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moniac nitroge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해상 가두리 양식장 암모니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itoring System for Ocean Fish Farm)

  • 오진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21-727
    • /
    • 2006
  • 해상 가두리 양식장은 수중 내 암모니아성 질소 배설물을 제거 할 수 있는 것이 불가능하다. 암모니아성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여 대량 폐사를 하거나 섭이 활동을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공급된 사료를 어류들의 섭이 활동 저하로 낭비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상 가두리 양식장의 환경 요인 중에 암모니아를 원격에서 자동으로 측정하고 감시 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 하고자 한다.

음식물류 폐수 소각처리에 따른 질소산화물 저감 및 소각설비의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uction of Nitrogen Oxide (NOx) and Stability of Incineration Facility by the Food Wastewater Incineration)

  • 황승민;정진도;송장헌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01-908
    • /
    • 2009
  • 음식물류 폐수를 생활 폐기물 소각로에 직접 분사하여 소각처리 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각설비는 연속 스토카식 실증플랜트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NH_3$-N)가 다량 함유된 음식물류 폐수를 분사 소각함으로써 질소산화물($NO_x$) 농도저감과 동시에 질소산화물($NO_x$) 저감을 위해 선택적 비촉매 환원장치(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 SNCR)에서 사용되는 암모니아($NH_3$)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음식물류 폐수를 분사하여 2차 연소실 출구온도를 적정온도인 870~$950^{\circ}C$로 유지하여 소각량을 최대화하는 한편 폐열회수 보일러의 수관외벽 막힘현상 개선을 통한 로의 안정성 확보 및 연속운영기간의 연장을 실현하였다. 질소산화물($NO_x$), 황산화물($SO_x$) 및 다이옥신 등 대기오염물질 26개 항목에 대하여 측정을 실시한 결과 모두 배출허용 기준치 이하의 값을 나타내었다.

유기물부하가 낮은 하수의 전달탈질공법에 의한 탈질방안 (The Study on denitrification of low organic loading sewage by pre-denitrification process)

  • 이철승;서종환;김진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9호
    • /
    • pp.779-87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predenitrification process to improve the treatment efficiency in low organic loading sewage plant in use today, and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ilot plant added night soil as well as the nitrogen removal characteristics of pilot plant added carbon sources. In the operation under the condition of $BOD_{5}$ sludge load 0.03-0.28kg $BOD_{5}$/kg VSS/d and oxic ammoniac nitrogen sludge load 0.02-0.24 $kgNH_{4}^{+}$-N/kg MLVSS/d, nitrificat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95%. In order to achieve 70% nitrogen removal at the T-N sludge loading 0.06kg T-N/kg VSSㆍd and the SRT 6~11 days, optimum operating factors were revealed to $CODc_{r}$/T-N ratio 9, recycle ratio 2.6, and denitrification volume ratio 0.33. At this time, denitrification capacity was approximately 0.09 kg $NO_{3}^{-}$-N/kg $CODc_{r}$; specific nitrification rate was 3.4mg $NH_{4}^{+}$-N/g MLVSS/hr; and specific denitrification rate was 4.8mg $NO_{3}^{-}$-N/g MLVSS/hr.

꽃게 통발용 미끼의 형태에 대한 생분해도 평가 (Evaluation of biodegradability according to bait type for crab pots)

  • 정병곤;장호영;구재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1호
    • /
    • pp.20-30
    • /
    • 2008
  • In order to evaluate the biodegradability of bait used in the pot for swimming crab, water tank experiments were conducted. Mackerel is the most commonly used natural form of bait to catch the swimming crabs, and therefore was used in this experiment for the biodegradabilit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it. From the biodegradability test on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nitrogen(T - N), total phosphorus(T - P), ammoniac nitrogen,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per unit weight of the bait based on the production rate and the accumulated amount of pollutants, it was concluded tha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mackerel pieces, the higher the production rate and accumulated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which was unfavorable to water pollution. The amount of pollutants released from the intestine of the tuna was similar with that from the whole mackerel. For the operation period of 111 days, the accumulated concentrations of tested pollutants from the tuna which were 67.3 mgCOD/g d, 86.4 mgT N/g d, 3.1 mgT - P/g d, were almost half comparing with those from the mackerel which were 65.7 - 94.4 mgCOD/g d, 83.8 - 109.4 mgT - N/g d, 3.1 - 5.2 mgT - P/g d. The amount of pollutants released from the intestine of the tuna was slightly less than that from the mackerel that was cut into 8 pieces. but more than that from the mackerel which was not cut into piec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key factor in determining water pollution potential is not the kind of bait, but the processing or preparation method used.

관형 알루미나 세라믹 한외여과막에 의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에서 물 역세척의 영향 (Effect of Water-back-flushing in Advanced Water Treatment System by Tubular Alumina Ceramic Ultrafiltration Membrane)

  • 박진용;이송희
    • 멤브레인
    • /
    • 제19권3호
    • /
    • pp.194-202
    • /
    • 2009
  • 본 연구에서 처리수를 이용한 주기적인 역세척은 춘천시 공지천의 관형 세라믹 한외여과막에 의한 고도정수처리 시스템에서 막오염을 저감하고 투과선속을 향상시키고자 수행되었다. 일정한 역세척 시간(BT) 15초에서 여과시간 즉, 물 역세척 주기(FT) 2분이 가장 높은 무차원 투과선속(초기 투과선속에 대한 투과선속)과 가장 낮은 막오염 저항값을 보였다. 또한, FT 10분으로 고정한 BT 영향의 결과에서 BT 20초가 가장 낮은 막오염 저항과 가장 높은 무차원 투과선속을 나타내어, 가장 많은 총여과부피 107.3 L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공지천의 정수처리에서 FT 10분과 BT 20초가 최적조건으로 관형 알루미나 정밀여과의 선행 연구결과와 정확히 일치하였다. 한편 관형 세라믹 한외여과 시스템에 의한 오염물질 평균제거율은 탁도 97.0%, 망간법에 의한 COD 32.1%, 암모니아성 질소 28.8%, 총인 54.4%로 나타났다.

질소 합성 균주의 분리에 의한 특성검토와 합성폐수중의 암모니아성질소 제거 (A study on characteristic by isolation of nitrogen synthetic microorganism and ammonia nitrogen removal in artificial wastewater)

  • 김수일;이기형;배재근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3호
    • /
    • pp.117-12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생물학적 질소제거공정을 거치지 않고, 수중의 $NH_3-N$을 유기질소형태로 합성시키는 특수미생물을 분리, 이용하여 암모니아성질소로 오염된 폐수의 고도처리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NH_3-N$을 기질로 다량 이용할 수 있는 3종류의 특수미생물을 순수 분리한 후 무(無)염분조건과 염분조건(3%NaCl)에서 배양해 본 결과 M11은 염분조건에서, M12는 무(無)염분조건에서, M71의 경우는 양쪽 조건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탄소원(glucose)의 영향을 검토한 실험에서는 Glucose농도가 $5g/{\ell}$ 일 때, 미생물의 증식과 $NH_3-N$의 제거율이 가장 높았으나, 고농도(약 1000mg/L as $NH_3-N$) 조건하에서 $NH_3-N$의 제거율은 높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NH_3-N$의 농도는 100mg/L 일 때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했고, 이 때 $NO_2-N$$NO_3-N$의 증가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제거된 $NH_3-N$은 유기질소로 변환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pH완충과 인의 공급을 위한 $K_2HPO_4$ 농도는 미생물마다 최적 성장 농도는 조금씩 달랐으나, $5g/{\ell}$에서 적절한 성장조건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으로 특수미생물은 $NH_3-N$뿐만 아니라 $NO_2-N$$NO_3-N$도 질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할수록 $NH_3-N$의 제거율이 증가하는 뚜렷한 양상을 나타내어 추후 $NH_3-N$으로 오염된 폐수처리에의 높은 적용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