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phetamin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4초

GC-MS/MS를 이용한 모발 중 암페타민 유도체 및 노르케타민 동시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mphetamine derivatives and norketamine in hair by GC-MS/MS)

  • 김진영;신순호;고범준;정재철;서용준;인문교
    • 분석과학
    • /
    • 제22권3호
    • /
    • pp.210-218
    • /
    • 2009
  • GC-MS/MS를 이용하여 모발 중 암페타민계 마약류 4종과 노르케타민의 동시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분석법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발 시료의 전처리 과정은 증류수와 아세톤을 이용하여 세척, 자동분쇄기를 이용한 세절, 메탄올 용매를 이용한 추출 및 배양 그리고 HFBA로 유도체화하는 단계를 거쳐 G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분석물질에 대해 정량범위 내에서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내었으며, 실제 마약 복용자의 모발감정에 이용될 수 있는 충분한 감도와 선택성, 정밀도와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검정곡선의 결정계수($r^2$)는 0.998 이상을 나타내었고 검출 한계는 0.007 ng/mg 이하였으며 회수율은 75.9-100.9%이었다. 일내 (intra-day) 및 일간 (inter-day) 정확도는 -2.6-17.0%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정밀도는 10.7%이하로 모두 기준값(20% 이하)이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확립된 분석법을 마약 복용자의 모발에 적용한 결과 메스암페타민의 농도 분포는 0.97-19.30 ng/mg이었으며 암페타민은 0.14-2.56 ng/mg이었다.

고체상추출과 GC/MS를 이용한 소변 중 암페타민계 마약성분 동시분석법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mphetamine-like drugs in human urine by SPE and GC/MS)

  • 정재철;김진영;인문교;정원조
    • 분석과학
    • /
    • 제21권1호
    • /
    • pp.41-47
    • /
    • 2008
  • 소변 중 암페타민계 5성분(amphetamine; AP, methamphetamine; MA, 3,4-methylenedioxyamphetamine; MDA, 3,4-methylenedioxymethamphetamine; MDMA, 3,4-methylenedioxyethylamphetamine; MDEA)의 동시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액체상추출(liquid-liquid extraction; LLE) 방법과는 달리 감정과정의 자동화가 가능한 고체상추출(solid-phase extraction, SPE) 방법을 도입하였다. 시험관에 소변 3 mL와 0.1 M 인산완충액 1 mL (pH 7.0)를 넣고, 자동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증발 건고하여 유도체화 한 다음 GC/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검정곡선의 직선성 상관계수 ($r^2$)는 AP와 MDA [농도범위 34.0 (AP), 28.0 (MDA)~1000.0 ng/mL] 및 MA, MDMA, MDEA (농도범위 50.0~2000.0 ng/mL)에서 0.994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성분들의 검출한계 (LOD)는 4.0~10.0 ng/mL 범위였고, 정량한계 (LOQ)는 12.0~34.0 ng/mL 범위였다. 상대 회수율은 5성분 모두 93.5~107.7%로 측정되었다. 정밀도 (precision)와 정확도 (accuracy)는 각각 1.9~14.8%와 -8.7~14.8 % 범위 값을 나타냈다. 본 실험방법을 실제 남용자 소변에 적용한 결과 메스암페타민 또는 엑스터시 투약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시에 확인할 수 있었다.

수종 중추성 약물이 Barbiturates 및 Non-barbiturate의 수면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Various Drugs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n Sleeping Time of Barbiturates and Non-barbiturate)

  • 허숙;채경숙;김혜성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7
    • /
    • 1971
  • The effects of 5 different drugs (amphetamine, caffeine, serotonin, sod. salicylate and pentazocine) on the duration of action of two barbiturates (thiopental and pentobarbital) and an intravenous anesthetic (propanidid) were determined in rats. Duration of action was determined by the time elapsing between loss and return of the righting reflexes. All drug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except propanidid which was administered by the intravenous route. Preliminary experiments indicated that at a dose of 40 mg/kg either of the two barbiturates or propanidid produced loss of the righting reflexes without death. At this dose, however, the duration of action of propanidid was extremely short. However, this dose was selected for subsequent studies. 1. At the dose employed amphetamine shortened the sleeping time of three compounds. 2. Caffeine and theophylline shortened the sleeping time of thiopental and prolonged the duration of action of pentobarbital. 3. Serotonin had no effect on duration of action of the barbiturates but prolonged the sleeping time produced by propanidid. 4. Sod. salicylate significantly prolonged the sleeping time of the barbiturates whereas pentazocine exhibited this effect only in relation to thiopental.

  • PDF

Cocaine- and Amphetamine-Regulated Transcript (CART) Peptide Plays Critical Role in Psychostimulant-Induced Depression

  • Meng, Qing;Kim, Hyoung-Chun;Oh, Seikwan;Lee, Yong-Moon;Hu, Zhenzhen;Oh, Ki-Wa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6권5호
    • /
    • pp.425-431
    • /
    • 2018
  • Cocaine- and amphetamine-regulated transcript (CART) peptide is a widely distributed neurotransmitter expressed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s. Previously, several reports demonstrated that nucleus accumbal-injected CART peptide positively modulated behavioral sensitization induced by psychostimulants and regulated the mesocorticolimbic dopaminergic pathway. It is confirmed that CART peptide exerted inhibitory effect on psychostimulant-enhanced dopamine receptors signaling, $Ca^{2+}$/calmodulin-dependent kinase signaling and crucial transcription factors expression. Besides modulation of dopamine receptors-related pathways, CART peptide also exhibited elaborated interactions with other neurotransmitter receptors, such as glutamate receptors and ${\gamma}$-aminobutyric acid receptors, which further account for attribution of CART peptide to inhibition of psychostimulant-potentiated locomotor activity. Recently, CART peptide has been shown to have anxiolytic functions on the aversive mood and uncontrolled drug-seeking behaviors following drug withdrawal. Moreover, microinjection of CART peptide has been shown to have an antidepressant effect, which suggests its potential utility in the mood regulation and avoidance of depression-like behaviors. In this review, we discuss CART pathways in neural circui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neurotransmitters associated with psychostimulant-induced depression.

Decrease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β phosphorylation in the rat nucleus accumbens shell is necessary for amphetamineinduced conditioned locomotor activity

  • Shin, Joong-Keun;Kim, Wha Young;Rim, Haeun;Kim, Jeo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6권1호
    • /
    • pp.59-65
    • /
    • 2022
  • Phosphorylation levels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β (GSK3β)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motor stimulant-induced locomotor activity. Locomotor sensitization induced by psychomotor stimulants was previously shown to selectively accompany the decrease of GSK3β phosphorylation in the nucleus accumbens (NAcc) core, suggesting that intact GSK3β activity in this region is necessary for psychomotor stimulants to produce locomotor sensitization. Similarly, GSK3β in the NAcc was also implicated in mediating the conditioned effects formed by the associations of psychomotor stimulants. However, it remains undetermined whether GSK3β plays a differential role in the two sub-regions (core and shell) of the NAcc in the expression of drug-conditioned behaviors.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GSK3β phosphoryl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NAcc shell obtained from rats expressing amphetamine (AMPH)-induced conditioned locomotor activity. Further, we demonstrated that these effects were normalized by treatment with lithium chloride, a GSK3β inhibit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havior produced by AMPH itself and a conditioned behavior formed by associations with AMPH are differentially mediated by the two sub-regions of the NAcc.

마약남용자 11명의 타액 중 메스암페타민의 분석 (Analysis of Methamphetamine and Amphetamine in Oral Fluid of Eleven Drug Abusers)

  • 김은미;이주선;최혜영;최화경;정희선
    • 약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19-425
    • /
    • 2008
  •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ction of methamphetamine (MA) and its main metabolite amphetamine (AM) in oral fluid. Oral fluids of eleven drug abusers were provided by Police, specimens were collected by stimulation with a cotton swab treated with 20 mg of citric acid ($Salivette^{(R)}$; Sarstedt, USA). As the preliminary test, oral fluid samples were screened for amphetamines by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 (TDxFLx, Abbott Co.). Extraction for MA was performed using solid-phase extraction (SPE) by $RapidTrace^{TM}$ (Zymark, USA) with mixed mode cation exchange cartridge, CLEAN $SCREEN^{(R)}$ (130 mg/3 ml, UCT) after dilution with phosphate buffer. Samples were evaporated and derivatized by pentafluoropropionic acid anhydride (PFPA). Quantitation of MA and AM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using selective ion monitoring (SIM), the quantitation ions were m/z 204 (MA), 208 (MA-$D_5$), 190 (AM) and 194 (AM-$D_5$). The selectivity, linearity of calibration, limit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ithin- and between day precision, accuracy and recoveries were examined as parts of the method validation. All oral fluid samples gave positive results to immunoassay for MA (cut-off level, 50 ng/ml as d-amphetamine). Concentrations of MA and AM by GC-MS in eleven samples were ranged 104.2${\sim}$4603.3 ng/ml and 32.4${\sim}$268.6 ng/ml, respectively. Extracted calibration curves of MA and AM were linear over the two concentration range of 1${\sim}$100 and 50${\sim}$1000 ng/ml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above 0.999. LOQ of MA and AM was 1 and 3 ng/ml, respectively. The intraand inter-day run precisions (CV) for MA and AM were less than 10%, and the accuracies (bias) for MA and AM were also less than 10% at the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5 and 100 ng/ml at low calibration range, 50 and 1000 ng/ml at high calibration range. The absolute recoveries of MA and AM at low and high calibration ranges were more than 82% and 75%,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method of MA in oral fluid was established. Oral fluid testing may detect drug use in past hours because of its shorter detection window than urine, and be useful in post-accident situations. So oral fluids will be most useful for testing drug abuse in the 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drug (DUID) as the alternative specimens of urine.

페네틸아민 유도체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 (Theoretical Study on Structural Properties of Phenthylamine Derivatives)

  • 이철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761-766
    • /
    • 2020
  • 페네틸아민 유도체는 생화학적 작용을 하는 물질로 향정신성 약물로 많이 응용되고 있다. 특히 에페드린, 암페타민, 펜터마인 그리고 도파민과 같은 물질의 정량적 검출과 관련해서는 전기화학적, 진공자외선법, 그리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의 선행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분자 단위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연구는 많이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페네틸아민 유도체의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yperChem8.0, HC)의 반경험적 PM3 방법을 이용하여 에페드린, 암페타민, 펜터마인 그리고 도파민의 전체에너지, 밴드갭, 정전포텐셜, 전하량을 계산하여 각 유도체의 분자구조적 변화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에너지의 경우 -43,171.8, -32,9538.3, -36,407.3 그리고 -43,061.2 Kcal/mol로 각각 나타났으며 밴드 갭의 경우 10.1637937, 9.9531666, 9.7878002 그리고 9.0589282 eV로 나타났다. 또한, 정전포텐셜의 경우 1.301~-0.045, 1.694~0.299, 0.694~-0.158 그리고 1.587~-0.048로 각각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알짜전하 분포를 살펴보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그리고 탄소 원자의 경우 각각 -0.312~-0.242, -0.161~-0.051 그리고 +0.13~-0.1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페네틸아민 유도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페닐기와 산소 및 질소 원자를 중심으로 화학작용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소변 중 메트암페타민, 암페타민 및 대마 대사체 LC-MS/MS 정량분석에서 검량선 작성을 위한 R을 활용한 회귀모델 선택 (Regression model for the preparation of calibration curve in the quantitative LC-MS/MS analysis of urinary methamphetamine, amphetamine and 11-nor-Δ9-tetrahydrocannabinol-9-carboxylic acid using R)

  • 김진영;신동원
    • 분석과학
    • /
    • 제34권6호
    • /
    • pp.241-250
    • /
    • 2021
  • 검량선 작성은 기기분석을 통해 생체시료에서 분석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정량분석법 개발과 측정값의 정확도 향상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R 기반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개별 분석물질 정량에 적합한 가중계수와 회귀모델 선정하기 위한 단계별 선택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국내에서 남용빈도가 가장 높은 필로폰과 대마 복용여부 확인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LC-MS/MS)이 적용되었으며, 분석물질로 마약의 복용 여부를 확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상 마약의 모체와 대사체를 소변 시료에서 분석하였다. 검량선 작성에 있어서 가중계수 적용여부는 원본데이터의 이분산성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가중계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분산분석을 통해 적정 가중계수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편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회귀모델에 적합한 차수를 결정하였다. 분석물질인 메트암페타민, 암페타민, 대마 대사체에 대해 R 기반 프로그램에 적용한 결과, 단계별 결과 및 최종 모델식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서 파일로 저장이 가능하여 보관의 편의성을 제고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제작된 R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량선 작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약물분석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뇌와 척수에서 Cocaine-Amphetamine Regulated Transcript를 과발현하는 형질전환 생쥐 (Transgenic Mice Overexpressing Cocaine-Amphetamine Regulated Transcript in the Brain and Spinal Cord)

  • 최시호;이정웅;박흠대;장정원;정길생;이훈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9-397
    • /
    • 2001
  • CART는 leptin에 의해 조절되는 포식인자이며 섭식과 운동 습성에 관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CART Leu34Phe 돌연변이는 비만의 표현형을 나타내었지만, 생쥐의 CART 돌연변이는 일반사료의 섭취 후 급격한 체중증가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생체 내 신경세포에서 CART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형질전환 모델을 확립하고자 분화하는 신경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NF-L promoter와 CART의 재조합 발현 벡터를 구축하였다. 형질전환 생쥐는 유전자 미세 주입법에 의하여 생산되었으며, PCR과 Southern blot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형질전환 생쥐에서 CART의 과 발현을 수정 후 13.5일째 초기 배아와 생후 6주째 형질전환 생쥐의 뇌와 척수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섭식 관련 유전자들이 상호 연관된 섭식행동에서 CART의 역할을 연구하는데 모델 동물로써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