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경주분지의 고지형과 대릉원 일원 신라고분의 입지

Paleotopography of the Gyeongju Basin and the location of the Silla Tombs of Daerungwon

  • 심현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고분발굴조사단)
  • 투고 : 2018.09.30
  • 심사 : 2018.11.09
  • 발행 : 2018.12.30

초록

경주분지 내에는 신라 지배층의 핵심묘역인 중심지고분군(소위 월성북고분군)이 있다. 대체로 평지로 알려진 이 일대 고분의 입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고분군의 조영과정과 방향 등을 이해하는 단서가 된다. 이를 위해서는 고분군이 위치한 곳을 포함한 주변일대의 지형양상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고분군이 위치한 경주 분지 내의 고지형을 최대한 복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조선 후기 고지도, 일제강점기 지적원도, 각종 지형도, 1950~60년대 항공사진 등 가능한 한 모든 자료를 분석하여 고분군 조영당시의 지형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분군이 위치하는 곳은 선상지의 선앙 말단부나 선단부에 해당하며, 이 일대에는 다수의 용천천과 습지가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천천과 습지로 이뤄진 곳은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해당하며, 지표면에 수분이 많아 고분을 조성하기에는 부적합한 지대이다. 이러한 지형특성은 고분군의 분포양상과 직접 관련되며, 고분은 용천천과 습지를 완벽히 피해 조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고분군은 용천천과 습지에 의해 몇 개의 구역으로 구분 되며, 각 구역 내에서도 경계부분의 돌출되고 독립된 곳에는 대형분들이 입지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양상은 남천변의 오릉일대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대릉원 일원에 위치하는 신라고분의 입지와 분포양상은 경주분지 내의 미세한 지형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며, 그 핵심요인은 바로 용천천과 습지이다.

Within the Gyeongju Basin lies the central an ancient tombs (Wolseongbuk tombs), which are seen to be the core tombs of the Silla ruling clas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ocation of the ancient tombs, commonly known as a flatland area,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the contrast process and direction of the ancient tombs. This in turn requires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urrounding landscape, including where the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other words, it must be possible to restore as much of the highland area as possible within the basin in which the ancient tombs are located. All data were analyzed as deeply as possible in order to identify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the ancient tombs.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 ancient tombs are located at the end of a fan or at the end of the line, and a large number of springs and wetlands are distributed around the area. This area is relatively low and unsuitable for generating high levels of moisture on the ground. These topographical features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polymers, and solids were completely formed to avoid wetlands. Meanwhile, the ancient tombs are divided into several zones by springs and wetlands, and each area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large groups where the boundaries are protruding and isolated. Also, this aspect was found to be true for the Oreung around Namcheon. After all, th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Silla in the Daerungwon area are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f the fin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Gyeongju basin, which are the key factors of springwater and wetla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봉원, 2005, 경주 북천의 수리에 관한 역사 및 고고학적 고찰 신라문화 25,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pp337-360
  2. 경주시.경주문화원, 2016, 경주의 옛 지도-慶州古地圖-, 경주시.경주문화원, p80
  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0, 경주 왕경 및 월성지역의 지형발달 慶州月城 IV 基礎學術調査 報告書,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12
  4.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경주 알천유역 범람원의 고지형분석을 통한 토지이용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pp12-90
  5. 김재홍, 1995, 신라중고기의 저습지 개발과 촌락구조의 개편 한국고대사논총 7, 한국고대사회연구소, pp59-67
  6. 김재홍, 2001, 신라중고기 촌제의 성립과 지방사회구조,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91-217
  7. 심현철, 2013, 신라 적석목곽묘의 구조와 축조공정 한국고고학보 88, 한국고고학회, p111
  8. 윤순옥.황상일, 2004, 경주 및 천북 지역의 선상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9(1), p56-69
  9. 이근직, 2000, 북천유역의 역사.문화유적 경주 북천 문화.환경 생태보전 자연학습단지 조성사업 기본계획, 경주시.서라벌대학, pp47-102
  10. 이기봉, 2002, 신라 왕경의 범위와 구역에 대한 지리적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31-52
  11. 이두현.이용직 외, 2013, 마인드맵으로 술술 풀어가는 용어사전:지리, 푸른길, p126
  12. 정영화.이근직, 2002, 신라왕경의 형성 과정에 대한 소고-사찰 창건시기와 권역 이동을 중심으로 인류학연구 12,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pp37-49
  13. 최병현, 2014,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한국고고학보 90, 한국고고학회, pp134-136
  14. 황상일.윤순옥, 2013, 고대국가 사로국과 신라의 수도 경주의 입지에 미친 지형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20권 3호, 한국지형학회, pp79-94
  15. 지적원도(地籍原圖), 1913, 국가기록원 소장
  16. 국토지리 정보원 http://www.ngii.go.kr/
  17. Daum지도 http://map.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