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dong Dam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2초

댐 건설로 인한 국지 수문기상환경의 변화 추정 (Estimation of Local Change in Hydrometeorologic Environment due to Dam Construction)

  • 유철상;안재현;강성규;김기욱;윤용남
    • 환경정책연구
    • /
    • 제4권1호
    • /
    • pp.21-3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댐 건설로 인한 대규모 저수지의 수문기상학적 영향에 대한 공간적인 범위를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충주댐 등의 4개 댐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에는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분석과, 아울러 이 결과를 이용한 알베도의 변화추정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모형화 과정 및 적용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댐 건설로 인한 알베도의 공간적 변화는 댐의 규모와 크게 관련이 있으며, 섬진강댐은 댐 주변 $10{\sim}20km$, 소양강댐은 40km, 안동댐은 $20{\sim}30km$, 충주댐은 50km 정도까지 알베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댐 건설 후 댐 주변에서 재순환계수(전체 가용 수분 중 내부 공급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가 크며(큰 값), 반대로 대상규모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3) 댐의 격자별로 산정된 알베도와 재순환계수의 상관관계는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댐 건설에 따른 토지이용의 변화가 궁극적으로 수분 순환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4) 수문기상학적 영향범위를 댐 건설 후 생성되는 수표면적과 비교한 결과, 대략 수표면적이 $50km^2$까지 그 변화의 정도가 민감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우리나라 주요 댐 좌우안 사면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Abutment Slopes of Four Dams in Korea)

  • 신동훈;이종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사면안정 학술발표회
    • /
    • pp.183-195
    • /
    • 2000
  • Slopes near a dam body can be categorized into 4 groups, such as right and left abutment slopes, reservoir slopes, slopes along the access road and slopes along the relocated road. For each of the geological investigation, the design standards, the evaluation methods of safety and the maintenance methods, both abutment slopes in the four dam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conventional cut slopes in that they can severely affect the dam safet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geological investigation methods, the status of design and construction, evaluation method of safety, and monitoring & maintaining methods for four major dams in Korea, such as Soyanggang dam, 'Andong dam, Chungju dam and Boryong dam.

  • PDF

낙동강 수계 중의 댐 건설에 의한 주변의 국지기상환경 변화 : I. 댐 건설 전ㆍ후의 기상변화 분석 (A change of loc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dam construction of Nakdong-River : I.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before and after dam construction)

  • 전병일;김일곤;이영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1-168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reading the change of local meteorological environment according to dam construction of Nakdong-river using meteorological data analysis, and modeling. The meteorological data analysised are mean temperature, foggy day, precipittion day and sunshine time. As tile result of analyzing meteorological data of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dam in Andong and Hapchon, some discrepancy were observed by month because the lakes have different effect on the region as wind field. The common phenomenons that are revealed after dam construction are increase of foggy day and decrease of sunshine time.

지하댐 건설에 따른 유역 내 지하수위 변화 특성 해석 (An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Caused by Construction of Groundwater Dam)

  • 김종태;김만일;정일문;김남원;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19권2호
    • /
    • pp.227-233
    • /
    • 2009
  • 우리나라는 수자원 특성상 강우의 시간적, 공간적 불균형이 심하여 수자원 개발과 관리여건이 대단히 열악하다. 이에 따라 현시점에서 향후 물 부족에 대처할 신규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방안의 하나인 지하댐의 건설 예정지를 파악하고 지표수와 지하수를 연계하여 효과적으로 개발 이용 가능한 지하댐 개발의 국내 적용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 이번 연구는 지하댐 건설 예정지인 경남 하동군 횡천강 일대의 지질조사, 수리 수문학 분석 등을 통해 프로그램 입력 자료를 산정하였다. 또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SWAT-MODFLOW를 통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연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지하댐 건설전과 후의 지하수위 변화를 예측하였다.

Evaluation of contamination for the Andong-dam sediment and a magnetic separation for reducing the contamination level

  • Hong, H.P.;Kwon, H.W.;Kim, J.J.;Ha, D.W.;Kim, Young-H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1-35
    • /
    • 2019
  • Andong-dam was built up in 1967 and it is one of the biggest dams in Korea.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sediments are highly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arsenic, cadmium, and lead. Many research projects are going on to find out the source of the contamination, to evaluate the toxicities to ecosystem, to estimate the volume of sediment to be treated and to find out a good remediation method. Reports show that the sediment is highly contaminated and the main contamination source is supposed to be abandoned mines and a zinc refinery located upper stream of the river. A magnetic separation has been tested as a treatment method for the dredged sediment. Lab scale test showed that the magnetically captured portion is about 10% in weight but the contamination of heavy metal is much higher than the contamination of the passed portion. This indicates that a magnetic separation could be applied for the purpose of reduction of sediment to be treated and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low toxic sediments which can be dumped as general waste. A magnetic separation using a HGMS has been tested for the sediment with variable magnetic field and the results showed the higher magnetic field increase the captured portion but the concentrating effect of heavy metal was weakened. Further study is needed to establish a useful technology and optimization between decontamination and reduction of sediment volume.

안동댐 퇴적물의 오염도 평가(II): 안동댐 퇴적물에 대한 영양염류 및 중금속 용출 특성 연구 (Assessment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from Lake Andong(II): Studies on the Nutrient and Heavy Metal Release Characteristics from Sediments in Andong Dam)

  • 김영훈;박재충;신태천;김정진
    • 광물과 암석
    • /
    • 제33권4호
    • /
    • pp.391-40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 퇴적물의 일반항목과 중금속의 용출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용출 실험은 카드뮴, 구리, 납, 크롬, 아연, 수은, 비소, 철, 망간 등 중금속 9개 및 pH, 총인, 총질소등 일반 3개 항목에 대해 혐기성과 호기성 조건에서 60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질소와 총인은 호기성 조건에 비해 혐기성 조건의 용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부 시료에서 높은 농도가 검출되었다. 대부분의 중금속의 용출율은 아주 낮았으며, 퇴적물에서 함유량이 높은 비소와 카드뮴도 최대 용출량이 각각 0.028 mg/L, 0.003 mg/L로 낮은 값을 나타낸다. 5단계 연속추출연구에서는 쉽게 용출될 수 있는 이온교환형태나 흡착한 형태의 분율이 전체 함유량의 10%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중금속은 왕수에 용해되는 잔류(residual)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독성이 높고 오염도가 높은 비소와 카드뮴의 경우 잔류형태로 존재하는 비율이 각각 80%와 95%로 오염도에 비해 짧은 시간에 용출되어 유해성을 일으킬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갈수기 경향성 분석을 활용한 상류 유역의 가뭄위험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Drought Risk in the Upper River Basins based on Trend Analysis Results)

  • 정일원;김동영;박지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1호
    • /
    • pp.21-29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bility of drought risk based on trend analysis of dry-seasonal dam inflow located in upper river basins. To this, we used areal averaged precipitation and dam inflow of three upper river dams such as Soyang dam, Chungju dam, and Andong dam. We employed Mann-Kendall trend analysis and change point detection metho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trends and changing point in time series. Our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ecreasing trends (95% confidence interval) in dry-seasonal runoff rates (= dam inflow/precipitation) in three-dam basins. We investigated potential causes of decreasing runoff rates trends using changes i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 and precipitation indices. However, there were no clear relation among changes in runoff rates, PET, and precipitation indices. Runoff rate reduction in the three dams may increase the risk of dam operational management and long-term water resource planning.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erform a multilateral analysis to better understand decreasing runoff rates.

FILL DAM의 침하특성(沈下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Fill Dam)

  • 문태완;강예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282-291
    • /
    • 1985
  • 점사(粘士)대신 화강암질풍화토(花崗岩質風化土)를 성토재료(盛土材料)로 사용(使用)할 경우(境遇) Fill Dam의 침하특성(沈下特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동재료(同材料)를 사용(使用)한 안동(安東)댐의 매설계기(埋設計器) 측정자료(測定資料)를 분석(分析)하여 얻은 결론(結論)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시공중(施工中) Core zone의 침하(沈下)는 성토재하중(盛土載荷重)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증가현상(增加現象)을 보였으며 유효응력(有效應力)이 $7kg/cm^2$ 이하(以下)일 경우(境遇)의 침하율(沈下率)은 0.1~0.8% 범위(範圍)로 일반(一般) 점사(粘士)를 사용(便用)한 Fill Dam에서 보다 작은 값을 나타냈다. 2 하부(下部) Core zone의 침하(沈下)는 성토고(盛土高)의 약(約) 중심부(中心部) 이상(以上)에서 재구(載苟)되는 성토구중(盛土苟重)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3. 간극수압(間隙水壓)은 투수계수(透水係數)가 클수록 저수지(貯水池) 상위(水位) 변화(變化)에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간극수압(間隙水壓)이 소산(消散)됨에 따라 침하(沈下)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성토고(盛土高)의 하부(下部)에서 Zone 간(間)의 침하(沈下)는 상대밀도(相對密度)의 크기에 영향(影響)을 받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공후(施工後)에는 압축(壓縮)두께가 큰 Core zone 에서 큰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5. 댐 정상(頂上)에서의 침하분포(沈下分布)는 댐의 최대단면(最大斷面)인 중심부(中心部)에서 크고 양안(兩岸)으로 갈수록 작게 나타났다.

  • PDF

치수능력 증대에 따른 저수지시스템 분석 (Analysis of Small reservoir system by Flood control ability augmentation)

  • 박기범;이순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1호
    • /
    • pp.995-1004
    • /
    • 2005
  • As a research establish reservoir safety operation for small dam systems. This study presents hydrologic analysis conducted in the Duckdong and Bomun dam watershed based on various rainfall data and increase inflow. Especially the Duckdong dam without flood control feature are widely exposed to the risk of flooding, thus it is constructed emergency gate at present. In this study reservoir routing program was simulation for basin runoff estimating using HEC-HMS model, the model simulation the reservoir condition of emergency Sate with and without. At the reservoir analysis results is the Duckdong dam average storage decrease $20\%$ with emergency gate than without emergency gate. Also, the Bomun dam is not affected by the Duckdong flood control augmentation.

공급량 배분기법을 이용한 갈수기 병렬저수지 해석 (Parallel Reservoir Analysis of Drought Period by Water Supply Allocation Method)

  • 박기범;이순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1-269
    • /
    • 2006
  • In this study, an optimization technique was developed from the application of allocation rul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water supply analysis and reliability indices analysis of Andong dam and Imha dam which are consist of parallel reservoir system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Allocation rule(C) is effective technique at the parallel reservoir system because results of the water supply analysis, storage analysis and reliability indices analysis is calculated reasonable results. Also, reliability indices analysis results are not sufficient occurrence based reliability or quantity based reliability. Thus reliability indices analysis are need as occurrence based reliability, quantity based reliability vulnerability, resilience, average water supply deficits and average storage. And water supply condition is better varying water supply condition than constant water supply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