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oxicillin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6초

오메프라졸과 란소프라졸의 혼합으로 인한 헤리코박터파이로리에 대한 항생제의 감수성 변화 (The Effect of Omeprazole and Lansoprazole on the Susceptibility of Helicobacter pylori to Antimicrobial Agents)

  • 방성혜;이숙향;서옥경;신현택;조경주;이호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0-44
    • /
    • 1997
  • Helicobacter pylori(HP) has been implicated as the cause of acute and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 and gastric carcinoma. To date the most successful treatment in eradicating HP is known to be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tibiotics with an anti-ulcer drug. In this study,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wo was assessed, when proton pump inhibitors (PPIs), omeprazole and lansoprazole, were added to antibiotic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assays in the absence of PPIs gav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value of 0.63 mg/l for amoxicillin, 4 mg/l for tetracycline, 0.08 mg/l for clarithromycin and 0.16 mg/l for azithromycin. At the concentrations of 125 mg/l, 25 mg/1 and 0.5 mg/l of omeprazole, and the concentrations of 31.25 mg/l, 6.25 mg/l and 1 mg/l of lansoprazole, the MICs of clarithromycin and azithromycin were reduced by $50\%$. Also, lansoprazole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31.25 mg/l reduced the MIC of amoxicillin by $50\%$, and omeprazole at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25 mg/l reduced the MIC of tetracycline by $50\%$. In conclusion, the in vitro combination of PPIs and antibiotics led to improvement in the MIC of antibiotics against HP associated gastric disease.

  • PDF

개의 위내 Helicobacter 균속 감염에 대한 삼중요법의 효과 (Effect of Triple Therapy on Eradication of Gastric Helicobacter Species Infection in Dogs)

  • 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1-205
    • /
    • 2001
  • 위내 Helicobacter 균속에 자연 감염된 개에서 삼중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elicobacter 균속에 자연 감염된 것으로 판명된 7두의 개를 대상으로 amoxicillin, metronidazole을 14일간 경구투여하였다. 삼중요법 실시에 따른 Helicobacter 균속 감염상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투여 7일째, 14일째 그리고 투여 중지후 30일째의 위생검 조직에 대한 요소검사, Helicobacter 균속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와 함께 분변시료를 이용한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삼중요법 14일째 위생검 조직의 요소검사에서는 7두중 6두가 음성이었으나 위생검조직과 분변시료의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에서는 각각 3두와 4두만이 음성이었다. 삼중요법 중지후 30일째 검사에서는 각 검사법이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7두중 3두에서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내 Helicobacter 균속에 자연 감염된 개에서 amoxicillin, metronidazole과 omeprazole을 이용한 삼중요법은 Helicobacter 균속 감염 정도를 낮추거나 때로는 완전 박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지기에 만성위염의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개의 Helicobacter 균속 감염증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에 관한 합성의약품 대비 한약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PubMED를 중심으로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Versus Synthetic Drugs 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조은지;정설;곽승연;정의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85-295
    • /
    • 2021
  • Objective :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Helicobacter pylori(H. pylori) infection compared to amoxicillin included synthetic drugs. Methods : Releva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which were published prior to December 26, 2020, were collected using PubMED database. Risk of bias evaluation and data extraction were done independently by two reviewers, and the third reviewer reassessed mismatching parts. Results : Two RCTs testing two different herbal medicines against synthetic drugs solitary treatment or synthetic drugs with placebo for herbal medicine were included. One study repor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radication rate of synthetic drugs and the herbal medicine. The other study did not report the eradication rate of the herbal medicine. One study reported histologic severity, the other reported dyspepsia score as efficacy indicators. There was no adverse event reported in all studies. However, the number of included RCTs was too small, the quality of reported data was not enough to verify efficacy of herbal medicine, and there were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Conclusion : It was difficult to conclude that solitary treatment of herbal medicine was as effective as amoxicillin included synthetic drugs for H. pylori infection.

Amoxicillin trihydrate의 단독 경구투여 및 정맥투여에 따른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amoxicillin trihydrate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y single oral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s)

  • 전은지;서정수;김진도;정승희;김명석;황지연;박명애;지보영;김진우;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57-367
    • /
    • 2010
  • 아목시실린(Amoxicillin trihydrate; Amox)을 뱀장어(평균 체중 $220{\pm}10\;g$)에 1일 1회 경구투여(40 및 80 mg/kg body weight) 및 정맥투여(1 mg/kg)한 다음, 경시적(0시간~720시간)으로 혈장내 Amox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40 및 80 mg/kg 농도로 경구투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투여 6시간째 각각 $3.3{\pm}0.5$$3.4{\pm}0.1\;{\mu}g/m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Amox의 모든 시험구는 투여 720시간째 혈중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Amox의 경구투여방법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한 2-compartment model로 하여 Amox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parameter)를 조사하였다. 2-compartment model을 이용한 분석을 통하여 40 및 80 mg/kg Amox를 경구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각각 464 및 $667\;{\mu}g{\cdot}h/m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max)은 2.1 및 3.6 hr, 혈중최고농도(Cmax)는 3.04 및 $3.4\;{\mu}l/ml$로 계산되었다. 1 mg/kg Amox을 정맥 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748\;{\mu}g{\cdot}h/ml$, 혈중최고농도(Cmax)는 $4.2\;{\mu}l/ml$로 계산되었다. 1일 1회 단독으로 40 및 80 mg/kg Amox를 각각 경구 투여시의 뱀장어내 생체내이용율(F%; bioavailability)은 각각 1.6, 1.1%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목시실린을 삼수화물 형태로 사용함에도 낮은 어류내 생체내이용율을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치료와 Clarithromycin 내성간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Clarithromycin Resistance)

  • 손승규;이종화;이정훈;이상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7-182
    • /
    • 2005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H. pylori에 대한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은 114명의 소화기 궤양 환자들을 내시경 검사를 하는 동안, 114개의 H. pylori 균주를 위 전정부로부터 분리하였다. H. pylori를 검출하기 위하여 rapid urease test, SSA와 cagA 유전자의 PCR증폭을 수행하였고, CagA 발현 검출을 위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H. pylori에 감염된 환자들은 omeprazole. clarithromycin (a macrolide), amoxicillin을 모두 사용하는데 3제 요법(triple therapy)으로 치료하였다. 치료가 중단되고 6주 후에 내시경 검사에서 세균 박멸률을 측정하였다. 내성률은 각각 clarithromycin이 $20.2\%$. amoxicillin이 $0.0\%$였다. Clarithromycin 내성은 H. pylori의 23S rRNA 유전자에 있는 A2142G돌연변이에 의한 것이 $87\%$이었다. A2142G돌연변이의 clarithromycin의 MIC값($32\~>256\;{\mu}g\ml$)은 A2143G돌연변이의 MIC값($4\~128\;{\mu}g/ml$)보다 더 높았다. Clarithromycin에 감수성을 가진 H. pylori는 박멸되었으나 clarithromycin내성을 가진 H. pylori는 박멸되지 않았다(P = 0.0001). 이러한 결과들은 CagA 발현에는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았으며 H. pylori의 clarithromycin 내성은 치료 실패의 가장 중요한 이유임을 제시하였다. 우선적으로 실시되는 생검 배양에 대한 H. pylori의 항생제 감수성 시험은 감염된 환자들에 대한 3제 요법을 선택하기 이전에 필히 실시되어야 하며 국내에서 clarithromycin에 대한 1차 내성의 높은 빈도는 H. pylori의 감염증 치료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발현ㆍ분비 벡터 및 임상 균주가 생성하는 신규 AmpC-type $\beta$-lactam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oble AmpC-Type $\beta$-Lactamases Among Clinical Isolates Using New Expression/Secretion Vector)

  • 정하일;성광훈;이정훈;장선주;이상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4-110
    • /
    • 2004
  • 임상균주인 Enterobacter spp.가 생성하는 신규 chromosomal AmpC $\beta$-lactamases의 유전자형 및 진화적 측면을 고찰하기 위해서 항생제 감수성 시험, pI값 측정, DNA 염기서열 분석, 진화적 유연관계를 새로운 발현$.$분비 벡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6개 임상균주에서 cephamycins (cefoxitin and cefotetan), amoxicillin, cephalothin 및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내성 요인인 AmpC $\beta$-lactamase 유전자를 pMSG1219에 cloning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381-amino-acid $\beta$-lactamase를 암호화 하는 4개의 ampC 유전자($bla_EcloK992004.1$, $bla_EcloK995120.1$, $bla_EcloK99230$$bla_EareK9911729$)는 E. cloacae MHN1의 chromosomal ampC 유전자($bla_EcloMHN1$)와 99.6%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두 ampC 유전자($bla_Eclok9973$ and $bla_EcloK9914325$)는 E. cloacae 908R의 chromosomal ampC 유전자($bla_EcloQ9908R$)와 99.7%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런 결과는 6개 ampC 유전자가 $bla_EcloMHN1$ or $bla_EcloQ9908R$로부터 유래되었음을 시산한다. 발현ㆍ분비 벡터를 이용하여 제조한 6개 transformant의 MIC값 양상 및 정확한 pI값은 E. coli 균주에 외부 유전자의 특성을 고찰하는 목적에 개발된 발현$.$분비 백터(pMSG1219)가 유용함을 의미한다.

들깻잎 재배단지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 분석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Cultivation Area)

  • 김세리;차민희;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58
    • /
    • 2015
  •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을 대상으로 31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S. aureus 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S. aureus 31주의 toxicity를 평가하고자 독소유전자와 항생제 내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에서 4개의 서로 다른 독소유전자 패턴은 확인하였으며 sea와 sed유전자를 동시에 보유하는 균주는 4균주 (12.9%)였고, sed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는 9균주 (29.0%)였으며 see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는 1균주 (3.2%)였다. 한편 seb와 sec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는 없었다. 항생제 내성평가결과, 12제의 항생제(penicillin, ampicillin, oxacil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cefazolin, cephalothin, imipenem, gentamicin, tetracycline, ofloxacin, norfloxacin, and erythromycin)에 내성을 보인 균주는 7균주 (22.6%)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의 2균주 (2.6%)는 5제의 항생제(penicillin, ampicil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gentamycin, and telithromycin)에 내성을 보였고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포장지, 장갑, 들깻잎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들깻잎에 오염된 S. aureus에 의하여 독소형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들깻잎과 생산 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S. aureus가 검출되어 의약계뿐만 아니라 농업현장에서도 항생제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구강병원균에 대한 편백 피톤치드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Pathogenic Bacteria of Phytoncide from Chamaecyparis Obtusa)

  • 강수경;신미경;어규식;전양현;홍정표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45-55
    • /
    • 2007
  • 천연 식물 추출물을 구강 질환 분야에 활용하는 방안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휘발성 정유인 피톤치드를 치의학분야에 활용하고자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 GS5와 Streptococcus sobrinus 6715, 급진성 치주염에 관련된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Y4에 대한 항균효과를 미생물학적으로 실험하였다. 흡광도 측정, 생균수 검사,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피톤치드의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S. mutans GS5는 0.5%, S. sobrinus 6715는 1%,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0.2%로 측정되었다. 2. 피톤치드의 최소살균농도(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는 S. mutans GS5는 0.5%, S. sobrinus 6715는 2%,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0.2%로 측정되었다. 3. 피톤치드에 노출된 실험균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실험에서 피톤치드를 적용했을 경우, S. mutans GS5과 S. sobrinus 6715는 ampicillin에 대한 감수성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S. sobrinus 6715의 경우는 penicillin과 amoxicillin에 대한 감수성도 피톤치드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반면, A. actinomycetemcomitans Y4는 amoxicillin과 cefotaxime에 대한 감수성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편백 피톤치드 정유는 치아우식증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 급진성 치주염 원인균인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살균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균의 항생제 감수성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피톤치드는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을 포함한 구강질환에 대해 예방적이고 치료적인 효과를 얻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식사대용 식품(Ready-to-eat meals) 중 병원성 세균의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 양상 (Antibiotic Resistance and Assessment of the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Ready to Eat Meals)

  • 홍은경;김윤아;이도경;강병용;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5-27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3월 초까지 497개의 초밥, 김밥, 샌드위치 등의 식사대용 식품 검체를 수거하여 식품공전을 토대로 식사대용 식품에서 유래되는 미생물학적 인 오염도를 조사하고, 현대 사회에서 항생제 사용의 오남용으로 항생제 내성이 심각한 상황을고려하여 분리된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거된 검체를 실험한 결과 김밥에서 4개(1.4%)의 Escherichia coli가 분리되었고, 초밥, 샌드위치 등에서는 분리되지 앓았다. 또한 김밥에서 12개(4.4%), 초밥에서 8개(5.4%), 샌드위치에서 2개(4.3%)로 총22개(4.4%)의 Staphylococcus aureus가 분리되었다.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26개의 균주로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의 기준에 의거하여 vancomycin, teicoplanin, gentamycin, cipro-floxacin, synercid, cefotaxime, lincomycin, meropenem, cefazo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으로 총 10개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E. coli와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대용 식품에서 분리된 E. coli 4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은 그람 음성균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인 gentamycin, ciprofloxacin, cefotaxine, meropenem, cefazol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높다고 판단되었으나 amoxicillin-clavulanic acid에 대해서는 내성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항생제 감수성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되었다.

Amoxicillin의 근육투여에 따른 수온별 넙치 체내 약동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amoxicillin after intramuscular injec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to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지수;이지훈;이수진;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3-51
    • /
    • 2015
  • 아목시실린(AMOX)의 수온에 따른 약동학적 특성과 잔류량을 알아보기 위해 넙치(평균 100 g)를 $(17{\pm}2)^{\circ}C$$(22{\pm}2)^{\circ}C$에 수용하여 1회 근육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장, 간, 신장의 잔류농도를 HPLC-UVD로 분석하였다. 이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2-compartmental model로 PKSolver program을 이용하여 AMOX의 반감기, AUC 등의 pharmacokinetic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혈장, 간, 신장의 최고농도 및 도달시간의 범위가 각각 $27.23-257.36{\mu}g/m{\ell}$ (0.05-0.91 h), $5.49-41.65{\mu}g/g$ (1.36-3.28 h), $16.75-129.31{\mu}g/g$ (1.95-4.49 h)으로 나타났다. 수온에 따른 잔류기간을 시험하기 위해 어체중 kg 당 40 및 400 mg을 투여한 후 LC-MS/MS로 분석하였다. 40 mg/kg은 5일 후, 400 mg/kg은 7일 후에 각각 최대잔류허용량인 0.05 mg/kg 이하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