드로이드 모바일 앱 사용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드로이드 응용 단말기를 위한 SELinux 환경설정 방법 (Solutions for Adjusting SELinux To Android-Powered Devices)

  • 안 두이 부;한재일;김영만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65-568
    • /
    • 2011
  • Google Android framework consists of an operating system and softwar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ing a general-purpose Linux operating system in mobile device has some advantages but also security risks. Security-Enhanced Linux (SELinux) is a kernel-based protection approach which can help to reduce potential damage from successful attacks. However, there are some challenges to integrate SELinux in Android. In this research, we do a study on how to do the integration and find out four challenges. The first one is that the Android file system (yaff2) does not support security namespace for extended attribute (xattr) which is required by SELinux. The second one is that it's difficult to apply SELinux policy to Dalvik process on which an Android application runs on. The third one is that Android lacks methods, tools and libraries to interact with SELinux. The last one is how to update the SELinux policy automatically when installing or removing an appl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solutions for the above limitations that make the SELinux more adaptive and suitable for Android framework.

  • PDF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통합로그인 애플리케이션 (Android Based Mobile Combination Login Application)

  • 임중균;최창석;박태은;기효선;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51-156
    • /
    • 2013
  • 안드로이드는 구글과 오픈 핸드셋 얼라이언스가 만들어낸 모바일폰용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툴킷이다. 안드로이드는 몇 년 내로 수백만 개의 핸드폰 및 그 밖의 모바일 장치에 사용될 것이며, 응용프로그램 개발자들의 주요 플랫폼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통합로그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을 한다. 개발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통합 로그인 애플리케이션 컨텐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기반의 웹 브라우저(웹브라우저 스타일의 응용 애플리케이션)로서 일반적인 웹브라우저보다 편리한 로그인 기능, 보안기능과 데이터 전송량을 줄여서 보다 빠른 화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ID 및 Password 관리에 유용하며, 여러 ID의 정보 등을 쉽게 관리 할수 있다.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러 포털사이트를 동시 로그인하는 기능과 계속적으로 로그인이 유지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현재, 하나의 ID 안에 여러 계정의 ID를 삽입하는 기술과 한 화면에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 중에 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을 위한 교육용 앱의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lication for Physical Computing using Android Smartphone)

  • 김태우;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39-649
    • /
    • 2018
  • 피지컬 컴퓨팅은 도구를 활용한 구체적 조작 활동으로 컴퓨터와 실제 세계간의 상호작용을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초등학교 학생들이 컴퓨터 과학의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보유한 스마트폰을 피지컬 컴퓨팅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센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클래스와 수집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여 프로그래밍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래스를 설계하고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피지컬 컴퓨팅 도구의 구비가 어려운 환경에서 학생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컴퓨터 과학의 원리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이 없는 Android application 제작 툴 개발 (Development of an authoring tool for Android applications without programming)

  • 박주연;박이근;박성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37-1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제작 경험이 없는 사용자들이 쉽게 application을 만들고 이를 스마트폰에 설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Android 기반의 application 제작 툴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툴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부, 사진첩, 100일 기념 application을 제작했고 스마트폰에서 동작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툴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프로그래밍 없이도 화면 구성 및 여러 동작을 구현해내고 스마트폰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들을 활용하는 application 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 PDF

Crowdsourced Risk Minimization for Inter-Application Access in Android

  • Lee, Youn Kyu;Kim, Tai Suk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827-834
    • /
    • 2017
  • Android's inter-application access enriches its application ecosystem. However, it exposes security vulnerabilities where end-user data can be exploited by attackers. While existing techniques have focused on minimizing the risks of inter-application access, they either suffer from inaccurate risk detection or are primarily available to expert users.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technique that automatically analyzes potential risks between a set of applications, aids end-users to effectively assess the identified risks by crowdsourcing assessments, and generates an access control policy which prevents unsafe inter-application access at runtime. Our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our technique identifies potential risks between real-world applications with perfect accuracy, supports a scalable analysis on a large number of applications, and successfully aids end-users' risk assessments.

안드로이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메모리 보호를 위한 연구 (A memory protection method for application programs on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 김동율;문종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93-101
    • /
    • 2016
  • 안드로이드 폰이 점점 대중화됨에 따라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제작자의 이윤과 직결되는 데이터나 스마트 폰 사용자의 민감한 데이터를 다룬다. 이러한 중요 데이터는 당연히 보호받아야 하지만 안드로이드에서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거나 공격자에 의해 유출될 수 있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이유는 안드로이드의 근간인 리눅스의 디버깅 기능이 악용되기 때문이다. 리눅스의 디버깅 기능을 이용하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가상 메모리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기능이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선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 주체인 리눅스의 커널에서 기존의 접근 제어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이 기능은 안드로이드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기존의 리눅스와 동일한 접근 제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가 제공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가상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안드로이드 환경을 고려하여 스레드 그룹 ID를 검증하는 새로운 계층을 추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 방안을 적용함으로써 접근 제어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논문이 제안한 방법이 접근 제어를 강화할 수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메모리를 수정할 수 있는 메모리 조작 어플리케이션으로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수정을 시도한다. 접근 제어를 강화하기 전에는 메모리 조작 어플리케이션이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의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었지만, 접근 제어를 강화한 후에는 데이터 수정에 실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