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Silla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1초

금속제(金屬製) 조우식(鳥羽飾)에 대(對)한 연구(硏究) - 고신라(古新羅), 가야고분(加耶古墳) 출토품(出土品)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Metal Feathered Trim - Focusing on the Excavated Articles from the Old Tombs in Ancient Silla, Gaya -)

  • 김문자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4호
    • /
    • pp.27-3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Metal Feathered Trim in old tombs. First, Feathered Trim is 5 types, Feathered Trim I-A, Feathered Trim I-B, Feathered Trim II-A, Feathered Trim II-B, Feathered Trim II-C in according to upper part of central insert plate style. Feathered Trim I-A, I-B, II-B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ancient Silla, Gaya. Feathered Trim II-A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Silla tombs and II-C type was excavated from Gaya tombs. Feathered Trim I-A type was worn previous to I-B type, and II-B, C type was worn previous to II-A type. Feathered Trim 5 types was influenced by the scythe style that was 'Scythe-shaped' tail.

  • PDF

고대국가 사로국과 신라의 수도 경주의 입지에 미친 지형 특성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n the Location of Gyeongju, Capital City of 'Saro' and 'Silla' Kingdomsin Ancient Times, Korea)

  • 황상일;윤순옥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9-94
    • /
    • 2013
  • 삼한시대 영남지방의 소국 가운데 하나였던 경주는 한반도의 남동쪽에 치우쳐 있음에도 불구하고 천년 동안 고대국가의 수도로 유지되고 성장하였다. 전 세계에서 유래가 드문 이와 같은 사례는 경주 지역에 살았던 사람들의 정치적 능력과 지혜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지만, 이들이 살았던 지역의 자연환경도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경주에서 고대국가의 성립과 발전을 소백산맥과 태백산맥, 단층선과 선상지의 분포, 해안 분포 특성과 관계지워 논의하였다. 지형 특성은 경주 지역에 경작지 확보를 통한 풍부한 곡물의 공급, 높은 인구부양력과 거대 도시의 입지를 가능하게 하였다. 경주는 동해안에서 결절율이 가장 높은 위치를 점하여 소금과 철제품의 생산과 유통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우월한 군사적 입지로 주변국과의 경쟁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다. 경주는 지형특성으로 인한 입지적 장점으로 고대국가의 중심지가 되었다.

경주분지의 고지형과 대릉원 일원 신라고분의 입지 (Paleotopography of the Gyeongju Basin and the location of the Silla Tombs of Daerungwon)

  • 심현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234-253
    • /
    • 2018
  • 경주분지 내에는 신라 지배층의 핵심묘역인 중심지고분군(소위 월성북고분군)이 있다. 대체로 평지로 알려진 이 일대 고분의 입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고분군의 조영과정과 방향 등을 이해하는 단서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분군이 위치한 곳을 포함한 주변일대의 지형양상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고분군이 위치한 경주 분지 내의 고지형을 최대한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조선 후기 고지도, 일제강점기 지적원도, 각종 지형도, 1950~60년대 항공사진 등 가능한 한 모든 자료를 분석하여 고분군 조영당시의 지형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분군이 위치하는 곳은 선상지의 선앙 말단부나 선단부에 해당하며, 이 일대에는 다수의 용천천과 습지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천천과 습지로 이뤄진 곳은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해당하며, 지표면에 수분이 많아 고분을 조성하기에는 부적합한 지대이다. 이러한 지형특성은 고분군의 분포양상과 직접 관련되며, 고분은 용천천과 습지를 완벽히 피해 조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분군은 용천천과 습지에 의해 몇 개의 구역으로 구분 되며, 각 구역 내에서도 경계부분의 돌출되고 독립된 곳에는 대형분들이 입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양상은 남천변의 오릉일대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대릉원 일원에 위치하는 신라고분의 입지와 분포양상은 경주분지 내의 미세한 지형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며, 그 핵심요인은 바로 용천천과 습지이다.

자연재해와 인위적 환경변화가 통일신라 붕괴에 미친 영향 (Influences of changes in natural environments by natural hazards and human activities in ancient times in Korea on collapse of the Unified Silla Dynasty)

  • 황상일;윤순옥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80-599
    • /
    • 2013
  • 통일신라는 통일 이후 120 여 년 동안 인구가 계속 증가하며 전성기를 누리지만, 8세기 후반부터 발생한 빈번한 가뭄으로 50년 동안 무려 11번의 기근이나 흉년을 겪으면서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가 나타난다. 고대사 사료에는 이 시기를 여전히 신라 전성기로 기술하지만, 가뭄과 기근으로 국가는 쇠퇴하기 시작한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주민 이탈이 시작되며 국가의 역량이 급격하게 쇠약해졌고, 9세기 중엽 50년 동안 모반이나 난이 아홉 차례 발생하여 정치적 불안정이 절정에 달한다. 이후 국가 체제가 급격하게 붕괴되어 AD 935년에 경순왕은 나라를 왕건에게 넘긴다. 이와 같은 붕괴의 배경에는 500년 주기의 가뭄 발생과 수십만의 인구가 수백 년 동안 나무를 에너지원으로 하면서 식생을 심각하게 파괴한 인간활동이 있다. 식생파괴는 경작지를 황폐시키고 하천과 지하수의 수문 현상을 바꾸면서 가뭄 피해를 가중시켰다.

  • PDF

남국 신라 국왕의 제례 의전 예복고 (A Study on the Ceremonial Costum′s of the South (Unification) Silla Kingdom-Dynasty)

  • 임명미
    • 복식
    • /
    • 제50권5호
    • /
    • pp.5-24
    • /
    • 2000
  • The results from the consideration of this are as follows. 1. Silla Kingdom has been the name of chronolongical era, from king Bubhung 2nd years to Jinduck 4 years. 2. From Dang dynasty has been received to King of Silla, first class-third class of Dang's office and rank. 3. After unification of Silla Kingdom, Dang dynasty's envoy and missionary and many commercial men and artist come froze Dang to Silla, threfore, influenced their costume habbits and behabiers from royal families costumes and common peaples costume, without concern of that one's social position. 4. Ancient Silla Kingdom performed a religious service an emperor's ceremony, but after unification, performed King's level a religious service, therefor King's ceremonial costumes are Dang dynasty's king's level Myunryukwanbok.

  • PDF

신라왕경 방장(坊牆)에 관한 연구 - 황룡사 및 그 주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ang Walls in the Capital of Silla - With a focus on the Hwangnyongsa Temple and its surroundings -)

  • 현승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1호
    • /
    • pp.7-17
    • /
    • 2021
  • Bang walls surround the four sides of Band in ancient capital cities of East Asia where the Bang system was in operation. There are ongoing research efforts for the structure of a capital city and Bang system around the capital of Silla, but there is a huge shortage of research on Bang walls. This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Bang walls in the capital of Silla around the Hwangnyongsa Temple and its surroundings. The findings show that the Bang walls in the capital of Silla were built with a mix of earth and stone and with tiled roofs on top. The sizes of Bang wall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walls of individual structure groups inside Bang and closely related to the Bang size and the width of adjacent roads.

삼국시대 심엽형 귀걸이 양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shaped Earring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김문자
    • 복식
    • /
    • 제45권
    • /
    • pp.29-4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Heart shaped Earring in old tombs of Three Kingdom States. First Heart shaped Earring is 7 part in according to heart styles. I-A type was original style and that was influenced by scythe style. I-A II-A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Kokuryo Pacijae ancient Silla Gaya. I-B II-2-A type was also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except Kokuryo. Then II-2-A type was transmitted to Japanese Heart shaped Earring. I-A, I-B, II-1, II-2-A type was general style in ancient Silla gaya. Ii-1-B, II-2-B. II-3-A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Pacjae tombs and II-3-B type was excavated from Kokuryo tombs. II-3-A, II-3-B type was unique style that was found in old tombs in Kokuryo, Pacjae.

  • PDF

고신라, 가야고분출토 수목형.수목녹각형입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e-typed and Tree and Antler-typed Diadem in the old tombs of ancient Silla, Gaya)

  • 김문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Tree-typed and Tree and Antler-typed Diadem in old tombs of ancient Silla, Gaya. First, Tree-typed Diadem is four part in according to the Mountain(; 山)-typed piled up. Only one Mountain(; 山)-typed one in three stand-up ornament(I-1 Style), and three step one in three stand-up ones(I-4 S.). Three and Antler-typed diadem is three part in according to the step of Mountain(; 山)-typed and cross-shaped of the upper part. Three one of three step one of four step one(II-3 S.). They were influenced by Tree worship and cult of deer in Northern mounted nomadic groups.

  • PDF

삼국시대 원추형 수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e Shaped Pendan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 김문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5호
    • /
    • pp.485-49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of the Cone shaped Pendants in old tombs of Three Kingdom States. These Cone shaped Pendants are made of bronze and coated with gold plate or Gold. Each Cone shaped Pendants consists of a Sehwhan(細環) type or Taewhan type, a median part in the form of a several joined small globe, or circular shape, and finally a cone-shared pendant. Cone shaped Pendants is 5 part(A-L A-b, B-1-a, B-1-b, B-2-b type) in according to the styles of the Sehwhan(細環) and Taewhan type and median ornament types. A-a, A-b, B-1-a, B-1-b type was general style that was found in most of the old tombs in Kokuryo, Pacjae, ancient Silla. B-2-b type was excavated from the only Kokuryo tombs.

  • PDF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A Study on the 'Naksubaji(horizontal gutter)'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Korea)

  • 탁경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4-39
    • /
    • 2009
  •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한 백제, 신라~통일신라의 목탑지에서는 고구려의 목탑지에서 확인된 물받이시설, 중국 건축물의 산수(散水), 일본 목탑지에서 확인된 이누바시리(犬走り)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는 우수로부터 기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서까래는 기단선 이상으로 내밀어져야 하며 이 때 떨어지는 낙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설을 낙수받이로 명명하였다. 기 발굴조사된 5~7세기의 한국, 중국, 일본 목탑지 검토를 통해 6세기에 조영된 백제 목탑지와 7세기에 조영된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에서 낙수받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의 경우 6세기에 조영된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으며, 특히 왕흥사지 목탑지의 경우 기단토의 굴광 범위가 당초 백제시대의 기단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실시되어 일본 초기 목탑지에서 확인된 경우와 유사하다. 목탑지 조영에는 고려척이 사용되었고 서까래내밀기를 검토하기 위해 평면을 복원한 결과 기단부 길이: 일층탑신 길이:어칸:퇴간의 비례는 군수리사지와 왕흥사지 목탑지가 4.9:2.7:1:0.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왕흥사지 목탑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군수리사지 목탑지와 왕흥사지 목탑지의 주망관계는 어칸 2.49m, 퇴칸 2.14m로 동일하게 나타나 당시 목탑 조영에 있어서 일정한 척도 적용 및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용정리사지, 제석사지, 미륵사지 등 전사기는 다른 대형 기단부를 가진 목탑지가 출현하면서 더 이상 낙수받이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의 경우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묘사지 목탑지의 경우 폭 1.8m 할석렬이, 황룡사지 목탑지는 제2탑구석의 범위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는 하층기단 지대석의 설치 형상이 능산리사지 목탑지와 유사함을 검토하여 낙수받이임을 확인하였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는 그 조영 자체가 7세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초기에는 비교적 목탑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표현하였지만 사천왕사지 목탑지 조영 시점을 경계로 이러한 낙수받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