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aksubaji(horizontal gutter)'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Korea

한국 고대목탑 낙수받이 고찰

  • Tahk, Kyung Baek (Archaeological Studies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탁경백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09.05.11
  • Accepted : 2009.06.09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 consist of the stylobate soil, exteriors, stairways and etc. The fa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region and the architects. As a result of many archaeological researches, we have the data of horizontal gutters as a part of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Gogureyo, China, Japan. But so far archaeological researches have not revealed such data in Baekje and Silla~Unified Silla period wooden pagodas. In genarally, the eaves must protrude as much as the outer line of the foundation to protect its upper side from rain. The purpose of the aforementioned horizontal gutter was to protect the foundations of ancient wooden pagodas. In this article, we call this horizontal gutter the Naksubaji. After researching many archaeological findings of ancient wooden pagodas of China, Korea and Japan from 5th century to 7th century, it is suggested that the Naksubaji was installed to wooden pagodas of Baekje period in 6th century and Silla~Unified Silla periods in 7th century. In wooden pagodas of Baekje period in 6th century, Naksubajis were found in wooden pagodas of Gunsurisaji temple site, Neungsanrisaji temple site, Wangheungsaji temple site. Especially in case of the Wangheungsaji temple site, presumed line to make stylobate of wooden pagoda in Baekje period was confirmed by archaeological research and this case is similar to the early period wooden pagodas in Japan. Goryeocheok(ruler used in the Three Kingdoms) was used to construct wooden pagodas.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plan of wooden pagodas to verify the protrusion of eaves,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foundation:the length of 1st storied building:the length of the center:the length of the corner was 4.9:2.7:1:0.9 between Gunsurisaji temple site pagoda and Wangheungsaji temple site pagoda. Also I found tne same length of tne 1st storied building between Gunsurisaji temple site pagoda and Wangheungsaji temple site pagoda. Therefore the exact scales and planning were adapted to the establishment of wooden pagodas in 6th century in Baekje period. But the Naksubaji was not producted after 6th century in Baekje period. Because the big wooden pagoda had been appeared, they were needed other style of the foundation. In wooden pagodas which were made in Silla~Unified Silla periods in 7th century, I found the Naksubaji in wooden pagodas in Youngmyosajl temple site, Hwangnyongsaji temple site, Sacheonwangsa temple site. The line of stone in Youngmyosajl temple site, the 2nd line expressed the area of pagoda, the relative analysis of the lower foundation between Neungsanrisaji temple site pagoda and Sacheonwangsa temple site pagoda were examined the Naksubaji. In Silla~Unified Silla periods, the establishment of wooden pagodas was started at 7th century. So they had the exactly details of wooden pagoda, but we had no data of the Naksubaji after the time made Sacheonwangsa temple site.

목탑의 기단부는 기단토와 이를 둘러싸는 외장, 계단, 그리고 기타 시설물로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만들어진 시기, 장소, 조영세력에 따라 그 외형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한 백제, 신라~통일신라의 목탑지에서는 고구려의 목탑지에서 확인된 물받이시설, 중국 건축물의 산수(散水), 일본 목탑지에서 확인된 이누바시리(犬走り)가 확인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지붕에서 떨어지는 우수로부터 기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서까래는 기단선 이상으로 내밀어져야 하며 이 때 떨어지는 낙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시설들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고에서는 이 시설을 낙수받이로 명명하였다. 기 발굴조사된 5~7세기의 한국, 중국, 일본 목탑지 검토를 통해 6세기에 조영된 백제 목탑지와 7세기에 조영된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에서 낙수받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의 경우 6세기에 조영된 군수리사지,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으며, 특히 왕흥사지 목탑지의 경우 기단토의 굴광 범위가 당초 백제시대의 기단으로 보이는 부분까지 실시되어 일본 초기 목탑지에서 확인된 경우와 유사하다. 목탑지 조영에는 고려척이 사용되었고 서까래내밀기를 검토하기 위해 평면을 복원한 결과 기단부 길이: 일층탑신 길이:어칸:퇴간의 비례는 군수리사지와 왕흥사지 목탑지가 4.9:2.7:1:0.9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왕흥사지 목탑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군수리사지 목탑지와 왕흥사지 목탑지의 주망관계는 어칸 2.49m, 퇴칸 2.14m로 동일하게 나타나 당시 목탑 조영에 있어서 일정한 척도 적용 및 계획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7세기에 들어서면서 용정리사지, 제석사지, 미륵사지 등 전사기는 다른 대형 기단부를 가진 목탑지가 출현하면서 더 이상 낙수받이가 설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의 경우 영묘사지, 황룡사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 낙수받이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묘사지 목탑지의 경우 폭 1.8m 할석렬이, 황룡사지 목탑지는 제2탑구석의 범위가, 사천왕사지 목탑지에서는 하층기단 지대석의 설치 형상이 능산리사지 목탑지와 유사함을 검토하여 낙수받이임을 확인하였다. 신라~통일신라 목탑지는 그 조영 자체가 7세기에 들어오면서 시작되어 초기에는 비교적 목탑의 구성요소를 충실히 표현하였지만 사천왕사지 목탑지 조영 시점을 경계로 이러한 낙수받이는 더 이상 확인되지 않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