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f Intercostal Nerve Block and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Post-Thoracotomy Pain

개흉술 후 동통억제에 대한 신경차단법 및 환자자가 치료법의 비교연구

  • 김우종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이길노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Remarkable effect of pain relief and prevention of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thoracotomy has been achieved by continuous intravenous analgesia.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irty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olateral thoraco ton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n= 10), the patients with intermittent intramuscular analgesia(piroxicam 20 mg), Group II(n=10), the patients with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0.5% bupivacaine 30m1 + normal saline 30 ml + morphine 10 mg), and Group III(n= 10) the patients with controlled intravenous infusion of analgesics(fentanyl 2500 mfg +normal saline 10 ml). The results w 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vital signs, between groups. 2) Tidal volume and FVC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roup II and III compared with the group I during the first postoperative day. 3) A significant reduction of immediate post-thoracotomy pain was achieved in the group II and III compared with the group I. 4) The limitation of motion in the operative side was less in the group II and III compared with the group I. 5) A signi(icant reduction of the postoperative analgegics consumption was noticed in group II and III. 6)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not occured during follow-up period in all groups.

개흉술후 동통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술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동통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중의 하나인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으로 술후 괄목할만한 진통효과를 보았다. 총 30명의 후측방 개흉술 및 늑골절제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진통제의 근주를 시행한 환자 10명을 I 군으로, 경막외 신경차단을 시행한 환자 10명을 II군으로 그리고 환자 자가조절에 의한 지속적 정주 요법을 시행한 환자 10명 III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혈압, 심박수, 호흡수 및 동맥혈 가스 분석상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II군과 III 군이 I군보다 기침 및.심호흡을 현저하게 잘하였다. 술후 2시간 후의 일회호흡량(tidal volume)의 회복률은 I군이 58.2$\pm$5.9%, II군이 77.9$\pm$ 11.7%, III군이 84.1 :5.8%로, III군은 II군보다, II군은 I군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술후 2,8시간 후에 실시한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의 회복률은 II군 및 III군 은 비슷하였으나, 각각 I군보다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 0.05). 수술후의 통증은 II, III군 이 I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술측 부위의 운동도 원할하였고, 진통제 투여량에서도 I군보 다 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수술후 회복도 보다 용이 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약성 진통제의 지속적 정주요법 은 술후 폐기능 회복과 동통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경막외 신경차단법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수 술직후 2시간째의 폐기능 회복률에 있어서는 마약성 진통제의 정주요법이 경막외 신경차단법 보다 다소 효과가 좋았다..0%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조직형별 5년 생존율은 편평상피세포암이 43.1%, 선암이 23.3%, 거대세포암이 30.3%였다(p>0.05).치료법이며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icuspid valve pouch 19례), 우심실 유출로폐쇄(4례), 아급성심내막염(1례) 및 동반질환을 부가적인 수술적응으로 삼았다. 6. 수술후 관찰결과 사망률은 없었고, 잔존 심실중격결손증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경삼첨판륜 절개방법(TATV)은 삼침판맹낭을 가지고 있는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 (PMVSD) 수술시 좋은 방법이며, 또한 막성주위형 심실중격결손증(PMVSD)에서 수술시 시야를 좋게하고 수술후 삼첨판폐쇄부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량치가 뜻하는 의 미는 서로 달랐으며, 암조직내에서 대조조직내보다 CYFRA 21-1 치가 더 낮게 나온 것은 암세포내 에서는 세 포질 성분의 고갈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암세포의 활동성과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EGF-R은 세포벽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암세포의 증식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대조조직보다는 암세포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은 종양 증식과 암표지자로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것이 수술 결과를 좋게 하는 방법이라고 사료된다.료의 축적을 통한 신생대동맥근위부 확쏭 진행여부에 주의를 기울여야하겠다.록 mosaic 형태로 외래유전자가 발현되었지만 대조구에서 87.0% (26/30개)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인 반면, G418 처리구에서는 모든 배반포기가 $\beta$-Gal 활력을 보였다 (P<0.05). 그러나 대조구 및 G418 처리구의

Keywords

References

  1. Acta Anaesthesiol Scand v.31 The effect of thoracic epidural analgesia on respiratory function after cholecystectomy Hendolin H
  2. Lancet v.2 Postoperative changes in gas tensions arterial blood and in ventilatory function Diament ML;Palmer KNV
  3. General thoracic surgery(3rd ed.) General principle of postoperative care Rence SH;Thomas WS(ed.)
  4. Br J Anaesth v.47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pain Wallace PGM;Norris W
  5. Br J Anesth v.45 The role of airway closure in postoperatuve hypoxemia Alexander RI;Spence AA;Parikh RK;Stuart B
  6. Anesth v.35 The measurement of gas trapped in the lung at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and the effect of posture Don HF;Craig DB;Wahba WM;Couture JG
  7. Ann Surg v.171 Postoperative respiratory Insufficiency; physiologic studies with therapeutic implications Neely WA;Robinson WJ;Mcmullan MH;Bobo WD;Meadows DL;Hardy JD
  8. J appl physiol v.26 Surfactant function and anesthetic agents Woo SW;Berlin D;Hedley-whyte J
  9. Br Med J v.283 Improved pain relief after thoracotomy Cundy JM
  10. J Thorac Cardiovasc Surg v.80 A technique for continous intercostal nerve block analgesia following thoracotomy Ronald TO;Lee AN;Spencer PW
  11. Ann Thorac Surg v.11 A technique for intercostal nerve block after thoracotomy Bryant LR;Trinkle JK;Wood RE
  12. J Thorac Cardiovasc Surg v.92 Cryoanalgesia after thoracotomy Maiwand MO;Makey AR;Rees A
  13. Can Anesth Soc J v.28 Pulmonary atelectasis after anesthesia. Patho-physiology and management Rigg JRA
  14. 대흉외지 v.29 늑골골절 환자에서 지속적 경막외 신경차단에 의한 진통효과 안상구;김재영;이만복;남충희;강규식;이길노
  15. Br J Anesth v.45 An analysis of the complications of extradural and caudal block Dawkins CJM
  16. Lancet v.1 Epidural morphine in treatment of pain Behar M;Olshwang D;Magors F;Dridson JT
  17. Br J Anesth v.47 Postoperative extradural and gesia following thoracic surgery Grittiths DPG;Diamond AW;Camern JD
  18. Arch Surg v.87 Are postoperative narcotics necessary? Roe BB
  19. Br Med J v.1 Continuous narcotic infusions for relief of postoperative pain Church JJ
  20. Anesthesiology v.75 Postoperative analgesiay intravenous clonidine Bernard JM;Hommeril JL;Passuti M;Pinaud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