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ternaria mali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Furfural from Pine Needle Extract Inhibits the Growth of a Plant Pathogenic Fungus, Alternaria mali

  • Jung, Kyung-Hwan;Yoo, Sun-Kyun;Moon, Sung-Kwon;Lee, Ung-Soo
    • Mycobiology
    • /
    • 제35권1호
    • /
    • pp.39-43
    • /
    • 2007
  • The antifungal effect of pine needle extract prepared by a distinguishable extraction method and the dry distillation method, was examined. The effect of this extract itself was insignificant. The chemical components of pine needle extract were then investigated by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d four, chemical components, acetol, furfural, 5-methyl furfural, and terpine4-ol, were identified. The antifungal effects of those four chemical components against Alternaria mali (A. mali), an agent of Alternaria blotch of apple, were then examined. It was observed tha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were 6.25, 0.78, 0.78, and 12.5 (mg/ml) of acetol, furfural, 5-methyl furfural, and terpine-4-ol, respectively. MICs of furfural and 5-methyl furfural had the same order of magnitude as that of an antifungal agrochemical, chlorothalonil. Although furfural itself can not be completely substituted for an antifungal agrochemical, a partial mixture of furfural and antifungal agrochemical may be used as a substitute. The use of agrochemicals for the prevention of plant disease caused by pathogenic fungus such as A. mali could be partially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this mixture.

AM-toxin을 이용(利用)한 사과점무늬낙엽병균(Alternaria mali)의 공기중(空氣中) 밀도(密度) 조사(調査) (The Use of AM-toxin in Monitoring the Numbers of Air-borne Spores of Alternaria mali Causing Leaf Spot in Apple Orchards)

  • 유승헌;심형권;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3-275
    • /
    • 1987
  • Changes in the numbers of air-borne spores of Alternaria mali causing the Alternaria leaf spot of apple were investigated in apple orchards, by monitoring their AM- toxin(host-specific toxin) producing ability. Most of the air-borne Alternaria in apple orchards were not AM-toxin producers. In culture, only about 2% of Alternaria isolates from a commercially managed apple orchards produced the toxin that was highly toxic only to susceptible leaves.

  • PDF

모용(毛茸)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과 병원균(病原菌)의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pple Leaf Hair Density on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of Alternaria Leaf Spot Caused by Alternaria mali Roberts)

  • 윤재탁;이준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45-249
    • /
    • 1987
  • 사과품종별(品種別)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과 잎의 모용(毛茸) 발생정도(發生程度)를 조사(調査)하고 사과나무 잎의 부위별(部位別) A. mali의 침입정도(浸入程度)와 모용(毛茸)이 병원균(病原菌)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 mali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사과나무 품종(品種)의 분포(分布)는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1% 이상(以上)되는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을 조사(調査)한 82품종(品種) 중(中) 15개품종(個品種)(18.3%) 이었으며 주요(主要) 품종(品種)은 나리탄, 인도(印度), 왕령(王令), 스라크림숀, 스카이스파, 아오리 3호 등(等)이었고 이병엽율(罹病葉率)이 50% 이하(以下)되는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51개품종(個品種)(62.2%)이었는데 주요품종(主要品種)은 홍옥(紅玉), 무쓰, 모리쓰, 조나골드, 쓰가루, 가라, 골덴, 후지, 스파어리브레이즈 등(等)이었으며, 주요품종(主要品種)들의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보다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에서 많았다. 이병성품종군중(罹病性品種群中)에서 이병엽율(罹病葉率)이 6월(月)에 20%, 이상(以上)되어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와인삽, 아오리 3호, 스카이스파, 왕령(王令) 등(等)과 6월(月)에는 5% 이상(以上) 되었다가 8월(月)에 70% 이상(以上)되는 품종(品種)이 라리단, 스타크림숀, 인도(印度) 등(等)으로 구분(區分)되었다. 품종별(品種別) 잎에 모용발생정도(毛茸發生程度)는 이병성(罹病性) 품종군(品種群)에서 보다 저항성품종군(抵抗性品種群)에서 대체(大體)로 많았고 동일(同一) 품종(品種)잎에서 모용무제거부위(毛茸無除去部位)보다 모용제거부위(毛茸除去部位)에서 감염율(感染率)이 높은 것으로 보아 잎의 모용(毛茸)은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요인(要因)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A. mali의 침입(浸入)과 감염(感染)은 잎의 표면(表面)보다 이면(裏面)에서 용이(容易)하였다.

  • PDF

Alternaria mali Roberts에 의(依)한 Pectin질(質)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생산(生産) (Production of Pectolytic enzymes by Alternaria mali Roberts)

  • 김기홍;이창운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4-69
    • /
    • 1988
  • 사과반점낙엽병균(班點落葉病菌) Alternaria mali의 iprodione 저항성균주중(抵抗性菌株中) 병원성(病原性)이 변화(變化)된 균주( 菌株)를 구하여 pectin질(質) 분해효소(分解酵素)의 활성(活性)과 병원성(病原性)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인공배지(人工培地)에서는 병원성(病原性)이 큰 $S_1$$R_3$균주(菌株)가 병원성(病原性)이 작은 $R_8$균주(菌株)보다 효소활성(酵素活性)이 높았으며 endo-polymethylgalacturonase와 endo-polygal-acturonase의 활성(活性)은 3배 이상이었다. 그러나 pectinmethylesterase와 pectin Iyase의 활성(活性)은 $S_1$균주(菌株)가 $R_3$$R_8$보다 높게 나타났다. 증류수(蒸溜水)로 투석(透析)시킨 사과배지(培地)에서 각 균주(菌株)는 높아진 효소활성(酵素活性)을 보였으나 균의(菌) 생장(生長)은 감소(減少)하였다. 또한 iprodione을 첨가(添加)하므로써 감수성(感受性) 균주(菌株)인 $S_1$의 효소활성(酵素活性)과 균사생장(菌絲生長)은 감소(減少)되었으나, 저항성균수(抵抗性菌洙)중 병원성(病原性)이 큰 $R_3$균주(菌株)는 투석(透析)시킨 사과배지(培地)에서 exo-polygalacturonase를 제외(除外)한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이 증가(增加)되었다.

  • PDF

Alternaria mali에 의한 아로니아 점무늬낙엽병 (Alternaria Leaf Spot Caused by Alternaria mali on Black Chokeberry in Korea)

  • 함수상;권미경;김병련;한광섭;남윤규
    • 식물병연구
    • /
    • 제22권1호
    • /
    • pp.50-54
    • /
    • 2016
  • 2014년 6월 초 충남 예산과 금산의 농가포장에서 재배 중인 아로니아에서 점무늬낙엽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초기에는 잎에 갈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기고 이것이 확대되면서 둥근 겹무늬를 형성하고, 암갈색으로 변하였다. 그리고 병세가 심해지면 잎 전체에 병반이 확대되면서 떨어지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병든 아로니아 잎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PDA에 배양하였을 때 균체는 올리브 회색과 진한 회색으로 다양한 색을 나타내었다. 포장에서 감염된 잎과 PDA에서 분리한 분생포자의 크기는 각각 $19-50{\times}5-9{\mu}m$, $20-59{\times}8-13{\mu}m$이고, 길거나 짧은 부리를 가지며, 분생자경의 끝에 1-3개의 분생포자가 형성되었으며, 3-8개의 횡경막을 보이고 종경막은 없거나 1-3번째 횡경막 내에 1개 형성되었다. 병원성 검정 결과, 접종 7일 후 아로니아와 사과 모두에서 자연발생한 병징과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이상 병원균의 형태적 특성, 병원성 검정과 ITS rDNA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아로니아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A. mali로 동정하였고, 이 병을 아로니아 점무늬낙엽병으로 명명하였다.

Iprodione에 대한 Alternaria mali Roberts의 저항성 (Resistance of Alternaria mali Roberts to Iprodione)

  • 김기홍;이창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70-276
    • /
    • 1987
  • 울산지방의 농가과수원 사과나무 나병엽에서 분리한 Alternaria mail Roberts의 iprodione 저항성균주의 EC50은 $550\~1,310{\mu}g/ml$였다. 포자발아율은 iprodione $500{\mu}g/ml$를 가한 PSA에서 $70\%$였다. 저항성균주를 접종한 사과에 동약제 $500{\mu}g/ml$ 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7일후 병반직경이 1.6-14.6mm였으나 감수성균주는 0mm였다. Benomyl, Chlorothalonil, garbenda, thiophanatemethyl 및 triademefon에 대해서는 이들 저항성균주가 감수성균주와 비슷한 경향의 반응을 보였으나 저항성균주 $R_3$는 밤수성균주에 효과적인 captan과 folpet이 대하여 교착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Ca물질(物質)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 발생(發生) 및 병원균(病原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alcium on the Apple Varieties Resistance to Alternaria Leaf Spot and Mycelial Growth of Alternaria mali Roberts)

  • 윤재탁;이준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9-244
    • /
    • 1987
  • 사과 잎속의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이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발병(發病)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에 대(對)한 Ca 화합물(化合物)의 균사생육억제(菌絲生育抑制) 효과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이병정도(罹病程度)에 따른 품종별(品種別) 피해엽율(被害葉率)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이 84.8%,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이 8.1%,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이 0.5%이었고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품종별(品種別) 발병율(發病率)과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관계(關係)에서 CaO 함량(含量)은 이병성품종(罹病性品種)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많았으며 7, 8월(月)의 발병율(發病率) 및 엽당병반수(葉當病斑數)와 상관계수(相關係數)(r)가 각각(各各) -0.551, -0.585, -0.485로 유의성(有意性)이 있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어 Ca가 사과나무 반점낙엽병(斑點落葉病)의 저항성(抵抗性)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으나 T-N, $P_2O_5,\;K_2O,\;MgO,\;Na_2O$는 품종간(品種間)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사과나무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은 배지(培地)의 pH가 $11{\sim}13$ 정도(程度)에서도 생육(生育)이 가능(可能)하였으며 CaO는 균사생육(菌絲生育) 저지(沮止) 효과가 있었다.

  • PDF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pple Diseases in Korea from 1992 to 2000

  • Lee, Dong-Hyuk;Lee, Soon-Won;Choi, Kyung-Hee;Kim, Dong-A;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75-380
    • /
    • 2006
  • In the survey from 1992 to 2000, twenty-eight parasitic diseases were observed in major apple producing areas in Korea. The predominant apple diseases were white rot(Botryosphaeria dothidea), Marssonina blotch(Marssonina mali), Valsa canker(Valsa ceratosperma), Alternaria leaf spot(Alternaria mali), and bitter rot(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Apple scab that reappeared in 1990 after disappearance for 15 years was disappeared again since 1997. A viroid disease(caused by apple scar skin viroid) was newly found in this survey. The five diseases, fire blight(Erwinia amylovora), black rot(Botryosphaeria obtusa), scab(Cladosporium carpophilum), Monochaetia twig blight(Monochaetia sp.), and brown leaf spot(Hendersonia mali), which had once described in 1928 but no further reports on their occurrence, were not found in this survey. However, blossom blight(Monilinia mali), brown rot(Monilinia fructigena), and pink rot(Trichothecium roseum), which did not occur on apple after mid 1970s, were found in this survey.

사과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의 각종(各種) 살균제(殺菌劑)에 대한 교차내성(交差耐性) (Cross-tolerance of Alternaria mali to Various Fungicides)

  • 이창은;김기홍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78
    • /
    • 1986
  • 사과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 Alternaria mali의 단포자분리(單胞子分離) 1,200균주(菌株)는 captafol, chlorothalonil 및 folpet 100,000 ${\mu}g/ml$에서 각각 76, 96, 및 15% 그리고 iprodione및 polyoxin 10,000 ${\mu}g/ml$에서 5 및 3%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다. 이들 내균성(耐菌性)은 상기(上記) 살균제간(殺菌劑間) 그리고 captan, garbenda, 및 thiophanate methyl에 대하여서도 균사생장(菌絲生長) 교차내성(交差耐性) 또는 포자형성(胞子形成) 교차내성(交差耐性)이 높았다. captafol, mancozeb, polydong 및 propineb는 농가사용권장농도 이하(以下)인 100 ${\mu}g/ml$에서도 포자발아(胞子發芽)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거의 완전하여 포자발아(胞子發芽) 교차내성(交差耐性)을 보이지 않았다. benomyl, fenarimol, oxidong, 및 triademefon을 중도(中度)의 균사생장(菌絲生長), 포자형성(胞子形成) 또는 포자발아(胞子發芽) 교차내성(交差耐性)을 보였다.

  • PDF

기주특이적 독소를 생성하는 Alternaria 병원균군의 RAPD 분석 (RAPD Analysis of Host-specific Toxin (HST) Producing Alternaria species)

  • 김병련;강희완;유승헌;이등정부;갑원철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2-98
    • /
    • 1998
  • RAPD analysis was performed from four host-specific toxin (HST) producing Alternaria, i.e., A. kikuchiana, A. mali, a. longipes and A. Longipes and A. alternata f. sp. lycopersici, nonpathogenic A. alternata and A. brassicicola to assess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 DNA polymorphism was detected among species (pathotypes) of HST producing Alternaria by PCR ampl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species was recognized by RAPD analysis. Primer OPA-02 was the most profitable among 7 notificated primers for differentiation of the HST producing Alternaria species. UPGMA analysis of the RAPD bands from alternaria spp. revealed that HST producing Alternaria and nonpathogenic a. alternata are closely rel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