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risk by fire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3초

지역단위 화재 위험도 저감의 고양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Fire Risk Reduction at Regional Level in Goyang City)

  • 손민수;조동인;박창근;고현아;정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85-6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국GIS건물통합정보표준데이터'의 건축물 공간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고양시 지역단위의 화재발생 위험도를 산출하고 화재발생 확률에 따른 산업별 경제적 피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편의상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 고양시로 제한하였고, 지역 단위별로 동일한 화재위험 감소율을 적용하였다. 먼저, 지역별 화재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건축물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하여, DB 구축, 지표 설정, 공간 분석의 과정을 거쳐 표준화된 화재 발생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은행 산업 연관표 대분류 30개 산업구분과 고양시 사업체조사 20개 산업구분과 매칭하여 고양시 산업연관표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화재 위험에 따른 고양시의 산업별 경제적 피해 산출은 고양시 산업연관표와 화재발생 가능성을 결합하여 산출하였다. 화재로 인한 6개월 생산 불가와 영업 손실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공급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산동구, 일산서구, 덕양구의 순으로 경제적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산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이 가장 큰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일산서구의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손실이 전체의 약 60% 비중을 차지하였다.

터널 방재설비의 합리적 설치를 위한 분석적 연구 (An analysis study for reasonable installation of tunnel fire safety facility)

  • 박진욱;유용호;박병직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43-248
    • /
    • 2015
  • 최근 국내에서는 도로 및 철도 터널의 건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교통체증 해소 및 도시계획 그리고 개량공사 등에 따라 터널이 더 깊은 지하에 위치하거나 장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우 터널 내부사고 중 인명피해에 가장 큰 위험요소인 화재사고가 발생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굉장히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위험도 분석 기법인 QRA(Quantitative Risk Analysis)를 터널에서의 방재설계에 적용하고자 국내 QRA 사례분석을 수행하고, QRA 기법의 적용 유무에 따른 비용 산출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AHP(Analytic Hiera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여 터널 방재시설의 위험도 저감 효과를 분석하여 터널 화재시 위험도를 낮출 수 있는 중요 인자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 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QRA가 적용된 사례에서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로 인해 합리적인 방재시설의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방재시설별 비용대비 위험도 저감효과를 통한 방재시설 우선순위는 송수관설비, 비상조명, 대피통로, 제연설비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사례 분석을 통한 김치냉장고의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of the Kimchi Refrigerator through Case Analysis of Fire Accidents)

  • 박남규;지홍근;송재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7
    • /
    • 2020
  • In this paper, we describe fire risk of Kimchi refrigerator. The Kimchi refrigerator has been widely spread and used starting from the first half of 2000 and recently fire accidents caused by the Kimchi refrigerator emerged as social concern. In particular, in products of a specific manufacturer, it is not an environmental factor, but a characteristic that the fire is caused due to a defect of the product itself is shown. These features are judged to be formed by unique defects regardless of external factor by forming electrically arc mark in the relay elemen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ause of the fire occurring in the Kimchi refrigerator and finall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 that the fire occurred mainly in the relay element due to insufficient capacity of the relay element. Therefore, when a fire occurs in a product of the same maker as the Kimchi refrigerator mentioned in this paper, it is always judged that the inspection of the relay element should be carried out.

진주시 화재발생 패턴분석과 위험등급 산출 (Fire Occurrence Pattern Analysis and Fire Risk Calculation of Jinju City)

  • 배규한;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1-157
    • /
    • 2014
  • 급속한 도시성장에 따라 도시지역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시설물들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재발생 피해에 대한 위험도도 증가되고 있다. 특히 화재사고는 인위적 재해 중 교통사고와 함께 도시지역에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방재청에서는 효과적인 화재관리를 위하여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진주시 소방서로부터 자료를 취득하여 진주시 화재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화재발생 추이에 대한 시계열분석과 Moran's I, Getis-Ord $Gi^*$분석을 통하여 진주시 공간상의 화재발생 밀도변화분석과 시설물별 화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화재발생위치의 시계열적 변화와 화재발생 밀집도가 높은 Hot Spot지역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설물별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화재위험등급을 산출함으로서 도시지역의 화재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동주택의 화재위험성 분석 및 피난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16층 이하의 기존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Fire Risk by Fire and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Equipment for Apartment (About Existing 16 or Fewer Storey Apartment))

  • 민세홍;이재문;사재천;남중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27-1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존 16층 이하 공동주택의 화재취약성 및 피난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에서 화재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주방화재를 가정하여 CFD 모델링을 이용하여 화재위험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방에서 발생한 화재는 거실로 연소 확대되면서 빠르게 다른 침실로 연기가 확대되었으며, 화재발생 세대 출입구에서 90초에 열에 의한 영향 온도인 $60^{\circ}C$를 넘는 것으로 분석되어 초기에 화재발생을 인지하고 피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피난출구가 막혀 큰 피해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기존 피난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피난대피시설의 경우 발코니에 설치되어 있다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온도 및 복사열유속에 의한 안전성 평가 결과 세대 내의 다른 지점에 비해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이론에 기초한 천장재 종류별 위험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Analysis by Type of Ceiling Material Based on Fire Theory)

  • 김혜원;김윤성;이병흔;진승현;구인혁;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6-117
    • /
    • 2021
  • In general, when a building fire occurs, the heat flow rises by buoyancy, which affect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eiling. In addition, when the ceiling ignites, the fire spreads rapidly due to horizontal spread and radiant heat. According to the fire investigation, most of the large fires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 fire spreads to the ceiling and causes many casualti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fire risk of ceiling materials used in buildings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to the ceiling. Therefore,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mount of heat released and ignition time of each SMC, DMC, and gypsum board were checked using a Cone Calorimeter, and the ignition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m into the fire theory. As a result, the ignition temperature of SMC was 449K, that of DMC was 1492K, and that of gypsum board was 677K.

  • PDF

초고층 빌딩의 화재 피해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the Fire to Minimization Damage Plan on High-rise Buildings)

  • 이정일;이근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1-97
    • /
    • 2009
  • 초고층 건물이라는 특수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초고층 건물 내에 존재하는 잠재위험요인을 찾아내 위험이 얼마나 큰가를 분석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예방적 측면에서 화재예방활동을 통하여 화재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진압적 측면에서 화재발생과 동시에 초기 진화하는 것이겠지만, 화재의 진행과정을 미리 예측하거나 진행경로를 차단하는 인텔리젠트 또는 파이어 그리드를 이용한 과학소방적 진압방안의 도입이 필요하다.

고무제품제조공장의 가류공정에 설치된 유도전동기의 설치환경 및 화재위험성 분석 (Analysis of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Fire Risk of Induction Motors Installed in the Curing Process of a Rubber Product Manufacturing Plant)

  • 이종찬;김두현;김성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3-29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fire status of a rubber product manufacturing factory based on 19 years of fire dat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fire, electrical fires accounted for 58.19%, and among electrical fires, motor fires were the highest at 26.21%. For the motor fire occurrence process, the curing proces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of 51.9%. Therefore,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was investigated for the motor in the curing proce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or's maximum ambient temperature exceeded 40℃.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otor for curing operation, the motor was installed in a separate motor room, so the average indoor temperature was 48.10℃ and the motor frame's maximum temperature was 72.80℃. In this study, the risk of motor fire was confirmed through a field survey, and a safety management plan was derived by finding a process with high fire risk and conducting an experiment on the motor's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that process.

공간위험정보를 적용한 대피자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ment for Application of Spatial Risk Information)

  • 홍승범;장재순;박현아;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8-12
    • /
    • 2015
  • 성능위주소방설계 초기단계로서 피난안전성평가에 있어서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과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를 계산하여 단순비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FDS를 이용하여 열, 연기, 독성가스 등에 대한 위험정보값을 추출하였다. 또한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Artisoc를 이용하여 FDS에서 추출한 위험정보값을 적용하였다. 건축물의 구조는 가로 60 m, 세로 65 m로 구성하였으며, 출입구는 2곳에 설치하였으며 재실자는 50명을 랜덤하게 배치하였다. 시뮬레이션은 case1~case20 까지 총 20회에 걸쳐 진행하여, 피난 경로별 위치에 따른 재실자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값을 적용하여 기존의 단순비교 하던 피난안전성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위험정보값 전달기반의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