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ternaria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3초

Dravya-A Putative Organic Treatment Against Alternaria padwickii Infection in Paddy

  • Sathyanarayana S. G;Lokesh S.;Vasanth Kumar T.;Shetty H. S.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90-93
    • /
    • 2006
  • Innate defence mechanism in plants can be triggered and enhanced by certain agents, referred as inducers against broad range of pathogens. In the present study, Dravya (a sea weed extract) was highly compatible with commonly available synthetic fungicides, Bavistin and Dithane M-45. Incidence of Alternaria padwickii and Bipolaris oryzae was also reduced to a greater extent in the paddy seed samples in Dravya treatment. Dravya also enhanced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ur. Seedlings of treated samples also showed enhanced activity of peroxidase upon challenge inoculation with Alternaria padwickii. The enzyme activity was two fold high after the inoculation of pathogen. The suppression in disease incidence in growing plants indicated the promising effect of Dravya and Dithane M-45 under green-house condition.

Morphology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Fungus from the Alternaria alternata Species Complex Causing Black Spots on Pyrus sinkiangensis (Koerle pear)

  • Aung, Sein Lai Lai;Liu, Hai Feng;Pei, Dong Fang;Lu, Bing Bin;Oo, May Moe;Deng, Jian Xin
    • Mycobiology
    • /
    • 제48권3호
    • /
    • pp.233-239
    • /
    • 2020
  • A small-spored Alternaria was found from black spots of storaged Koerle pear (Pyrus sinkiangensis), one of the economically important fruit in Xinjiang province, China. The morphology is similar to A. limoniasperae but obviously different in secondary conidiophores and conidial septa. A phylogenetic analysis using sequence datasets of ITS, GAPDH, TEF1, RPB2, Alt a1, OPA10-2, and EndoPG genes revealed that it belonged to the Alternaria alternata complex group. Pathogenicity tests illustrated that the fungus was the causal pathogen of black spot on Koerle pear fruit.

Helicosporium sp.의 항균활성 및 항균물질의 분석

  • 주우홍;배기정;이상명;최승태;정영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15-218
    • /
    • 2002
  • 식물병원균에 대한 Helicosporium 의 항균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식물병원균인 Rhizoctonia solani, Rhizoctonia solani AG2-2, Fusarium oxysporium, Phytophthora dreschler, Alternaria 속을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항균작용을 검토한 결과, Rhizoctonia solani, Rhizoctonia solani AG2-2 에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lternaria에는 미약한 항균활성을 가졌으며 Fusarium oxysporium, Phytophthora dreschler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항균물질의 구조를 $^1H-NMR$ 스펙트럼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은 콜레스테롤 에 해당하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Pathogenicity of Alternaria vanuatuensis, a New Record from Allium Plants in Korea and China

  • Li, Mei Jia;Deng, Jian Xin;Paul, Narayan Chandra;Lee, Hyang Burm;Yu, Seung Hun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12-415
    • /
    • 2014
  • Alternaria from different Allium plants was characterized by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Based on sequences of the ${\beta}$-tubulin (BT2b), the Alternaria allergen a1 (Alt a1), and the RNA polymerase II second largest subunit (RPB2) genes and phylogenetic data analysis, isolat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wo groups were identical to representative isolates of A. porri (EGS48-147) and A. vanuatuensis (EGS45-018). The conidi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A. vanuatuensis also well supported the molecular characteristic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A. vanuatuensis E. G. Simmons & C. F. Hill from Korea and China.

살균제 감량을 위한 인삼 점무늬병 방제체계의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ntrolling Ginseng Alternaria Leaf Blight (Alternaria panax) to Reduce Fungicide Application and Use)

  • 리상국;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17-22
    • /
    • 2009
  • 본 연구는 미생물제의 이용에 의한 농약잔류 및 안정성문제 확보, 농약 살포량 및 살포횟수를 줄이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생물제와 살균제를 2회씩 14일 간격으로 교호 살포한 처리구에서 인삼 점무늬병 방제가는 68.34%$\sim$73.56%이 었고, 살균제를 교호 살포한 처리구에서 방제가는 87.00%$\sim$89.42%이었다. 미생물제와 살균제를 28일 간격으로 3회 혼합 교호 살포한 처리구에서는 2종류의 처리구(Com-12, Com-17)를 제외하고는 방제가가 74.53%$\sim$87.23%로 조합에 따라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과 같이 미생물제와 살균제를 교호 또는 혼합 교호 처리하면 75.00%$\sim$83.33%의 농약 감량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배나무 검은무늬병균(Alternaria kikuchiana Tanaka)에 병원성분화와 저항성품종의 이병화 (Differentiation in Pathogenicity of Alternaria kikuchiana Tanaka, Black Spot Fungus of Pear, and Conversion of Resistant Varieties into Susceptible ones)

  • 기운계;박서기;조백호;김기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4
    • /
    • 1984
  • 전남 나주지방에서 만연하고 있는 검은무늬 병 유사증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균은 Alternaria kikuchiana Tanaka로 동정되었다. 2. 5월 하순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6월 하순$\~$7월상순에 가장 심하였고 9월 상순에 다시 증가하였다. 3. 이병은 조사품종들의 성엽에 발생하였으나 20세기에서만 유엽에 많이 발생하였다. 5. 이 병은 나주시험장에 있는 거의 모든 품종에 발병하였는데 종래 저항성품종으로 알려진 신흥, 만3길등은 가장 심한 발병을 보였고 이병성품종으로 알려진 조옥, 박다청등은 약간 발병하거나, 전혀 발병하지 않았다. 6.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검은무늬병균에 병원성의 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십자화과(十字花科) 채소(菜蔬) 검은무늬병균(病菌)(Alternaria spp.)의 종자전염(種子傳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eed Transmission of Alternaria spp. in Three Cruciferous Vegetable Crops)

  • 강여규;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1-198
    • /
    • 1985
  • 종묘상(種苗商)에서 시판중(市販中)인 무우 종자(種子) 38개(個) 시료(試料), 배추 종자(種子) 20개(個) 시료(試料), 양배추종자(種子) 3개(個) 시료(試料) 등(等) 모두 61개(個) 시료(試料)의 십자화두(十子花枓) 채소종자(菜蔬種子)를 수집(蒐集)하여 Alternaria spp.를 검출(檢出)하고 종자(種子)에서의 감염상태(感染狀態) 및 병원성(病原性)을 조사(調査)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종자(種子) 시료(試料)에서 Alternaria spp.를 검출(檢出)한 결과(結果) 20개(個) 시료중(試料中) A. raphani는 7개(個) 시료(試料)에서 평균(平均) 3.8%, A. brassicicola는 6개(個)의 시료(試料)에서 평균(平均) 1.8%, A. brassicae는 1개(個) 시료(試料)에서 0.5%가 검출(檢出)되었다. 2. 무우 38개(個) 시료(試料)의 종자(種子) 중(中)에서는 A. raphani 균(菌)이 11개(個) 시료(試料)에서 7.2%, A. brassicae는 2개(個) 시료(試料)에서 1.0%가 검출(檢出)되었다. 3. 양배추종자(種子)는 공시(供試)한 3개(個) 시료(試料)의 종자(種子)에서 A. brassicicola가 21.8% 검출(檢出)되었다. 4. 종자(種子)의 감염(感染)된 Alternaria spp.는 대부분 종피(種皮)에 존재(存在)하여 발아(發芽)를 저해(沮害)하거나 유묘(幼苗) 감염(感染)을 일으켰으며 A. brassicicola는 무, 배추, 양배추종자(種子)의 배(胚)에서 A. raphani는 무우종자(種子)의 배(胚)에서 검출(檢出)되었다. 5.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된 A. brassicae, A. brassicicola, A. raphani를 배추, 무우, 양배추에 접종(接種)한 결과 유엽(幼葉)보다는 노숙엽(老熟葉)에서 흑색(黑色)의 작은 반점(斑點)이 나타나고 점차(漸次) 회색(灰色) 및 담갈색(淡褐色)의 둥근 병반(病斑)을 형성(形成)하고 병반주위(病斑周圍)가 황변(黃變)되면서 엽고(葉枯)를 일으키고 부정형(不定形)으로 확대(擴大)되어 고사(枯死)하였다.

  • PDF

사과저장병의 발생 및 방제 (Occurrence and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 of apple)

  • 김용기;김령희;류재당;류재기;이상엽;최용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3-89
    • /
    • 1998
  • 사과 주산단지로부터 1995년부터 1997년까지 3개년에 걸쳐 저장시 부패를 일으키는 병 피해를 조사하고 분리된 병원균의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Alternaria spp., Botryosphaeria dothidea, Botrytis cinerea, Fusarium spp., and Penicillium spp. 등 10종의 진균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Botrytis cinerea, Penicillium spp. 및 Fusarium은 분리빈도도 높았고 병원성도 높았다. 균사생장에 있어서 Penicillium spp.은 $10{\sim}30^{\circ}C$에서, Botrytis cinerea 및 Alternaria spp.는 $5{\sim}30^{\circ}C$의 범위에서 잘 되었다. Penicillium spp.와 Alternaria spp.는 pH와 관련없이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Botrytis cinerea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생장이 감소되었다. 포자 형성에 있어서는 Penicillium spp.는 $15{\sim}25^{\circ}C$, Botrytis cinerea는 $10{\sim}20^{\circ}C$에서 양호하였다. 사과선과가 저장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선과를 소홀히 할 경우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기중 건전과일을 채취하여 과피서식미생물을 조사한 결과 저장병에 관여하는 대부분의 진균이 분리된 점으로 보아 저장병균은 포장에서 오염되어 저장기간 중에 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사과저장병해를 줄이기 위하여 프로라츠 유제등 사과병해방제용 약제를 수확전 30일에 살포한 결과 저장병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 PDF

당근검은잎마름병균 Alternaria dauci에 대한 살균제 효과 검정 및 병원균 집단에 대한 저항성 검정 (Detection of Fungicidal Activities against Alternaria dauci Causing Alternaria Leaf Spot in Carrot and Monitoring for the Fungicide Resistance)

  • 도지원;민지영;김용수;박용;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71
    • /
    • 2020
  • 당근검은잎마름병균인 Alternaria dauci KACC42997에 대해서 32개 살균제를 선발하여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2'군, '다5'군, '사1'군, '마2'군, '마3'군에 속하는 살균제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Iminoctadine tris-albesilate를 제외한 '카'군에 속하는 보호살균제와 '다3'군에 속하는 pyraclostrobin은 병원균의 포자발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했던 숙신산탈수소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다2'군과 탈메틸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사1'군 살균제는 우수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여주면서도,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저조하였다. 하지만 '다5'군에 속하는 fluazinam은 균사생장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포자발아 억제효과도 우수하였다. 특별히 '다2'군에 속하는 fluxapyroxad를 100 ㎍/ml 처리한 경우, 배지 상에서 포자형성을 47.1% 억제하였다. 구미, 평창, 제주 등에서 분리한 검은잎마름병균 집단의 '사'군, '다'군, '마'군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요인값을 비교하면, 제주 지역 병원균 집단의 저항성 요인값이 가장 낮았다. 평창 지역 균주 집단에서 '마2'군에 속하는 fludioxonil 저항성 균주가 2개 발견되었으며, 그들은 모두 iprodione과 procymidone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