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cient Inscrip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단면형상 분석을 이용한 요철이 심한 금석문(金石文) 판독 향상 방법 연구 (A Study on Readability Improvement Method for Ancient Inscription of Irregularity Surface using Cross Section Analysis)

  • 최원호;고선우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14
  • Outdoor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damaged by natural weathering and air pollution for a long time. For this reason, there are many characteristics it is hard to decipher some carved inscription on the surface of damaged outdoor cultural properties. Until now, Rubbed copy has been widely used to decode engraved inscription. A investigation for epigraph has been made by the rubbing that has resulted in a lower resolution from the viewpoints of extraction process and used materials. Rubbing's results are not satisfied in the damaged inscriptions which are weathered by natural environment and pollution for a long time and in the narrowed one. The main analysis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cross section analysis method using 3d scanning technique for epigraph not read. Cross section analysis is a study on readability improvement method for ancient inscription of irregularity monument surface. Cross section analysis confirms information that separated the inscription information of monument and the ground information to read a ancient inscription and decode the inscription information. The proposed character identification method contributed to decoding an ancient inscription on Silla Monument in Jungseong-ri of Pohang.

갑골문(甲骨文)과 금문(金文)의 고대(古代) 관모(冠帽) 고찰(考察) (The Study of Ancient Hat on The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 김진선;조우현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101-115
    • /
    • 2017
  • Ancient documents, characters, and relics are the utmost important materials when it comes to researching ancient clothing. Of these, the ancient characters explain the contents of the time, which makes it an objective historical record. China has hieroglyphics, such as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which existed in Sang[Eun] Ju era. This character is formed by a simple line and detailed drawing, showing the object or the concrete form and characteristics, so the reader can understand the meaning.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which are written in pictograph, include contents that help to grasp the original shape and form of ancient official hats. Chinese characters Geon(巾, 건) Byun(㝸, 변) Myun(免, 면) Mo(冒, 모) Ju(冑, 주) and Kwan(冠, 관), which are the names of the official hats, have been researched, and Mi(美, 미) Ryung(令, 령) Wang(王, 왕) and Hwang(皇, 황), which are the characters related to the official hats, have been studied. Geon(巾, 건) switched its form from shape of material around waist to wraping wearer's head. Byun(㝸, 변) is a hat with decoration, and Myun(免, 면) is in form of a helmet with ornaments. Mo(冒, 모) in bone script looks like a hat with decorations on each sides, but in bronzeware script, it is more like a simple round hat Ju(冑, 주) covers one's head and has decorated ornaments, and The Kwan(冠, 관), which is now a common name of official hats, is not shown in oracle bone inscription or bronzeware script, It might have been used later than the other two types of hats. As for the related Chinese characters, Mi(美, 미) is in the shape of a feather decoration, Ryung(令, 령) is similar in shape to the letter 'A', and Wang(王, 왕) is in shape of simple hat from 령 with decorations. Hwang(皇, 황) is like a Wang(王, 왕) hat, but with fancier decorations. Oracle bone inscription and bronzeware script show the original form and shape of ancient hats.

광삼각법 측정 원리를 이용한 금석문 가독성 향상 방법 (A Technique to Improve the Readability of Ancient Inscription by Using Optical Triangulation Measurement Principle)

  • 이근호;고선우;최원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sup호
    • /
    • pp.103-111
    • /
    • 2012
  • In epigraph field to study ancient scripts, alternative readability improvemen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existing rubbing method which has low resolution and causes surface pollution of heritages from the viewpoints of extraction process and used materials. Recently many methods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pixel data for extracting outlines of the specific image have been developed with advance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s. But these methods are not applicable and the results are not satisfied in the damaged inscriptions which are weathered by wind and rain for a long time and in the narrowed one. In this paper laser scanning techniques which uses optical triangulation measurement principle are developed to minimize scanning error. The proposed techniques are consisted of 3 parts:(1) the understanding of optical triangulation measurement principle to find scanning guideline (2) determinations of points interval, scanning distance and scanning angle to guarantee scanning data quality (3) identification of valid point data area which will be used in registration process. The proposed character identification method contributed in decoding an ancient inscription on SeukBingGo in Kyungju.

중국 무이구곡 바위글씨(石刻)의 분포와 내용 및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ontents and Types of Stone Inscription of Wuyi-Gugok in China)

  • 노재현;정조하;김홍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5-131
    • /
    • 2020
  • 문헌연구와 현장조사를 통해 중국 무이구곡에서 시지각되는 바위글씨의 분포와 형태 그리고 내용에 따른 바위글씨의 유형화를 시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 무이구곡에는 1곡부터 9곡까지 모든 곡에 바위글씨가 현존하며 그 수는 총 350방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바위글씨의 분포 분석 결과, 제5곡에 74방(21.2%), 제6곡 67방(19.2%), 제1곡 65방(18.6%), 제2곡 60방(17.2%) 그리고 제4곡에 53방(15.2%)이 확인되어 이들 5곡에 전체 319방(91.1%)의 바위글씨가 집중됨으로써 이들 곡의 문화경관성이 풍부한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바위글씨 개체수는 1곡 수광석에 41방(22.6%), 6곡 천유봉 호마간에 29방(8.3%), 4곡 제시암에 23방(6.6%), 2곡 영암에 22방(6.3%), 6곡 향성암에 21방(6%), 5곡 운와에 19방(5.4%)·복호암에 18방(5.1%)·은병봉에 17방(4.9%), 4곡 대장봉에 14방(4%), 1곡 대왕봉, 4곡 금곡암에 각각 12방(3.4%)의 바위글씨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11개소의 개체 바위에 총 228방(65.1%)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 이들 바위의 지명도와 문화적 가치를 대변하고 있다. 넷째, 무이구곡 바위글씨는 무이산의 지모 및 지형지질에 대한 찬미, 무이군과 지명과 관련된 설화, 공맹(孔孟)의 사상을 담는 유가적 교훈, 주자의 무이도가와 관련된 경명과 주자의 행적 등 성리문화의 상찬 그리고 동천복지의 세계관과 도화원기의 선경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삼교와 관련된 유·불·선 명인들의 고사를 포함한 중국 전통문화와 관련한 선인고사(先人古事) 등의 매우 다양하고 다채로운 역사와 신화, 전설을 담는 역사문화 풍경을 내포하고 있다. 다섯째, 무이구곡 바위글씨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류한 결과, 경명·찬경·기유·기사·철리·서회·종교·길어·표어·서지제각 그리고 관문고시 등 11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찬경제각(贊景題刻)이 102방(29.1%), 경명제각(景名題刻)이 93방(26.6%) 그리고 기유제각(紀遊題刻)이 61방(17.4%)의 순으로 나타나 무이구곡의 바위글씨는 경물명의 제시와 경관 찬미 그리고 유람을 기념하는 성격이 특히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연구대상 6개 구곡도와 무이구곡 바위글씨 간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결과, 매체간의 전파방법은 대부분 '인용'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이밖에 확장, 반복, 연장 그리고 압축을 통해 상호매체성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페르시아 아케메네스(Achaemenes)왕조 비수툰(Bisotun) 부조에 묘사된 복식 연구 (A Study on Costume Styles on the Bisotun Relief of the Achaemenid Persian Empire)

  • 장영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9-97
    • /
    • 2008
  •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Bisotun relief of the Achaemenid Dynasty in ancient Persia. The Bisotun relief consists of the relief and the inscriptions which was completed through 7 phases. The inscriptions describe how King Darius suppressed the rebels in Elamite, Babili and ancient Persian languages. This relief is a work during the early Darius period and it describes using the traditions of Mesopotamia in terms of the theme and structure. In terms of structural features, it follows the typical features of the Assyrian arts, the beard and the shape of hair style. On the other hand, the smooth curves used to describe the creases of the clothes and the supple body was not a typical oriental feature. It was known to be because of Greek influence from their communications. It also showed the dressings of the clans that made up the Achaemenid Dynasty through the 9 rebellions wearing clothes unique to their clan and the inscription that was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clans. The clothing and ornaments they were wearing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lans that wore one-piece style Persian dress and clans that wore tunic jackets and trousers which is a typical dressing style of the nomads.

  • PDF

베트남의 세계유산 등재 현황과 특징 (A Review of World Heritage Sites in Vietnam)

  • 주경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93-114
    • /
    • 2017
  • 현재 베트남에는 ①탕롱 유적, ②호 왕조의 성채, ③미선 유적, ④호이안 고도시, ⑤후에 유적 등 5곳의 세계문화유산, ⑥하롱 베이, ⑦퐁나케방 국립공원 등 2곳의 세계자연유산, 세계복합유산인 ⑧짱안 경관유적 1곳 등 총 8곳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등재되어 있다. 지역적으로 보면 북부지역에 4곳, 중부지역에 4곳으로 분포하며, 남부지역에는 하나도 없다. 베트남의 자연유산은 모두 전형적인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 경관이며, 2000년대 이후 등재된 문화유산 지역들은 대부분 북부지역의 옛 왕조들의 수도였던 도성 유적이다. 지금까지 베트남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정책은 북부지역의 역사적 정통성을 강조한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향후 베트남 정부의 문화 정책이 좀더 남북 지역간 격차를 줄이고 통합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창옥병(蒼玉屛)의 위치 비정(比定) 및 사암(思菴) 박순(朴淳)의 정원유적 연구 (Assumptions on the Location of Changokbyeong and Saahm Park Soon's Garden Remains)

  • 노재현;박주성;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50
    • /
    • 2016
  • 창옥병의 지명 오류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고지도, 옛시문, 옛그림 등의 문헌자료조사와 암각 및 조망특성에 대한 현장조사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창옥병의 위치를 비정하고, 이곳의 향유주체인 사암 박순과 그가 경영한 배견와 및 별업 이양정의 공간 구조와 정원적 면모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옥병은 옥병서원과 일체감을 갖는 공간역으로 옛그림과 고지도 그리고 암각문의 존재로 볼 때 옥병서원 바로 앞의 석벽임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지역과 현재 창옥병으로 알려진 오가리석벽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약 460m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광의의 창옥병 경관영향권으로 볼 수 있다. 시문에 등장하는 "창옥병급산금(蒼玉屛及散襟)"이란 표현에서도 산금대라 암각된 병풍바위가 바로 협의의 창옥병임이 유추된다. 또한 오가리석벽에서는 단 1점의 암각도 확인되지 않는 반면 옥병서원 전면부 암벽 도처에는 사암 박순이 명명하고 주문하여 새긴 11개소의 암각 중 8개의 경물명과 제영시가 필첩(筆帖)처럼 밀집되어 있음은 옥병서원 앞의 강벽(江壁)이 의심할 여지없는 창옥병인 것으로 비정된다. '수월정신송균절조(水月精神松筠節調)'암각은 창옥병의 향유주체였던 사암의 고매한 인격과 덕행을 함축하는 창옥병의 상징언어이자 이곳의 장소 요체(要諦)로, 기존 알려진 것과는 달리 우암 송시열의 필적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한편 사암의 정원유적 창옥병은 왼쪽으로부터 산금대-수경대-청학대-백학대의 4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산금대 후면에는 본제인 배견와를, 백학대 좌측의 기암석벽 위에는 별업 이양정을 조성하여 멀리 오가리석벽의 장관(壯觀)을 관망하는 조망구도를 갖도록 계획되었다. 사대(四臺)) 좌측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한 이양정은 사암의 별업이자 독서처이자 장구지소(杖屨之所)이며 그 앞 너럭바위에 존재하는 와준(窪樽)은 사암의 술풍류를 반영한 정원시설로 비정된다.

고대 이집트 도서관의 원형, 페르 앙크(Per Ankh) 추적 (Tracing Per Ankh as a Prototype of Ancient Egytian Libraries)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5-24
    • /
    • 2023
  • 고대 이집트에서 신전은 종교적 성지인 동시에 공동체 중심이었다. 신전에 조성된 핵심공간 중의 하나는 신관과 서기관이 파피루스 등에 필사·보존한 시설이다. 그것의 보편적인 명칭은 '책의 집'과 '스크롤의 집'이었다. 당시 통칭은 페르 앙크였고, 현대적 용어로는 신전도서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전에 부설된 페르 앙크의 성격 및 정체성을 규명한 후 신왕국 람세스 2세가 건립한 라메세움(장제전)의 다주실(페르 앙크) 문패에 걸려 있던 '영혼의 치유소'를 도서관으로 지목한 것이 타당한지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페르(집)와 앙크(생명)를 조합한 상형기호인 페르 앙크는 학습·연구센터, 의료시설과 요양원을 갖춘 치료)·치유센터, 종교의식 및 영생축제의 거점, 필사실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된 다목적 복합시설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페르 앙크가 도서관을 지칭한다는 종래의 논리는 정당화될 수 없다. 동일한 맥락에서 BC 4세기 그리스 역사가 헤카타이우스가 처음 소개한 라메세움 다주실 문패의 'Ψυχῆς ἰατρεῖον'는 BC 1세기 디오도로스가 라틴어 'Psychēs Iatreion'로 의역하면서 신성한 도서관의 모토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프시케(Psychēs)는 그리스·로마 신화의 여신, 이아트레이온(Iatreion)은 병원(진료소, 치유소)·약국을 의미하므로 라메세움의 페르 앙크는 파라오 영혼(Ka)을 치유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Psychēs Iatreion = Library'는 왜곡이자 와전된 것이다. 그것은 도서관의 모토가 아니라 페르 앙크의 메타포다.

각자된 글자의 형태적 시각화를 이용한 금석문 판독방법 (The Epigraph Reading Method using a Visualization Techniqu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tters)

  • 최원호;고선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40-749
    • /
    • 2017
  • 금석문(金石文)이란 금속이나 석재에다 새긴 글씨 또는 그림을 말한다. 금석문(金石文) 판독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탁본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해상도나 노이즈 관점에서 볼 때 탁본은 금석문 판독에 최적의 방법이라고 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각자된 글자의 입체적 특징을 반영하여 판독 가능성을 높여주는 새로운 조사기법을 제시하였다. 금석문에 각자된 글자의 정밀한 입체 데이터를 얻기 위해 3차원 스캐닝 기술을 적용하고 획득된 3차원 깊이 데이터에 따라 음영을 표현하는 Ambient Occlusion 시각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훼손 및 마모가 포함된 바탕영역정보와 글자영역정보를 분리하여 판독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방법은 국보318호인 포항중성리신라비의 판독에 적용하여 그동안 판독에 논란이 있어왔던 특정 문자의 판독 뿐 아니라 추독 범위를 좁히는데 기여하였다.

퇴계(退溪)의 천관(天觀) 연구(硏究) (A Study of Perspective on Cheon Gwan(天觀) of Toegye)

  • 황상희
    • 동양고전연구
    • /
    • 제56호
    • /
    • pp.147-170
    • /
    • 2014
  • 천(天)의 개념을 살펴보자면 송대(宋代)이전은 종교적(상제(上帝)) 천(天)이라면 송대(宋代)이후는 합리적(천(天)理) 천(天)이다. 주자는 종교성을 잃어버렸고 퇴계는 회복했다. 이 논문은 퇴계와 주자가 말하는 천(天)의 속성이 다르다는 것을 기반으로 리(理)의 종교성까지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서명"은 '이일분수(理一分殊)'의 논리로 설명되어진다. 주자와 퇴계는 이일(理一)이란 측면에서는 사천(事天)이란 해야한다고 말하지만 분수(分殊)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주자는 천리(天理)의 이법을 따라야 한다고 하고 퇴계는 사친(事親)의 효(孝)를 행해야 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퇴계와 주자는 천(天)의 속성 다르기 때문에 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생긴다. 이러한 차이는 리(理)의 속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주자(朱子)는 소이연(所以然)은 리(理), 소당연(所當然)은 사(事)라고 구분해서 말한다. 퇴계(退溪)는 소당연(所當然)이야 말로 리(理)라고 말한다. 본질과 실존의 논의로 보자면 퇴계에게는 실존이 본질보다 먼저인 것이다. 리(理)라는 형이상학적 논의 속으로 실존의 문제를 이야기 할 수 있게 되었다. 퇴계(退溪)에게서 주자(朱子)와 다르게 주목되는 이론은 '이자도(理自到)'설 이다. '이자도(理自到)'는 나라는 주체가 타자에게 지극히 하면 타자가 나에게로 와서 나를 통해 발현된다는 것이다. 이 논의는 '물격(物格)'에 토를 넣는 문제에서 시작한다. 퇴계는 '물리(物理)'가 이르는 것이 아니라 '중리(衆理)'가 이르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는 '상대적 리(理)'와 '절대적 리(理)'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한 논의이다. 존재는 비존재를 존재로 한 존재이기 때문에 상대적 리(理)이지만 존재와 비존재를 뛰어 넘으면 절대적 리(理)이다. 이는 분수(分殊)의 리(理)와 이일(理一)의 리(理)에 대한 차이이다. 즉 절대적 리(理)가 나에게로 이르러 내 삶에서 드러나는 공효가 물격(物格)이다. 퇴계는 천(天)=리(理)=상제(上帝)를 동일시하는 종교적인 태도를 강하게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