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ysis of Cell Image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9초

TFT-LCD 셀 영상에서 주기적인 셀 패턴 제거 기반 결함검출 (Defect detection based on periodic cell pattern elimination in TFT-LCD cell images)

  • 정영탁;이승민;박길흠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51-25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TFT-LCD 셀 영상에서 퓨리에 변환을 이용한 주기적인 셀 패턴 제거에 기반한 결함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셀 영상은 결함검출을 어렵게 하는 주기적인 셀 패턴을 포함하므로 패턴 제거가 중요하다. 먼저 셀 영상에 대해 퓨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구하고, 스펙트럼에서 큰 값의 계수는 셀 패턴에 관련된 계수이므로 적응적 필터를 이용하여 큰 값의 계수를 제거한다. 그리고 필터링된 스펙트럼을 역 퓨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셀 패턴이 제거된 영상을 얻는다. 다음으로 셀 패턴이 제거된 영상에서 STD 방법으로 결함을 검출한다. TFT-LCD 셀 영상에 대해 제안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제안 방법이 우수한 결함검출 성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Development of ResNet-based WBC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Super-pixel Image Segmentation

  • Lee, Kyu-Man;Kang, Soon-Ah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47-153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WBC 14-Diff classification which performs using the WBC-ResNet-152, a type of CNN model. The main point of view is to use Super-pixel for the segmentation of the image of WBC, and to use ResNet for the classification of WBC. A total of 136,164 blood image samples (224x224) were grouped for image segmentation, training, training verification, and final test performance analysis. Image segmentation using super-pixels have different number of images for each classes, so weighted average was applied and therefore image segmentation error was low at 7.23%. Using the training data-set for training 50 times, and using soft-max classifier, TPR average of 80.3% for the training set of 8,827 images was achieved. Based on this, using verification data-set of 21,437 images, 14-Diff classification TPR average of normal WBCs were at 93.4% and TPR average of abnormal WBCs were at 83.3%. The result and methodology of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blood cell image classification field. WBC-ResNet-152 based morphology approach is shown to be meaningful and worthwhile method. And based on stored medical data, in-depth diagnosis and early detection of curable diseases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reatment.

종양세포식별을 위한 공간주파수영역에서의 화상해석 (Image Analysis for Discrimination of Neoplastic Cellis in Spatial Frequency Domain)

  • 나철훈;김창원;김현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85-396
    • /
    • 1993
  • 본(本) 논문(論文)은 병리학등(病理學等) 기초의학(基礎醫學)에서 요청되는 세포진(細胞診)을 위한 개선된 디지털 화상해석방법(畵像解析方法)을 제안(提案)하였다. 대상화상(對象晝像)은 갑상선세포(甲狀腺細胞)의 현미경화상(顯微鏡畵像)이고 목적은 정상세포(正常細胞)와 악성(惡性)인 유두상(乳頭狀) 종양(腫瘍)과 여포성종양(濾胞性腫瘍)간의 염색질(染色質) 패턴이 상이(相異)함을 화상해석(畵像解析)에 의해 자동식별(自動識別)하는 것이다. 먼저, 화상처리상(畵像處理上) 특징영역(特徵領域)인 세포핵(細胞核)만을 추출(抽出)하기 위해 윤곽추적법(輪廓追跡法)에 의한 영역분할(領域分割)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공간영역(空間領域)의 화상정보(畵像情報)를 이산적(離散적) 2차원 푸리에 변환한 후 1차원 푸리에변환에 의해 특징(特徵)파라미터를 추출(抽出)하였다. 여기서 세포(細胞) 유형별(類型別) 특징표본군(特徵標本群)을 구축하여 임의의 검증세포(檢證細胞)와 식별실험(識別實驗)을 행하였다. 기존의 방법보다 개선된 식별율(識別率)(70-90%)을 얻음으로써 본 방식은 세포진(細胞診)에 있어서 정량성(定量性)과 객관성(客觀性)을 더욱 구체화(具體化)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방식을 그대로 종양세포식별(腫瘍細胞識別)에 즉시 사용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PDF

이미지처리를 통한 선박평형수 내 유해수중생물 개체수 측정 (Counting Harmful Aquatic Organisms in Ballast Water through Image Processing)

  • 하지훈;임효혁;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83-391
    • /
    • 2016
  • 선박평형수란,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배에 채우는 바닷물을 말한다. 선박평형수를 통한 외래종 유입은 생태계 교란의 주된 원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는 2004년 선박평형수와 침전물 관리협약을 채택하였다. 협약이 발효될 경우 각국 항만 당국에서는 선박평형수가 협약의 성능 기준에 맞게 배출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처리를 통한 선박평형수 내 유해수중생물 개체수 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부산 신항에서 채취한 선박평형수로부터 3개의 샘플을 추출하였으며, 각 샘플당 서로 다른3개의 grey-scale 이미지를 만들어 실험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미지처리를 이용한 자동 세포계수 프로그램인 CellProfiler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비교하였다. CellProfiler에서 사용한 설정은 사람이 직접 세포계수를 한 결과에 맞춰 경험적으로 결정하였다. 각 이미지에서 CellProfiler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최적의 임계값을 찾은 뒤 그 평균을 최종 임계값으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은 CellProfiler와 비슷한 세포 계수 결과를 보이면서도 약 10배 정도 빠른 처리 속도를 보였다.

가미방풍통성산(加味防風通聖散)이 수은 중독된 마우스의 피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ami-bangpungtongseong-san Extracts on the Mouse Skin Toxicated by Mercury)

  • 양준형;홍승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0
  • Objective : Mercuric chloride is excreted in the urine and stool. Bangpungtongseong-san(BT) has been used commonly skin disease and has diuresis and excretion effect.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effects of Kami- bangpungtongseong-san(KBT) on the skin disease toxicated by mercury. Method :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o treated group(Normal group), Mercuric chloride subcutaneous injection group(Control group) and Kami-bangpungtongseong-san-treated group (Sample group). KBT Extracts were delivered orally in 7 days in sample group. We observed epithelial cell hyperplastic, angiogenesi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skin. For the charting the results, image analysis was taken. The result of image analysis was verified significance by Sigmaplot 2000(P<0.05). Result : This study shows an relieving epithelial cell hyperplastic, angiogenesi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of exposure skin on mercuric chloride.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we can expect to the effect of KBT extracts' therapeutic action to tissue injuries of the mice' skin on acute mercurial toxication.

3D 스캔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의 휨 현상 측정 연구 (Measurement of Bow in Silicon Solar Cell Using 3D Image Scanner)

  • 윤필영;백태현;송희은;정하승;신승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9호
    • /
    • pp.823-828
    • /
    • 2013
  • 실리콘 태양전지의 두께를 줄일 경우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태양전지의 휨 현상은 제품 수율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제품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의 실리콘 웨이퍼 두께를 가변하였을 때의 휨 정도에 대해 정밀하게 측정하고자 하였다.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비 대칭성 형상에 대해 자세하고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3D 이미지 스캐너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감소할수록 휨 정도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곡률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감소할 수록 휨 정도의 편차가 증가하여 형상의 비 대칭성이 증가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또한 Ag 전극의 부착이 휨 현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aAlAs 저출력 레이저 자극이 흰쥐의 피부 전층결손 절제 창상의 치유시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발현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적 분석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low power GaAlAs laser treatment on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in full-thickness excisional wound of rat skin)

  • 김순자;구희서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8-205
    • /
    • 2003
  • We evaluated the effect of low power GaAsAl laser on re-epithelization in full-thickness excisional wound of rat skin. Two full-thickness excisions were made on the back of the experimental animals. Low power laser applications with 10mW intensity were treated experimental animals twice a day for 7 days. On the seventh postoperative da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re-epithelization was performed using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The majority of PCNA immunoreactive cells was observed at epithelial cells in the margin of full thickness excisional wound. The low power laser treat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PCNA immunoreactive cell as compared to that of non treated animal group (p<0.01). The shape of PCNA immunoreactive cell appeared as small dark, round to ovoid structures. Most PCNA immunoreactive cells exhibited a high intensity of staining that contrasted sharply with the surrounding background.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aAlAs laser treatments effectively enhance the epithelial wound healing by the stimulating cell proliferation. Furthermore, the majority of cell proliferation occurred in the margin of full thickness excisional wound.

  • PDF

세포핵 조밀도에 의한 방광암의 진행 단계 (Densitometric features of cell nuclei for grading bladder carcinoma)

  • Choi, Heung-Kook;Bengtsson, Ewert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7-362
    • /
    • 1996
  • A way of quantitatively describing the tissue architecture we have investigated when developing a computer program for malignancy grading of transitional cell bladder carcinoma. The minimum spanning trees, MST was created by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nuclei in the tissue section image. These nuclei were found by thresholding the image at an automatically determined threshold followed by a connected component labeling and a watershed algorithm for separation of overlapping nuclei. Clusters were defined in the MST by thresholding the edge lengths. For these clusters geometric and densitometric features were measures. These features were compared by multivariate statistical methods to the subjective grading by the pathologists and the resulting correspondence was 85% on a material of 40 samples.

  • PDF

세포 자동 계수를 위한 광학현미경 이미지 처리 (Optical Microscope Image Processing for Automated Cells Counting)

  • 조미경;문상준;심재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493-2499
    • /
    • 2011
  • 나노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세포 성장 과정에서 발견되는 세포의 이동, 분열, 통합, 아포토시스(apoptosis), 모양 변형, 세포들 간의 상호 작용 등을 포함하는 세포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배양 과정에서 광학현미경을 통해 얻은 세포의 실시간 이미지들의 변화/변형 과정을 2D 또는 3D 분석 하기위한 전처리 방법과 세포와 클러스터(둘 이상의 세포의 결합)를 자동 식별하기 위한 방법,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세포와 클러스터의 개수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30분 간격으로 촬영한 3T3 세포 배양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세포 및 클러스터를 분류하고 각각의 개수를 자동계수한 결과 평균 99.8%의 정확도를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