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risk by fire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34초

소규모 주거 공간 실물화재실험을 통한 적재 가연물의 연소특성 분석 (An Analysis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Facilities through Real Fire Tests in a Small Residential Space)

  • 양소연;문민호;원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3-79
    • /
    • 2022
  • In this study, real fire tests were performed on representative combustibles of residential facilities to analyze the fire behavior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a small residential space. The considered combustibles were a sofa, a combination of a desk and a chair, and a combination of a mattress and an electric mat. A compartment space fir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room corner test equipment prescribed in the KS F ISO 9705 specification. Three real fire tests were conducted by placing the combustible material inside a small compartment with insulation and finishing materials and by igniting the combustible material. Results showed that the peak heat release rate and peak smoke production rate occurred in the combination of the mattress and electric mat. Furthermore, from the result of the fire rate analysis, it was estimated that the fire risk of the mattress and electric mat combina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ofa and thedesk and chair combination.

건축물 화재시 필요내화 시간 산정 및 간이식 도출 (Calculation of Fire-resisting Time and Extraction of Simple Transplants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 김윤성;한지우;김혜원;진승현;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9-60
    • /
    • 2020
  • Large fires continue to spread throughout the building, including the fire in Uijeongbu in 2015, the fire in Jecheon in 2017, and the fire in Miryang in 2018. According to the above fire case investigation, major problems wer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compartment members such as fire doors, the fire spread due to damage to exterior wall openings, and smoke spread through vertical openings. However, in South Korea, only specification design is implemented for buildings that are not subject to performance design.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standards of building members in the specification design showed that fire doors were not specified in detail for 60 minutes of insulation performance and 60 minutes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E/V doors, limiting the prevention of fire sprea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presenting simple transplants for calculating the required fire time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design conditions for the performance design of the components of the fire roo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f the front of the building.

  • PDF

바이오디젤 혼합물의 함량변화에 따른 열적 특성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tent Change of Biodiesel Mixture)

  • 김주석;고재선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32-544
    • /
    • 2023
  •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원인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방법과 그에 따른 물질의 위험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화재 원인 감식과 감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하여 피크의 위치, 모양, 개수,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열량 변화의 정량적인 정보를 통하여 열유속 차이(Difference in heat flux)를 측정하였고, 열중량분석(TGA : Analyzer)을 시행함으로써 특정한 온도에서 분해열 등에 의해 발생한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열 유속의 그래프에서 물질의 끓는점과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치 또는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바이오디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피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비점이 낮은 물질들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디젤의 위험성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분석기법(DSC+TGA)을 통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질의 물적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시험방법별 차이의 비교와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활용한다면 향후 위험물의 물성 연구와 물질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rior Damage on the Post-earthquake Fir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Portal Frames

  • Ronagh, Hamid Reza;Behnam, Behrouz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6권4호
    • /
    • pp.209-220
    • /
    • 2012
  • Post-earthquake fire (PEF) can lead to a rapid collapse of buildings that have been partially damaged as a result of a prior earthquake. Almost all standards and codes for the design of structures against earthquake ignore the risk of PEF, and thus buildings designed using those codes could be too weak when subjected to a fire after an earthquake. An investigation based on sequential analysis inspired by FEMA356 is performed here on the immediate occupancy (IO), life safety (LS) and collapse prevention (CP) performance levels of two portal frames, after they are pushed to arrive at a certain level of displacement corresponding to the mentioned performance level. This investigation is followed by a fire analysis of the damaged frames, examining the time taken for the damaged frames to collapse. As a point of reference, a fire analysis is also performed for undamaged frames and before the occurrence of earthquake.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re is minor difference between the fire resistances of the fire-alone situation and the frames pushed to the IO level of performance, a notable difference is observed between the fire-alone analysis and the frames pushed to arrive at LS and CP levels of performance and exposed to PEF. The results also show that exposing only the beams to fire results in a higher decline of the fire resistance, compared to exposing only the columns to fir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frames pushed to arrive at LS and CP levels of performance collapse in a global collapse mode laterally, whereas at the IO level of performance and fire-alone situation, the collapse mechanism is mostly local through the collapse of beams. Whilst the investigation is conducted for a certain class of portal frames, the results confirm the need for the incorporation of PEF into the process of analysis and design, and provide some quantitative measures on the level of associated effects.

Ansys를 활용한 플랜트 시설물 내화성능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alytical Study of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Plant Facilities using Ansys)

  • 최두찬;양민혁;오수민;양소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958-967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재위험도가 높은 플랜트 시설물에 적용하고 있는 국내 내화성능을 분석하고 적합한 내화저항성능을 확보하여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nsys를 활용하여 화재하중과 내화피복을 변수로 열전달 해석과 구조해석을 수행하고 해석 결과에 따른 플랜트 시설물의 내화성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플랜트 시설물에 적용된 내화피복은 UL 1709에 제시된 탄화수소화재의 화재하중을 적용하였을 때 내화성능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며 화재 후 강재의 변형 또한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현재 플랜트 시설물에 적용된 국내의 내화성능은 석유화학 플랜트 등과 같이 급격한 화재성장과 큰 화재하중에서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없으며 플랜트 시설물의 성능평가를 통해 적합한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화재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Clean Room 위험성 평가에 따른 안전성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by Risk Assessment of Clean Room)

  • 송윤석;윤명오;현성호;이창우;윤여송;김성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8-85
    • /
    • 2004
  • 본 연구에서 Clean Room 재해사례를 분석하였고, Factory Mutual Property Loss Prevention Data Sheets(FM), Industrial Risk Insurers(IRI), NFPA Code 등의 Clean Room 설계 주요 방화기준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서 화재 시 공조설비의 작동으로 인한 연기산란 현상으로 Clean Room 내의 피해규모가 상상을 초월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스프링클러설비의 작동으로 열온도가 더 낮아지고, 연기의 확산속도를 더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Clean Room내의 화재 시 화재감지기에 의해 공조설비를 정지시키고,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유추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Clean Room 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VCTF와 IV전선의 반단선에 의한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열적특성 해석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According to Partial Disconnection on the VCTF and IV Electric Wire)

  • 김두현;김성철;이종호;박종영;박영호;이형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52
    • /
    • 2008
  • Many researches on fire risk for normal electric wiring have been pursued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A and Japan, but comparative studies of the partial disconnection and normal state of electric wires have not been conducted. Detection system for the cause of partial disconnection is not developed and prevention countermeasure for electrical fire by the cause is not effective. Therefore, in this paper, partial disconnection characteristics on electric wires were derived and analyzed by experiment and electrical-thermal finite element method(Flux 3D) on the model wires which consist of VCTF(PVC insulated PVC sheathed Cap Tyre Flexible Cord, KS C 3304) and IV(lndoorwire PVC, KS C 3302). VCTF is used in wiring portable electric appliances and the IV is used indoors. Interrelationships between partial disconnection premonitory symptom and current were derived and analyzed by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experiments and thermal analysis for electric wire according to current under normal state and 200% overload state of rated current.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아파트 화재 위험성 분석 (Hazard analysis by fire simulation in an apartment fire)

  • 김태권;차우섭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83-388
    • /
    • 2014
  • 본 연구는 CFAST를 이용하여 아파트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인체에 끼치는 위험요소를 예측한다. CFAST 소프트웨어는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Technology 산하기관인 Building and Fire Research Lab에서 개발되어진 모델이다. 본 해석 시나리오는 아파트 화재 재현 실험결과에 의해 검증되었다. 해석결과를 요약하면, 침실뿐만 아니라 거실과 작은방의 상황도 실험 데이터와 정성적으로 같은 경향을 보인다. 화재 당시 거실과 작은방에 사람이 있었다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로 인하여 어지러움을 호소하거나 심하게는 구토, 마비 같은 증상이 발생되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소방취약지 모델의 구성과 정립프로세스 논의 (Discussion on Formulation Process and Configuration of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 김성곤;장은미;최갑용;김희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71-77
    • /
    • 2014
  • 화재, 폭발 등의 재난현장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촌각을 다투는 인명 구조나 초기에 불길을 잡지 못하면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출동 후 5분이내 현장에 도착하는 소방대원은 제한적인 정보와 즉각적인 현장 투입으로 인해 사고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며 임무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어 효율적인 작전 수립 및 전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발적인 상황 대처로 소방대원 스스로의 생명을 위태롭게도 한다. 이와 같은 한계 및 위험을 경감시키며 효율적인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고 현장 및 환경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국내외 연구는 주로 대형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상되는 공간적 영역에 대한 화재취약성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소방 활동 관점에서의 공간적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한 사례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출동에서부터 진압 구조까지의 소방 활동 전주기를 대상으로 소방 활동 저해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방취약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화재 취약 공간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방 취약 공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소방취약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소방취약지 모델의 목적성 및 적용성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국 시도 소방본부 관할구역에 대한 소방취약지 유형 분석, 소방 활동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 열발생률 입력 불확실도에 대한 FDS 결과의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FDS Results for the Input Uncertainty of Fire Heat Release Rate)

  • 조재호;황철홍;김주성;이상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2
    • /
    • 2016
  • A sensitivity analysis of FDS(Fire Dynamics Simulator) results for the input uncertainty of heat release rate (Q) which might be the most influencing parameter to fire behaviors was performed. The calcula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obtained by the OECD/NEA PRISME project. The sensitivity of FDS results with the change in Q was also compared with the empirical correlations suggested in previous literature. As a result, the change in the specified Q led to the different dependence of major quantities such as temperature and species concentrations for the over- and under-ventilated fire conditions,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that the sensitivity of major quantities to uncertain value of Q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ults obtained using the previous empirical cor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