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es test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國內) 사용농약(使用農藥)의 돌연변이원성(突然變異原性)에 관(關)한 고찰(考察) (A Study and Review on the Mutagenecity of Pesticides Used in Korea)

  • 오정욱;김영환;차철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8권1호
    • /
    • pp.5-11
    • /
    • 198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omestic pesticides on their mutageneci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mutagenecities of chemical compounds : and to report the results of experimental tests on the mutagenecity of other pesticides for which mutagenecity had not been previously demonstrated. For the experiments on mutagenecity,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was performed.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67 kinds of pesticides utilized in Korea during the last 10 years from 1973 to 198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otal amount of pesticide which was consumed in Korea during the past ten years(1973-1982) was 113,038tons. The average ingredient amount utilized per hectare of areble land in 1982 was 6.6kg. 2) Among mutagenic pesticid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11 kinds of insecticides, 6 kinds of fungicides and 3 kinds of herbicides. The total amount of these mutagenic pesticide used during the past 10 years is as follows: 8,911 tons of insecticides; 2,708tons of fungicides; and 14,087 tons of herbicides. 3) For the regulation and restriction on the use of toxic pesticides, the mutagenecities of ingredient 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4) The three kinds of herbicides and two kinds of growth regulators whose mutagenecity was not mentioned in the literature review, were all found to be negative in the mutagenecity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 PDF

낙동강 수질중 유기물질과 독성 (Organic Compounds in the Nak Dong River and Its Toxicity)

  • 류병호;심종환;최진택;조현철;정종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organic compounds and its toxicity by Ames test and chromosomal aberration in the water of the Nak Dong River. Six sampling sites such as Goryung, Hagueun, Maelie, Duksan, Haedong and Myungiang were selected for these pur15oses. 200 l water samples were absorbed on XAD-2 resin columns (2.5X30cm), eluted with organic solvents mixture of acetone: cyclohexane and then dried under vacuum condition. The extracts from the XAD-2 resin was injected into GC/MS and 184 organic compounds were identified such as aldehydes, aromatic compounds, ketones, phenols, hydrocarbons, alcohols, carboxylic acids, alkanes and some unknowns. The US EPA priority pollutants such as naphthlene, bis(2-ethylhexyl)phthalate and other pollutants, 1,2-diethyl benzene, 1,2,3,4-tetrahydronaphthalene and cyclohexanol were detected in these samples.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pollutants such as 1,2-diethyl benzene, nephthalene, 1,2,3,4-tetrahydronaphthalene, bis(2-ethylhexyl)phthalate and cyclohexanol were ranged into 1.228 $\mu$g/l, 298 $\mu$g/l, 30.191 $\mu$g/l, 1.147 $\mu$g/l and 2.839 $\mu$g/l, respectively. The mutagenic activity of XAD-2 extracts were tested o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TA 100, TA 1535 and TA 1537 and then exhibited strong mutagenic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in the presence of S$_9$. Amon them, bis(2-ethylhexyl)phtalate and 1,2-diethyl benzene showed the most strongest mutagenic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in the presence of S$_9$. On the other hands, chromosomal aberration of XAD-2 extracts in the human blood cells were not occurred by the sampling water at Goryung, Hagueun, Maelie and Duksan, Chromosomal aberration were also not occurred by the each concentration of 0.05, 0.1 amd 0.3 mg/l of each 1,2-diethyl benzol, bis(2-ethylhexyl)phthalate, naphthalene, phenol, cyclohexanol and benzothiazol test solution.

  • PDF

Food Safety of Functional Neoglycoproteins Prepared by Covalent Attachment of Galactomannan to Food Proteins

  • Nakamura, Soichiro;Dokai, Kazumi;Matsuura, Megumi;Hata, Junya;Saeki, Hirok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39-145
    • /
    • 2002
  • Hen egg-white lysozyme, ovalbumin, egg-yolk phosvitin, acid-precipitated soy protein and $\alpha$$_{sl}$ milk casein were covalently linked with galactomannan through a controlled dry-heating at 6$0^{\circ}C$ under 79% relative humidity without any chemical reagent. Neoglycosylation by the covalent binding of polysaccharide chains brough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to the surface functionalities of food proteins. Excellent emulsifying properties and foaming properties were observed in all protein-galactomannan conjugates. Bacterial mutagenesis tests and animal dose test were done to evaluate the food safety of the protein-galactomannan conjugates. The neo-glycoproteins were negative for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hisG46) and TA98 (hisD3052) strains, and rec-assay using Bacillus subtilis Hl7 (rec) and M45 (re $c^{+}$) strains. All substances were also nontoxic for oral administration to rats. L $D_{50}$ 's of these substances were all more than 7.5 g/kg body-weight of rat. No effect was also observed in the weight increases and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s in blood serum of the administrated rats with 7.5 g/kg conjugates. Thus, Maillard-type protein-polysaccharide conjugates prepared by covalent attachment of galactomannan to food proteins were proposed to be useful as a safe functional biopolymer in this study.y.

강황(Curcuma longa L.)으로부터 초임계 유체 추출한 curcumin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Effects of Curcumin Extracted by Supercritical Fluid from Turmeric (Curcuma longa L.))

  • 정승현;장규섭;고경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7-320
    • /
    • 2004
  • Curcumin의 추출효율은 에탄을 추출방법이 가장 높았고, 항산화효과는 에탄올, 초임계, 열수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Ames의 mutagenicity test를 실시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은 돌연변이원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TA98에 직접변이원 2-NF 처리시 초임계 추출물의 저해율이 20.1%로 에탄올과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간접 변이원 2-acetamidofluorene($10\;{\mu}L/plate$; Sigma Co.; 2-AF)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알아본 결과 2-AF로 유도된 TA98은 초임계 추출물을 0.1 mL/plate로 처리시 항돌연변이의 효과는 12.2%였으며, 알코올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경우는 항돌연변이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Nitrite의 분해능의 경우에 있어서도 에탄올 및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초임계 추출물이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pH 1.2에서 가장 높은 분해율을 보였다. 이와 같이 초임계를 이용해 추출한 curcumin은 항산화효과, nitrite 분해능, 항돌연변이효과 등에 대한 생리활성 기능을 보였으며, 기존의 에탄올이나 열수 추출법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더 높은 생리활성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Comparative In Vitro Biological Toxicity of Four Kinds of Air Pollution Particles

  • Shin, Han-Jae;Cho, Hyun Gi;Park, Chang Kyun;Park, Ki Hong;Lim, Heung B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305-313
    • /
    • 2017
  • Accumulating epidemiological evidence indicates that exposure to fine air pollution particles (APPs) is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adverse health effects. However, the exact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toxicities of fine APPs are still not well characterized. We collected four types of fine particle (FP) (diesel exhaust particles [DEPs], natural organic combustion [NOC] ash, synthetic organic combustion [SOC] ash, and yellow sand dust [YSD]) and investigate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n vitro biological toxicity. DEPs were almost entirely composed of ultrafine particles (UFPs), while the NOC, SOC, and YSD particles were a mixture of UFPs and FPs. The main elements in the DEPs, NOC ash, SOC ash, and YSD were black carbon, silicon, black carbon, and silicon, respectively. DEPs exhibited dose-dependent mutagenicity even at a low dose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100 strains in an Ames test for genotoxicity. However, NOC, SOC, and YSD particles did not show any mutagenicity at high doses. The neutral red uptake assay to test cell viability revealed that DEPs showed dose-dependent potent cytotoxicity even at a low concentration. The toxicity of DEP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NOC, SOC, and YSD particles.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 four FPs, DEPs showed the highest in vitro biological toxicity. Additional comprehensive research studies such as chemical analysis and in vivo acute and chronic inhalation toxicity tests are necessary to determine and clarify the effects of this air contaminant on human health.

에폭시화 대두유의 유전독성 연구 (Studies on Genetic Toxicity of Epoxidized Soy Bean Oil)

  • 한의식;정해관;김종원;박미선;엄미옥;강혁준;민수진;오혜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51
    • /
    • 2001
  • 유아 식품중의 병마개 등에 약 30%까지 함유되어 합성수지 및 고무의 가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유럽등지에서 식품으로의 유리가 보고되어 안전성에 대한 재평가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에폭시화 대두유 (Epoxidized soy bean oil, ESBO)의 유전독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포유류 배양세포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체외 염색체이상시험, 설치류의 조혈세포를 이용한 체내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TA102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에서 돌연변이 유발성을 가지지 않는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에서 염색체이상 유발작용을 보이지 않는 음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별, 연령별에 따라서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에폭시화 대두유는 미성숙 적혈구중 유의성 있는 소핵 유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시험조건 중 에폭시화 대두유는 in vitro 시험인 Salmonella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포유동물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및 in vivo 시험인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리방사선 및 자외선의 미생물 돌연변이와 DNA 손상에 대한 영향 (Effects of ionizing and ultraviolet radiation on microbial mutation and DNA damage)

  • 남지현;신지혜;이정윤;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0-28
    • /
    • 2017
  • 감마선, 전자빔 등과 같은 전리방사선과 자외선을 이용하는 물리적 멸균방법은 살균 효과와 경제성이 우수하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미생물의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리방사선 및 자외선의 유전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Salmonella enterica와 Escherichia coli 균주에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을 조사한 후에 생존율, 돌연변이율, DNA 손상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의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 균주의 생존율이 모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90% 이상이 사멸되는 조사선량은 각각 $0.40{\sim}25.06mJ/cm^3$, 0.11~0.22 kGy, 0.14~0.53 kGy 이었다. SOS/umu-test에서는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에 노출된 모든 시료에서 DNA 손상을 유발하는 유전독성이 확인되었다. Ames test에서는 자외선과 감마선에 노출된 후에 복귀 돌연변이율이 각각 $3.82{\times}10^{-4}$, $9.84{\times}10^{-6}$까지 증가하였다. S. enterica TA100의 사멸율이 99.99% 이상 되는 선량의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에서의 복귀 돌연변이율은 각각 자연돌연변이율 대비 347배, 220배, 0.6배 증가하였다. E. coli CSH100 균주를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에 노출시킨뒤에 조사한 리팜피신내성 돌연변이율은 각각 $2.46{\times}10^{-6}$, $1.66{\times}10^{-6}$, $4.12{\times}10^{-7}$ 이었다. 따라서 사멸효과의 관점에서는 감마선 처리가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전자빔은 DNA 손상과 세균돌연변이를 적게 유발하며 사멸효과를 얻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살충성 물질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의 유전독성 평가 (Mutagenecity evaluation of insecticidal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 in short-term bioassays)

  • 이제봉;성하정;정미혜;권오경;이해근;김영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58
    • /
    • 1998
  • 벼멸구에 대해 살충성이 있는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를 신농약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변이원성 시험, 즉 유전자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원성을 TA1535, TA1537,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대사활성화물질(S-9mix)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에 이상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EMEM 배지에서 $LC_{50}$$200{\mu}g/m{\ell}$이었으므로 $200{\mu}g/m{\ell}$을 최고농도로 공비2, 농도4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200과 $100{\mu}g/m{\ell}$에서 이상세포가 나타났으나 양성으로 판정되지는 않았다.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한 소핵시험에서도 음성대조, 양성대조 및 시험물질처리 군에서 PCE 및 MNPCE의 출현율이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어서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소핵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는 미생물, 배양세포 그리고 생체 내에서 유전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inese Hamster Lung Cell의 소핵시험을 이용한 식물추출물 유기농업자재의 유전독성평가 (Genotoxicity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of Plant Origin in the Micronucleus Test Using Chinese Hamster Lung Cells)

  • 조현조;박경훈;정미혜;박수진;오진아;김원일;조남준;류재기;백민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8-143
    • /
    • 2014
  • 님추출물과 고삼추출물은 식물추출물 유기농업자재로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친환경농산물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님추출물 2종과 고삼추출물 2종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Chinese hamster lung cells을 이용한 in vitro 소핵시험(vitMN)을 통해 유전독성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cytochalasin B 적용군과 비적용군으로 구분하여 시험하였으며, 양성대조물질로 mitomycin C와 colchicine을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 님추출물 시료 2종과 고삼추출물 시료 2종은 처리 농도에 따라 소핵발생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모든 시료 처리군에서 전체 발생률이 2.2% 미만으로, 음성대조군 대비 2배 미만의 소핵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님추출물 및 고삼추출물 시료는 본 시험의 vitMN 결과 최종적으로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와 동일한 시료를 이용한 선행연구에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 음성을 보인 결과를 근거로 battery system에 의거해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을 때 님추출물과 고삼추출물 시료는 유전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최종 판정하였다.

삼지구엽초로부터 분리한 Icariin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Isolated Icariin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 김서진;박명수;딩티안;왕준;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97-1403
    • /
    • 2011
  •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기능성 식품학적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우리나라 산야에서 존재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삼지구엽초의 주요성분인 icariin을 분리하여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에탄올로 추출한 삼지구엽초를 극성이 다른 용매인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헥산, 물, 클로로포름 층으로 분리하여, icari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27.9, 2.5, 1.7, 1.4, 1.3 ${\mu}g/g$이었고, icariin 수율이 가장 많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정제한 icariin 수율은 295.5 ${\mu}g/g$이었으며 대부분 에틸아세테이트에서 용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매별 분획물의 항산화효과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49.0 ${\mu}g/mL$로 가장 높았으며, 부탄올(59.2 ${\mu}g/mL$), 헥산(119.8 ${\mu}g/mL$), 물(122.0 ${\mu}g/mL$), 클로로포름(138.5 ${\mu}g/mL$) 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제된 icariin(15.3 ${\mu}g/mL$)은 대조구인 ascorbic acid (19.5 ${\mu}g/mL$), ${\alpha}$-tocopherol(18.2 ${\mu}g/mL$)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삼지구엽초에서 분리한 icariin은 TA98과 TA100세포 모두에서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간면역세포인 B세포와 T세포에서의 면역활성시험을 측정한 결과, icariin은 대조구보다 B세포에서 1.27배, T세포에서 1.28배의 비교적 높은 면역증강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삼지구엽초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