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성인의 비만유형에 따른 식사의 질과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Obesity Type among 19-64 year old Korean Adults)

  • 구혜민;류소연;박종;한미아;손영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45-55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types of obesity categorized by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Korean adults aged 19-64 year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 and included 11,081 study participants. Type of obesity was categorized into 4 groups (Type 1: BMI obesity + abdominal obesity; Type 2: BMI obesity only; Type 3: abdominal obesity only; Type 4: Normal). To compare the diet quality and diversity according to obesity type,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was used with stratification of age groups (19-44 years, 45-64 years). Results: With regard to comparative analysis of diet qu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 qualities in energy, protein, thiamin, riboflavin, niacin, phosphorous and iron and type of obesity in the 19-44 age group,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et qualities on protein, vitamin C, phosphorous and type of obesity in the 45-64 ag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et diversity score and type of obesity in Korean adult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in Korean adults, diet qualities of some nutrients were different among obesity types, while diet diversity was not. These observa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an effort to improve intake of over-and deficient nutrients and in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trient quality on obesity.

제1형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대뇌피질 주름 패턴의 변형 : Local Gyrification Index 분석 (Alterations of Cortical Folding Patterns in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 Analysis of Local Gyrification Index)

  • 이준용;한규만;원은수;이민수;함병주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4호
    • /
    • pp.225-234
    • /
    • 2017
  • Objectives Local gyrification reflects the early neural development of cortical connectivity, and is regarded as a potential neural endophenotype in psychiatric disorders.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altered local gyrification in patients with bipolar I disorder (BD-I).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s in the cortical gyrification of whole brain cortices in patients with BD-I.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BD-I and age and sex-matched 22 healthy controls (H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underwent T1-weighted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local gyrification index (LGI) of 66 cortical regions were analyzed using the FreeSurfer (Athinoula A. Martinos Center for Biomedical Imaging).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LGI values between two groups adjusting for age and sex as covariates. Results The patients with BD-I showed significant hypogyria in the left pars opercularis (uncorrected-p = 0.049), the left rostral anterior cingulate gyrus (uncorrected-p = 0.012), the left caudal anterior cingulate gyrus (uncorrected-p = 0.033). However, these findings were not significant after applying the multiple comparison correction. Severity or duration of illnes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GI in the patients with BD-I. Conclusions Our results of lower LGI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the ventrolateral prefrontal cortex in the BD-I group implicate that altered cortical gyrification in neural circuits involved in emotion-processing may contribute to pathophysiology of BD-I.

노인 의료이용의 주관적 만족도: 포괄성, 전반적인 만족도, 접근성을 중심으로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Medical Care among Older People: Comprehensiveness, General S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 김화준;고영;전은정;장숙랑;김창엽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1호
    • /
    • pp.35-41
    • /
    • 2009
  • Objectives : The changing population age structure and rapidly increasing medical costs make providing high-quality, effective medical care for the elderly a challenge. This study assessed the satisfaction with medical care in terms of comprehensiveness, general s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among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older adults(aged 65 years old or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who participated in a 2006 telephone survey conducted using random digit dialing(n=881). General satisfaction, comprehensiveness and accessibility were measured using a 10-item satisfaction survey questionnaire.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each of three components of subjective satisfactio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with socioeconomic variables. Results : Comprehensiveness and general satisfaction were low among older people with a high socioeconomic status. Accessibility was evaluated as low among older people of low socioeconomic status, those living in rural areas and those who were medical aid beneficiaries. Conclusions : Urgent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to medical care for elder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those living in rural communities. Given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we need to develop a monitoring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geriatric care.

Field-Observed Cracking of Paired Lightweight and Normalweight Concrete Bridge Decks

  • Cavalline, Tara L.;Calamusa, Jeremy T.;Kitts, Amy M.;Tempest, Brett Q.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crete Structures and Materials
    • /
    • 제11권1호
    • /
    • pp.85-97
    • /
    • 2017
  • Research has suggested that conventional lightweight concrete can offer durability advantages due to reduced cracking tendency. Although a number of publications exist providing the results of laboratory-based studies on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lightweight concrete (with lightweight coarse aggregate) and internally cured concrete (using prewetted lightweight fine aggregate), far fewer field studies of durability performance of conventional lightweight concrete bridge decks in service have been performed. This study was commissioned to provide insight to a highway agency on whether enhanced durability performance, and therefore reduced maintenance and longer lifecycles, could be anticipated from existing lightweight concrete bridge decks that were not intentionally internally cured. To facilitate performance comparison, each lightweight bridge deck selected for inclusion in this study was paired with a companion normalweight bridge deck on a bridge of similar structural type, deck thickness, and geometric configuration, with similar age, traffic, and environmental exposure. The field-observed cracking of the decks was recorded and evaluated, and crack densities for transverse, longitudinal, and pattern cracking of the normalweight and lightweight deck in each pair were compared. Although some trends linking crack prevalence to geographic location, traffic, and age were observed,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the cracking present in the paired lightweight and normalweight bridge decks included in this study was not readily evident.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o adjust for age and traffic influence did not indicate that the type of concrete deck (lightweight or normalweight)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the observed cracking. Therefore, for these service environments, lightweight decks did not consistently demonstrate reduced cracking.

과학사 도입 수업이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7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Science History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 강경희;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65-7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도입한 과학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하여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성취도와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과학사를 도입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간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서는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교수-학습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이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Based on Learning Cycle Model for Young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

  • 장숙현;김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91-11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바람직한 식생활을 형성하기 위해 개발된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G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반 유아 16명과 만 4세반 유아 중에서 생일이 지나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실험집단으로, G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17명과 만 4세반 유아 중 만 5세가 된 유아 7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효과에서 두 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WINDOW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식생활 프로그램 실시여부를 독립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및 과학적 태도의 사후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의 사전 사후 검사시기에 따른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실제적인 향상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순환학습모델에 기반한 식생활 프로그램이 유아의 영양지식, 식행동, 과학과정기술, 과학적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식생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현장 교사가 식생활과 관련하여 겪는 어려움을 지원하고, 식생활과 관련된 변인들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 유아기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유아들이 기관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식생활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뇌기능 분화에 따른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Mind Map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정영란;이주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05-813
    • /
    • 2004
  • 현재의 교육과정은 좌반구 중심의 활동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우반구 중심으로 사고하는 학생들은 학습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다. 따라서 우뇌 우세 학생 집단에서 학습부진아가 많이 나타난다. 특히, 과학은 좌반구 중심의 사고가 많이 요구되는 과목으로 우뇌 우세 학생들이 흥미를 잃기 쉽고 학업성취도도 낮다. 본 연구에서는 좌뇌 중심의 과학 학습에서 소외되기 쉬운 우뇌 우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방법으로 좌 우뇌 요소를 고루 활용하는 마인드 맵을 적용하여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뇌 기능 분화와 성별에 따라서 수업의 효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158명으로, 통제반은 전통적인 수업을 하였고, 실험반은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단원은 "생물의 구성", "상태변화와 에너지", "소화와 순환", "호흡"단원으로 약 17주간 50차시에 걸쳐 수업 처치를 하였다. 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는 SOLAT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 결과는 SPSS 10.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x^2$검정과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다. 중학생들의 뇌 기능 분화 양상을 분석해 본 결과, 좌뇌형이 21.6%, 우뇌형이 31.4% 그리고 양뇌형이 47.1%이었고 뇌 기능 분화의 분포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p>.05).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함으로써 우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좌뇌 학생 이상으로 높힐 수 있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우뇌형 학생의 성취도가 가장 낮았으나 사후검사때서는 우뇌형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많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은 우뇌형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이고 우뇌형 학생들에게 고무적인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남학생들보다는 여학생에게 효과적이어서 여학생들에게 고무적인 여학생 친화적인 과학 학습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Flipped-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lipped-PBL on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s)

  • 남선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347-368
    • /
    • 2020
  • 본 연구는 Flipped PBL이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색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2개 대학의 기독교교육과와 유아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30명과 비교집단 30명을 대상으로 교직과목 중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Flipped Learning을 비교집단으로 Flipped PBL을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 전에 사전 검사와 수업 종료 후 사후 검사로 문제해결능력 검사와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했다. 수집한 사전, 사후 검사 자료의 측정값을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했다. 그 결과 문제해결능력은 실험집단인 Flipped PBL 집단의 평균은 4.28로서 비교집단인 Flipped Learning 집단의 평균인 3.91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능력에 있어서도 실험집단인 Flipped-PBL 집단의 평균이 4.06로서 비교집단인 Flipped Learning 집단의 평균인 3.32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결과 Flipped Learning을 수행한 비교집단과 Flipped PBL을 수행한 실험집단 간에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급변하는 사회 현상 속에서 변화의 요구를 받고 있는 교실 상황 속에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까지 신장시킬 수 있는 Flipped PBL 기반의 수업을 대안적 교육방법으로 제시하며, 적극적으로 활용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a Career Camp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rs)

  • 김종운;이태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39-34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진로장벽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연구정보원에서 부산 소재 전체 초등학교에 공문을 보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50명을 추천받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25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8회기의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모든 연구가 끝난 후 통제집단에 대해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척도들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성숙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진로캠프를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장벽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진로교육을 위한 학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모델 및 자유학기제를 대비한 교육청에서의 다양한 진로캠프 개발 모델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가정과 식품표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및 활용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Food Label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applying ARCS Motivation Teaching Strategy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Recognition and Use of Food Labels)

  • 여수경;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3-14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의 식품표시와 관련된 수업을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하여 개발한 후 이 수업이 학습동기와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 효과를 주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RCS 동기유발 전략을 적용한 식품표시 관련 가정과 수업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총 4차시 개발하였고,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 4학급은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 3학급은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7부를 제외한 203부를 대상으로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RCS 동기유발전략을 적용한 식품표시 관련 가정과 수업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 교사용 참고자료를 4개의 학습주제(영양성분표시, 식품첨가물, 유전자조작과 방사선조사식품, 식품품질인증표시)별로 개발하였다. 둘째, 학습동기에 대한 실험에서 사전 학습동기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ARCS 동기유발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받은 비교집단의 학습동기와 동기유발요소(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전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을 통제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후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검사에서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이 수업방법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식품표시에 대한 인식 하위영역인 식품표시사항 이해도와 식품표시 실생활 도움 및 교육필요도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사전 식품표시 활용도를 통제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식품표시 활용도에 대한 사후 식품표시 활용도는 수업방법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식품표시 활용도 하위영역인 식품표시사항 활용도와 식품선택시 활용도 모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