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ino sugars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3초

천년초의 성분특성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stems and fruit)

  • 신동선;한귀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16
  • 천년초 줄기와 열매의 성분특성을 알아보고자 일반성분, 무기성분, 아미노산 함량 및 유리당 함량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천년초 줄기와 열매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줄기의 경우 조회분이 10.85%, 조단백질이 8.3%, 조지방이 1.91%이었으며 열매는 조회분이 7.47%, 단백질이 2.62%와 조지방이 1.82%로 나타났다. 무기성분은 K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보다 열매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Ca, Mg, Na 및 P의 함량은 열매 보다 줄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아미노산은 줄기의 경우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이었고 열매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추출 용매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으며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75% 메탄올, 물 순으로 나타났지만 그 함량의 차이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p<0.001). 항산화 활성으로 DPPH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 활성능력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7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거 활성능력을 보였다. 용매별 $RC_{50}$ 값은 $956.30{\sim}1,267.60{\mu}g/mL$로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BHA는 각각 $10.50{\mu}g/mL$, $35.05{\mu}g/mL$의 소거능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천년초의 줄기와 열매의 영양성분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페놀류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높았으며 항산화 효과가 있어 가공제품 개발이 식품소재로서 유익한 이용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밤의 저장 중 성분변화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 나영아;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64-1170
    • /
    • 1996
  • 밤의 저장중 품질변화를 평가하고져 실온$(20^{\circ}C)$ 및 냉장$(1^{\circ}C)$에서 각각 9주간 및 15주간 저장하면서 vitamin C, 당, 유기산 및 아미노산의 함량변화를 측정 하여 다음과 잘은 결과를 얻었다. 밤의 vitamin C함량은 환원형이 17.76 mg/100 g,f.w., 산화형이 4.08 mg/100g,f.w.로 환원형이 전체의 81.3%나 차지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 환원형은 감소하였으나 산화형은 저장온도 $20^{\circ}C$에서는 5주까지, $1^{\circ}C$에서는 7주까지 증가하였다. 밤의 유기산 조성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quinic acid는 적은 양 함유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citric acid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malic acid는 $20^{\circ}C$에서는 증가되었다. 밤의 유리당조성은 sucrose, maltose, fructose, glucose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glucose와 fructose는 감소한 반면 sucrose와 maltose는 증가하였다. 밤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전체의 51%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 aspartic acid, arginine, 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등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20^{\circ}C$에서는 glutamic acid, arginine, alanine, threonine, phenylalanine, valine, lysine 등은 증가하였으나, proline, serine, isoleucine, leucine 및 ${\gamma}-aminobutyric{\;}acid$ 등은 감소하였으며 $1^{\circ}C$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유자 착즙액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itron(Citrus junos) Juices)

  • 이영철;김인환;정진웅;김현구;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52-556
    • /
    • 1994
  • 유자쥬스제조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 착즙액의 특성 및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부위별 비율은 과육이 39.4%, 과피부분은 43.9%, 종자는 16.7%를 차지하였다. 유자의 중량에 따른 착즙액의 수율은 120g까지 증가하였으나 121g 이상에서는 증가하지 않았다. 원심분리식 착즙방법과 유자를 횡으로 1/2로 절단하여 압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착즙액의 특성중 산도와 투과도는 원심분리식보다 압착식이 높았으며, pH, Brix, 펄프, oil성부상물, 아미노태질소와 수율은 원심분리식이 압착식보다 높았다. 유자착즙액의 유리당은 포도당, 과당, 설탕으로 원심분리식 착즙액이 압착식 착즙액 보다 유리당 함량이 약 2배 높았다. 압착식 착즙액의 경우 총수중기 증류물중 주요향기성분은 dl-limonene, ${\gamma}-terpinene\;{\beta}-farnesene$, sabinene, linalool, ${\beta}-myrcene$, terpinolene이었고, 원심분리식 착즙액의 경우 dl-limonene, ${\gamma}-terpinene$, sabinene ${\beta}-myrcene,\;{\alpha}-pinene$, linalool, terpinolene이었다. 이중 dl-limonene과 ${\gamma}-terpinene$이 전체 향기성분의 $73{\sim}83%$를 차지하였다. dl-limonene은 원심분리식이 인착식보다 약 6% 정도 높았으나, ${\beta}-farnesene$은 원심분리식 착즙액에는 소량 존재하나 압착식 착즙액에는 약 7% 존재하였다. 따라서 착즙방법에 따라 유자의 화학성분 및 주요향기 성분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 양호철;정경모;강광성;송병준;임현철;나환식;문희;허남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12-917
    • /
    • 2005
  • 전남 지방에서 생산되는 매생이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 탄수화물이 53.65%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조단백질 31.76%, 회분 13.58%와 조 지방이 1.01%로 나타났다. 매생이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Na>Mg>Ca>K>P 순으로 나타났으며 Se도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총 5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galactose)이 분석되었으며 유기산은 l-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D-malic acid 등 4종이 검출되었다. 매생이의 구성 아미노산은 전체적으로 고루 함유되어 있었고 그 중 glutamic acid, aspartic acid와 alanine이 전체의 36.2%를 차지하였다. 매생이에 함유된 주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 linolenoc acid, stearidonic acid 순이었으며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전체의 58.37%를 차지하고 있었다.

어성초의 화학성분 및 항미생물 활성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 김근영;정동옥;정희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0-406
    • /
    • 1997
  • 어성초의 화학조성과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하였다. 어성초의 화학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리아미노산은 Asp, Glu, Gly, Arg, Ala, Pro, Val, Cys, Phe 등이 함유되었고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주로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로 구성되었으며 무기성분중에서는 K 함량이 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성초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각 fraction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을 검색한 결과 basic fraction을 제외한 acidic, neutral, phenolic fraction에서 항미생물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neutral fraction>acidic fraction>phenolic fraction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사용 미생물중 Pseudomonas aeruginosa, Micrococcus luteus, Bacillus subtilis에 특히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spergillus parasiticus, Aspergillus flavu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활성이 인정된 각 fraction에 대한 MI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0075 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으며 그 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025{\sim}0.75g/mL$상당량의 다양한 MIC 값을 나타냈다.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은 $0.25{\sim}0.75g/mL$ 상당량으로 neutral fraction에 비해 높은 MIC 값을 나타냈다. MLC값은 neutral fraction의 경우 Pseud. aeruginosa가 0.1g/mL 상당량으로 가장 낮았고 그밖의 균주에 대하여는 $0.25{\sim}2.0g/mL$ 상당량의 MLC 값을 보였으며 acidic fraction과 phenolic fraction의 경우 사용 미생물에 대하여 3.0g/mL상당량까지 치사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천연첨가물을 이용한 전통고추장의 유통중 팽창억제 및 품질개선 (Prevention of Swelling and Quality Improvement of Sunchang Traditional Kochujang by Natural Additives)

  • 정도연;송미란;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5-610
    • /
    • 2001
  • 순창전통고추장 저장 및 유통 중 품질저하 요인이 되는 가스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겨자와 고추냉이 분말을 고추장 제조시 첨가하여, 전통옹기에서 180일 동안 숙성하면서 성분 변화와 가스발생 유무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겨자 및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 품질에 대한 관능검사를 통하여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양고추냉이를 0.6% 정도 첨가한 고추장은 대조구에 비하여 발효 중 산생성이 억제되었고,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 아미노산성질소함량은 오히려 높았다. 색택은 겨자 첨가시에는 변화가 없으나 양고추냉이를 첨가하는 경우 L값과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은 겨자와 양고추냉이 첨가시에 비첨가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 양고추냉이를 0.6% 첨가하면 유통 중 문제되는 가스발생을 완전히 억제할 수 있었다. 발효가 종료된 제품의 관능검사결과 양고추냉이 첨가 고추장이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다른 고추장에 비해 오히려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순창전통고추장에 0.6% 수준의 양고추냉이 분말을 첨가하면 완제품의 유통 중 가스발생 억제는 물론 품질개선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미역(Undaria pinnatifida)귀의 일반성분, 유리당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 (The Content of Amino Acids, Free Sugars and Proximate Compositions from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 진성우;김경제;고영우;임승빈;하늘이;정희경;제해신;반승언;정상욱;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7-77
    • /
    • 2018
  • 미역의 뿌리부분인 미역귀에는 알긴산과 후코이단 성분이 풍부하고 고혈압과 당뇨등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후코이단은 미역과 다시마 같은 갈조류에서 추출된 천연물질로 특히 면역력을 활성화하고 항암작용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알긴산 등 유용성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미역귀의 유용성분을 분석하여, 향후 미역귀를 활용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미역귀는 2015년 12월 완도 금일수산에서 제공받아 연구재료로 활용하였다. AOAC방법에 따라 분석한 미역귀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섬유와 가용성 무질소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료로 사용한 미역귀가 수확 후 바로 냉동보관 되어서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여진다. 유리당은 미역귀 1g에 증류수를 가하여 $60^{\circ}C$에서 4시간 추출 한 후, 원심분리(3,000 rpm, 30 min)하여 $0.45{\mu}m$ membrane filter (Millipore Co., USA)로 여과한 여액을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역귀의 유리당은 Galactose 1종만이 검출되었다. 미역귀의 구성아미노산과 유리아미노산은 $0.45{\mu}m$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일정량 취하여 AccQ-Tag 시약을 사용하여 유도체화 시킨 후 HPLC로 분석하였다. 미역귀의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lysine, threonine, valine, arginine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threonine, arginine, lysine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미역귀의 유리아미노산함량은 표고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함량이 나타났으며, 주요아미노산은 해조류의 풍미를 대표하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와 alanine으로 나타났다.

  • PDF

소나무 자엽(子葉)을 이용(利用)한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및 배양(培養) (Isolation and Culture of Protoplasts from Embryonic Cotyledo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 이경준;이재순;윤양;이석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9-13
    • /
    • 1985
  • 침엽수류(針葉樹類)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배양(培養)의 가능성(可能性)을 시험(試驗)하기 위하여 소나무 종자(種子)의 자엽(子葉)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나출(裸出)하여 배양(培養)을 시도(試圖)하였다. 9일(日)동안 발아(發芽)시킨 채종원산(採種園産) 소나무 종자(種子)에서 길이가 3~4mm 가량 되는 자엽(子葉)을 잘라내서 Cellulase Onozuka R-10과 Macerozyme을 첨가(添加)한 효소용액(酵素溶液)에서 8시간(時間) 처리(處理)하여, 활성(活性)이 높은 원형질체(原形質體)를 대상(大量)으로 얻었다. 나출(裸出)된 원형질체(原形質體)를 $B_5$ 배양(培養)의 무기염(無機鹽), 비타민, 아미노산, 유기산(有機酸), 당류(糖類), 식물(植物)홀몬이 들어있는 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였을 때, 12시간(時間) 경과(經過) 후(後) 첫 budding이 관찰(觀察)되었으며, 3~4일(日) 후(後) 3~4개(個)의 세포(細胞)로 분열(分裂)하였다. 세포분열(細胞分裂)은 적도판(赤道板)을 가운데 둔 이등분식(二等分式) 분열(分裂)이 아니고, 대부분(大部分) 효모균(酵母菌)과 같이 budding에 의한 분열(分裂)이었다. 세포분열(細胞分裂)은 4개(個)의 세포상태(細胞狀態)에서 중단(中斷)되어 더 이상 진전(進展)되지 않았다. 소나무 종자(種子)를 17일(日) 혹은 24일간(日間) 발아(發芽)시켜서 완전(完全)히 자란 자엽(子葉)을 사용(使用)했을 때에는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은 쉽게 이루어졌으나, 배양시(培養時)에 세포분열(細胞分裂)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PDF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d-Air Dried Persimmons and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 이수원;문혜경;이원영;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연구는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건시 및 건시 모두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있어서 냉풍건조 곶감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조지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회분과 가용성무질소물 함량은 냉풍건조 곶감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꽂감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반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반건시, 건시가 각각 40.12 $^{\circ}Brix$, 52.29 $^{\circ}Brix$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곶감의 색도는 L값(lightness), a값(redness) 및 b값(yellowness)에서는 냉풍건조 곶감이 전통곶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색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보여주어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반건시의 경우 조직감에 있어서 3개 시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곶감의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의 값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6개 시료구 모두 fructose와 glucose만 검출되었으며 유리 아마노산은 17종 함유되어 있었고,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alanine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다. 냉풍건조 곶감이 천일건조에 의해 생산되는 전통 곶감보다 위생적이며 건조조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균일한 품질의 우수한 곶감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중에 유통되는 콩의 종류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s in Distribution)

  • 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동환;윤원중;김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5-221
    • /
    • 2011
  • 콩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조지방은 백태 17.60${\pm}$0.14%, 조단백질은 서목태 42.38${\pm}$0.15%로 가장 높고, 조회분의 경우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L값 작두콩 64.07${\pm}$0.97, a값 강낭콩 15.64${\pm}$0.48, b값 백태 22.92${\pm}$0.09로 각각 가장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중 fructose, glucose, maltose는 서목태가 각각 13.92 mg/g, 20.52 mg/g, 2.61 mg/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sucrose는 서리태가 54.23 mg/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유기산 중 oxal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는 각각 서목태가 23.26 mg/100 g, 18.24 mg/100g, 23.6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citric acid의 경우 청태가 7.22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콩의 종류에 따라 각각 함유 성분에 차이가 있었다.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2.68~6.18 g/100 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그 중 서리태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콩의 무기질은 K, Mg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o, Cu, Zn은 미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콩의 품종에 따른 차이와 동일한 품종일지라도 재배 및 환경 요인, 건조 방법, 건조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