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algesics: fentanyl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5초

복식전자궁적출술에서 술전 저용량 국소마취제와 Morphine을 이용한 경막외차단이 술후통증, 혈장 Cortisol, 혈당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operative Epidural Block with Low Dose Bupivacaine and Morphine on Postoperative Pain, Plasma Cortisol and Serum Glucose i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 박한석;이승철;차문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1호
    • /
    • pp.21-26
    • /
    • 1999
  • Background: Preoperative blocking of surgical nociceptive inputs may prevent sensitiz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reduce postoperative pain. The stress responses to surgical trauma consist of increase in catabolic hormones and decrease in anabolic hormones. We studied whether preoperative low dose epidural bupivacaine and morphine could affect postoperative pain, changes plasma cortisol, and serum glucose. Methods: Thirty patients undergoing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General anesthesia was induced in all patients and after that, epidural blocks were done except the control group (n=10) patients. Preoperative block group (n=10) received 0.5% bupivacaine 50 mg and morphine 2 mg epidurally as a bolus before operation and followed by 0.1% bupivacaine $5\;mghr^{-1}$ and morphine $0.2\;mghr^{-1}$ for 10 hours. Postoperative block group (n=10) received the same doses of bupivacaine and morphine under the same method postoperatively. Postoperative pain relief was provided with i.v. fentanyl through Patient-Controlled-Analgesia Pump. Postoperative pain by visual analogue scores (VAS), analgesic requirement (first requirement time, total amounts used), side effects, plasma cortisol level and serum glucose level were compared. Results: Until postoperative 6 hrs, VAS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epidural group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VAS between the two epidural groups. First analgesics requirement time and total amounts of used analgesi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epidural groups, but first analgesic requirement time of preoperative block group was significantly prolong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lasma cortisol and serum glucose level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Conclusions: Low dose preoperative epidural bupivacaine and morphine could not reduce postoperative pain, plasma cortisol level and serum glucose level compared with postoperative block group.

  • PDF

Current status of opioid prescription in South Korea using narcotic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Soo-Hyuk Yoon;Jeongsoo Kim;Susie Yoon;Ho-Jin Lee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7권1호
    • /
    • pp.41-50
    • /
    • 2024
  • Background: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misuse and abuse of medical narcotic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world's first narcotic management system, the Narcotic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NIM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cent one-year opioid prescribing patterns in South Korea using the NIMS databas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opioid prescription records in South Korea for the year 2022, utilizing the dispensing/administration dataset provided by NIMS. Public data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ere also utilized to explore prescription trends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examination covered 16 different opioid analgesics, assessed by the total number of units prescribed based on routes of administration, type of institutions, and patients' sex and age group. Additionally, the disposal rate for each ingredient was computed. Results: In total, 206,941 records of 87,792,968 opioid analgesic units were analyzed. Recently, the overall quantity of prescribed opioid analgesic units has remained relatively stable. The most prescribed ingredient was oral oxycodone, followed by tapentadol and sublingual fentanyl. Tertiary hospitals had the highest number of dispensed units (49.4%), followed by community pharmacies (40.2%). The highest number of prescribed units was attributed to male patients in their 60s. The disposal rates of the oral and transdermal formulations were less than 0.1%. Conclusions: Opioid prescription in South Korea features a high proportion of oral formulations, tertiary hospital administration, pharmacy dispensing, and elderly patients. Sustained education and surveillance of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is required.

단일 상급종합병원에서 마약성 진통제의 최근 13년간 사용 경향 조사 (Trends in the Consumption of Opioid Analgesic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from 2000 to 2012)

  • 조윤숙;이주연;김향숙;권경희
    • 약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68-276
    • /
    • 2014
  • Background: World Health Organization considers opioid analgesic use as an important measure in the treatment of pain relief. However, there are limited data about the pattern of opioid analgesic use in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trends in the prescribed amount of the opioid for 13 years from 2000 to 2012 in a single tertiary care hospital. Methods: The data from the prescribed amount of opioid use in patients aged over 18 years were retrieved from medical charts and longitudinal pharmacy record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Yearly prescribed amount of opioids were calculated using defined daily dose adjusted by hospital stay (DDD/1000${\bullet}$HS). Results: Over the 13 years of the study period, overall use of opioid has increased by 64.1%. Although, the opioid use by hospitalized patients comprised 98%~99% of total amount of opioid use, the proportions of opioid use by outpatient and by cancer patient increased from 1.1% to 2.2% and from 60.5% to 69.3%, respectively. The use of non-injectable opioids has increased by 47% and that of injectables has increased by 70%. While the amount of codeine and morphine use has decreased, the use of both transdermal and injection formulation of fentanyl has increased dramatically. Also, the use of oxycodone has increased, especially in outpatient setting. Conclusion: This longitudinal study showed that opioid analgesic use in tertiary hospital, especially in outpatient is continuously increasing. Improvement in pain management in tertiary care hospital can be cautiously inferred based on this results.

PECS II block is associated with lower incidence of chronic pain after breast surgery

  • De Cassai, Alessandro;Bonanno, Claudio;Sandei, Ludovica;Finozzi, Francesco;Carron, Michele;Marchet, Alberto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4호
    • /
    • pp.286-291
    • /
    • 2019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complicated by a high incidence of chronic postoperative pain (25%-60%). Regional anesthesia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the incidence of chronic pain; however it is not known if the pectoral nerve block (PECS block), which is commonly used for breast surgery, is able to prevent this complication. Our main objective was therefore to detect any association between the PECS block and chronic pain at 3, 6, 9, and 12 months in patients undergoing breast surgery.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monocentric, observational study. We enrolled 140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breast surgery and divided them in patients receiving a PECS block and general anesthesia (PECS group) and patients receiving only general anesthesia (GA group). Then we considered both intraoperative variables (intravenous opioids administration), postoperative data (pain suffered by the patients during the first 24 postoperative hours and the need for additional analgesic administration) and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chronic pain (at 3, 6, 9, and 12 mo). Results: The PECS group had a lower incidence of chronic pain at 3 months (14.9% vs. 31.8%, P = 0.039), needed less intraoperative opioids (fentanyl $1.61{\mu}g/kg/hr$ vs. $3.3{\mu}g/kg/hr$, P < 0.001) and had less postoperative pain (3 vs. 4, P = 0.017). Conclusions: The PECS block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lowering incidence of chronic pain,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돌발성 암성 통증 약물 선택 요인과 사용 경험: 의사 대상 설문조사 (Factors Influencing Pain Medication Preference for Breakthrough Cancer Patients and Their Application to Treatments: Survey on Physicians)

  • 신진영;심재용;서민석;김도연;이준영;황인규;백선경;최윤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1호
    • /
    • pp.9-13
    • /
    • 2018
  • 목적: 효과적인 돌발성 통증 조절은 암환자의 기능 유지와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의사가 돌발성 통증 조절 약물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과 사용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 전국의 의사대상으로 시행한 온라인 설문 결과를 받아 이차적으로 분석하였다. 돌발성 통증 약물 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 '빠른 효과 발현', '강력한 효과', '적은 부작용', '투약의 편리성', '장기간 지속적인 효과', '용량 비례하여 예측 가능한 효과', '많은 처방 경험'과 '풍부한 임상 데이터'에 5점 척도로 동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약물사용 경험에 대해서는 경점막 펜타닐, 경구 옥시코돈, 주사제 모르핀에 대해 앞서 언급한 9항목의 동의 척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77명의 응답자는 빠른 효과를 가장 중요한 돌발성 통증 약물의 선택 요건으로 생각하였다. 그 외, 투약 시 편리성, 강력한 효과, 예측 가능한 효과와 적은 부작용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주사제 모르핀은 빠른 효과, 강력하고 예측 가능한 효과가 있으나, 투약의 편리함이나 적은 부작용에 대해서는 응답자 동의율이 낮았다. 경구 옥시코돈은 투약의 편리함이나 적은 부작용이 타 약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빠른 효과는 주사제 모르핀보다 낮은 동의를 받았다. 경점막 펜타닐은 편리하지만, 예측 가능한 효과, 장기간 지속적인 효과와 수면장애 개선 효과에서 낮은 동의를 받았다. 결론: 돌발성 통증 조절 약물의 선택 시 빠른 효과 발현을 최적의 조건으로 꼽았으며, 돌발성 통증 조절 약제에 따라 의사의 사용 경험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Physician's Attitude toward Treating Breakthrough Cancer Pain in Korea

  • Seo, Min Seok;Shim, Jae Yong;Choi, Youn Seon;Kim, Do Yeun;Hwang, In Gyu;Baek, Sun Kyung;Shin, Jin Young;Lee, Juneyoung;Lee, Chang Geol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1호
    • /
    • pp.18-25
    • /
    • 2017
  • 목적: 돌발성 통증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은 암환자에서 필수적이다. 돌발성 통증을 조절하는 것은 의료진이 돌발성 통증에 대해 잘 이해하고 적절한 구제 진통제를 사용하는 것에 달려있다. 본 연구는 한국 완화의료 전문의들의 돌발성 통증에 대한 견해와 진료 형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 시행된 2014년 돌발성 통증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100명의 의사가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총 33개의 자가 기입식 설문 문항 중에서 12개의 항목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 빠른 작용 발현은 구제 진통제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경구 옥시코돈(65%)과 모르핀 주사제(27%)는 흔히 사용되는 구제진통제였다. 소수의 의사들(3%)만이 점막 흡수형 펜타닐을 선호하였다. 빠른 작용 발현 때문에 경구 옥시코돈을 선택한다고 답변한 의사들은 21.5%였으며, 반면에 빠른 작용 발현 때문에 모르핀 주사제를 처방한 의사들은 81.5%였다. 전체 응답자의 약 66%는 돌발성 통증이 구제 진통제로 잘 조절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결론: 돌발성 통증 조절에 의료진들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의료진들이 구제진통제를 선택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중요한 요소와 실제 처방의 형태에는 차이가 있었다.

개흉술 후 동통억제에 대한 신경차단법 및 환자자가 치료법의 비교연구 (The study of Intercostal Nerve Block an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ost-Thoracotomy Pain)

  • 김우종;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9호
    • /
    • pp.920-926
    • /
    • 1997
  • 개흉술후 동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술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인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으로 술후 괄목할만한 진통효과를 보았다. 총 30명의 후측방 개흉술 및 늑골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진통제의 근주를 시행한 환자 10명을 I 군으로, 경막외 신경차단을 시행한 환자 10명을 II군으로 그리고 환자 자가조절에 의한 지속적 정주 요법을 시행한 환자 10명 III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혈압,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가스 분석상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II군과 III 군이 I군보다 기침 및.심호흡을 현저하게 잘하였다. 술후 2시간 후의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의 회복률은 I군이 58.2$\pm$5.9%, II군이 77.9$\pm$ 11.7%, III군이 84.1 :5.8%로, III군은 II군보다, II군은 I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술후 2,8시간 후에 실시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의 회복률은 II군 및 III군 은 비슷하였으나, 각각 I군보다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 0.05). 수술후의 통증은 II, III군 이 I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술측 부위의 운동도 원할하였고, 진통제 투여량에서도 I군보 다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후 회복도 보다 용이 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약성 진통제의 지속적 정주요법 은 술후 폐기능 회복과 동통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경막외 신경차단법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수 술직후 2시간째의 폐기능 회복률에 있어서는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이 경막외 신경차단법 보다 다소 효과가 좋았다..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직형별 5년 생존율은 편평상피세포암이 43.1%, 선암이 23.3%, 거대세포암이 30.3%였다(p>0.05).치료법이며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icuspid valve pouch 19례), 우심실 유출로폐쇄(4례), 아급성심내막염(1례) 및 동반질환을 부가적인 수술적응으로 삼았다. 6. 수술후 관찰결과 사망률은 없었고, 잔존 심실중격결손증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경삼첨판륜 절개방법(TATV)은 삼침판맹낭을 가지고 있는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 (PMVSD) 수술시 좋은 방법이며, 또한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PMVSD)에서 수술시 시야를 좋게하고 수술후 삼첨판폐쇄부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량치가 뜻하는 의 미는 서로 달랐으며, 암조직내에서 대조조직내보다 CYFRA 21-1 치가 더 낮게 나온 것은 암세포내 에서는 세 포질 성분의 고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암세포의 활동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EGF-R은 세포벽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암세포의 증식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조조직보다는 암세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은 종양 증식과 암표지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것이 수술 결과를 좋게 하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료의 축적을 통한 신생대동맥근위부 확쏭 진행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하겠다.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