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ine grassland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고산지대초지의 사향지별 및 표고별 차이에 따른 수량과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 김동암;김희경;권찬호;조무환;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6-243
    • /
    • 1991
  • 고산지대에서 사향지(남향 및 북향) 및 표고별(800m, 1,000m 및 1,200m)에 따른 초지의 사초 건물수량, 품질 및 직생비율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의 목초생육기간중에 시험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산지대 초지의 사초 총 건물수량은 사향지 및 표고에 따른 영향을 받았고 표고 1,000m에서 남향 및 북향초지의 평균 사초 수량은 ha당 9,301kg이었으며, 표고 800m에서는 10,274kg로 초지의 생산성은 표고가 200m 높아짐에 따라 9.5%가 낮아졌다. 2. 표고 800m 및 1,000m에서 사초의 평균 수량은 남향초지가 북향초지보다 21.5% 높았다. 3. 남향 및 북향초지에서 생산되는 사초의 조단백질함량은 표고가 800m에서 가장 낮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고 조섬유함량은 이와는 상반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4. 북향초지에서 생산되는 사초의 조단백질함량은 같은 표고의 남향초지에서 생산된 사초의 조단백질함량보다 높았으나 조섬유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5.표고 800m에서의 남향 및 북향지의 주된 초종은 orchardgrass 및 timothy였으나 표고 1,000m 및 1,200m에서는 timothy가 우점초종이 되었으며 고산지대에서 표고가 1,200m 될 때까지는 timothy의 생육이 좋았다. 고산지대 초지에서 orchardgrass에 대한 경제적인 생산한계 표고는 약 800m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6. 고산지대의 초지에서 사향지 및 표고별에 따론 토양의 특성차리는 발견할 수가 없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본 시험조사가 수행된 초지에 대한 시험전 목장으로부터의 비배관리의 영향때문인 것으로 보여졌다.

  • PDF

In Sacco Ruminal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nents in Fresh Zoysia japonica and Miscanthus sinensis Growing in Japanese Native Pasture

  • Ogura, S.;Kosako, T.;Hayashi, Y.;Dohi,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41-47
    • /
    • 2001
  • Ruminal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dry matter (D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crude protein (CP) in fresh leaves of two Japanese native grasses (Zoysia japonica and Miscanthus sinensis) and one sown temperate grass (Dactylis glomerata) were investigated by an in sacco method in spring (mid-May), summer (mid-July) and autumn (mid-September). Japanese native grasses had higher NDF and lower CP concentrations than D. glomerata, and the CP concentration in native grasses decreased in autumn. Ruminal degradability of DM, NDF and CP was lower in native grasses than in D. glomerata (p<0.05) in all seasons. DM and NDF degradability decreased in summer for Z. japonica and D. glomerata, while it decreased in autumn for M. sinensis. CP degradability in Z. japonica was constant throughout the seasons, whereas that in M. sinensis greatly decreased in summer and autumn (p<0.05). It was concluded that Z. japonica could stably supply ruminally digestible nutrients for grazing animals in Japanese native pasture. However,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freshly chopped native grasses did not fit the exponential model of $D=a+b(1-e^{-ct})$ proposed by Ørskov and McDonald.

Spatial Distribution of Urination by Cattle in a Daytime Grazing System

  • Hirata, M.;Higashiyam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5호
    • /
    • pp.484-490
    • /
    • 1997
  • Spatial distribution of urination by Japanese Black heifers and steer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f defecation. The animals grazed a bahiagrass (Paspalum notatum $Fl\ddot{u}gge$) pasture in the daytime, and spent the rest of the day in a barn. The distribution of urination to the pasture was greater than that expected from the proportion of time that the animals spent in the pasture. Correspondingly, the distribution was smaller in the barn. Such a distribution pattern of urination to the pasture and barn was similar to that of defecation, and affected by the intake of supplement on the previous day. The distribution of urination within the pasture, i.e. the distribution to the paddock, alley and resting area, was often uneven on an area basis. The animals often urinated sparsely in the alley and resting area, while they urinated in the paddock almost proportionally to its area. This was a clear contrast to the distribution pattern of defecation, which was sparse in the paddock and dense in the resting area. The degree of aggregation of urination in the paddock, alley and resting area varied with the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intake of supplement.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구성 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Typ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Yield in Alpine Pasture)

  • 성경일;이준우;정종원;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9-266
    • /
    • 2005
  • 본 연구는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초지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지역에 맞는 방목용 혼파조합을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대관령의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1990년 8월부터 1993년까지 3년간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해발 840m에 위치한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목초의 혼파조합 및 파종량(kg/ha)은 관행혼파조합으로 대조구인 C구 : OG+TF+TI+KBG+LC (18:9:8:3:2), T1구 : OG+TF+KBG+LC (24:8:2:2), T2구: OG+TF+KBG+RC(24:8:2:2), T3구: OG+TI+KBG+LC (26:8:2:2), T4구 : OG +TF+KBG+LC (8:28:2:2), T5구: OG+TI+KBG+LC (8:24:2:2) 및 T6구: OG+RCG+KBG+LC (8:26:2:2)의 7개 처리로 하였다. 목초 파종 후 초종별로 정착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복율이 점차 높아져 목초비율은 증가하고 잡초 및 나지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생구성은 TI, OG, KBG 및 LC가 균형적인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잡초와 나지율이 낮은 T5구가 대관령지역에 적합한 혼파조합으로 나타났다. 방목이 경과됨에 따라 목초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차별로는 1993년의 T5구에서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처리간에 건물수량도 유의차는 없었지만 T5구에서 9,344kg/ha로 가장 많았다. 이상에서 산지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으로 적합한 것은 식생구성비율 및 건물수량 면에서 티머시 위주의 T5 (OG:TI:KBG:LC=8:24:2:2kg/ha)인 것으로 사료된다.

고랭지에서 화이트 클로버의 품종별 수량성과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ies of White Clover(Trifolium repens) Varieties at the Alpine Areas)

  • 이종경;정종원;김종근;윤세형;백봉현;나기준;이성철;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5-120
    • /
    • 2003
  • 본 시험은 화이트클로버 California Ladino(대조품종), Seminole, Sonja, Milo, Rinendel, Alberta 및 Sona 7품종을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표고 800m)와 남원지소(표고 450m)에서 각각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화이트 클로버의 엽색은 대조품종 Ladino와 Seminole을 제외하고 모두 연녹색이었고 엽폭도 대형이었다. 내한성은 대조품종인 Ladino 보다 좋은 품종은 Seminole로서 85.2%였다. 화이트 클로버 품종의 건물수량은 대관령에서 대조품종 Ladino보다 많은 Milo와 Rinendel이 남원에서는 대조품종인 Ladino 품종이 우수하였다. 대관령에서 화이트클로버의 품종별 사료가치중 ADF 함량은 대관령과 남원에서 Ladino가 각각 24.3과 23.6%로 가장 낮았고 NDF 함량은 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Sonja, Ladino 및 Rinendel이 낮은 편에 속하였다. 화이트클로버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관령지역에서는 Seminole이 가장 높았으며 남원지역에서는 Rinendel이 가장 높았다. 화이트클로버의 조단백질 생산량을 보면 대관령지역에서는 Milo가 가장 높았고 남원지역에서는 Ladino가 가장 높았다. 이상으로 화이트클로버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로 미루어 볼때 대관령지역에서는 Milo와 Rinendel이, 남원지역에서는 Ladino와 Seminole이 유망한 품종으로 여겨진다.

Effect of Cutting Height on Productivity and Forage Quality of Alfalfa in Alpine Area of Korea

  • Kim, Hak Jin;Li, Yan Fen;Jeong, Eun Chan;Ahmadi, Farhad;Kim, Jong Ge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47-154
    • /
    • 2021
  • Cutting management has been identifi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alfalfa production systems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maximizing yield and maintaining the forage quality.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proper cutting height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for optimizing nutrient yield and forage nutritive quality of alfalfa grown in alpine regions of Korea. Alfalfa was sown at a seeding rate of 30 kg/ha in August 2018 and harvested at four cuttings in 2019 (3 May, 2 July, 11 September, and 13 October). Cutting heights were adjusted at 5, 15, and 25 cm above the soil surface. Alfalfa plant was tallest at the third cutting (109 cm), which was on average 35 cm taller than the first or second cutting. Relative feed value (RFV) remained unaffected by cutting height at the first harvest, but increased consistently in subsequent harvests as cutting height increased. Alfalfa collected at the first and fourth cuttings had the highest RFV (mean 152), which was on average 8 and 67 units higher than the second and third harvests, respectively. At each harvest,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highest in alfalfa cut at a 25-cm height. Dry matter (DM) production at each cutting height was highest in the first cutting, accounting for on average 36-37% of total annual DM production, and lowest in the fourth harvest, accounting for about 11-13% of the total DM yield. The total dry matter production (in four harvests) was 4,218 kg/ha higher when alfalfa was subjected to a cutting height of 5 cm rather than 25 cm. Cutting height had no effect on total crude protein yield, but from the first to fourth cutting, the protein yield followed a decreasing trend. Finally, there were visible declines in forage nutritive quality when alfalfa was cut at a shorter height. However, the magnitude of difference in total forage yield may outweigh the slight decline in forage quality when alfalfa is cut at a lower heigh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help the alfalfa growers make better harvest management decisions.

제경법에 의한 산지초지개량에 관한 연구 I. 초지조성시가 목초의 정착과 잔존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Hill Pasture Improvement by Hoof Cultivation I. Effect of sowing time on establishment, survival and dry matter yield of pasture species)

  • 이효원;김동암;신재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9-123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제경법(蹄耕法)을 이용(利用)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를 조성(造成)할때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목초(牧草)의, 잔존(殘存), 건물생산(乾物生産) 및 이용률(利用率)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2{\sim}'84$년에 걸쳐 고령지시험장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초(牧草)의 정착율(定着率)은 화본과의 경우 4월(月) 15일(日), 5월(月) 15일(日), 8월(月) 1일(日), 8월(月) 30일(日) 파종구에서 각각 11.1, 9.8, 12.4 및 3.1%를 나타내어 8월(月) 30일(日) 파종구(播種區)를 제외하면 10% 내외(內外)의 정착율을 나타내었으며, 한편 두과의 정착율은 춘파구(春播區)에서 30% 내외(內外)로 추파(秋播)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2 파종(播種) 2년차(年次)의 목초식생비율은 $66{\sim}80%$를 나타내었고 또 조성초기의 정착(定着) 및 잔존(殘存)의 차이에 관계없이 파종(播種) 3년차(年次)는 처리간(處理間)에 건물생산(乾物生産)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경법(蹄耕法)에 의한 초지조성시(草地造成時) 적절한 시비(施肥) 및 관리방목(管理放牧)의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3. 파종(播種) 2년차(年次) 시험구(試驗區)의 사초이용율(飼草利用率)은 $45{\sim}53%$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Feeding Strategies on Milk Production of Holstein Dairy Cows Managed by Small-Farmers Alpine Grassland in Korea

  • Kim, Tae-Il;Mayakrishnan, Vijayakumar;Lim, Dong-Hyun;Park, Seong-Min;Park, Ji-Hoo;Kim, Sang-Bum;Jung, Jeong-Sung;Ki, Kwang-Seo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5-169
    • /
    • 201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wo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body weight, milk yield, milk composition, and mineral and fatty acids content of Holstein dairy cows' milk. Sixteen of 25 months-old Holstein dairy cow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n=8) to study effects of the feeding system for 150 days. Two feeding systems were compared for five months; Group 1 was housed indoors and mainly fed a concentrate diet, Group 2 was maintained outdoors for five-seven hours/day on various kinds grass in a pastu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June-October 2017. Results revealed the indoor-fed cows had higher body weight, that was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outdoor-based feeding system of Holstein dairy cows (p<0.05). Indoor-raised milking cows had higher milk yield (32.45 kg) as compared with pasture-raised milk yield (26.44 kg). Cows fed indoors significantly increased milk yield, total protein content, lactose, citric acid level, and lowered level of total solid and free fatty acids relative to the pasture-fed milking cows (p>0.05). There were higher levels of mineral content and fatty acid content in the milk of indoor-fed dairy cows than the pasture-raised dairy cows (p>0.05). Our study results demonstrated the potential benefits of the indoor feeding system for increased body weight, milk yield, mineral and fatty acids content summer through autumn when low pasture growth rates and quality may otherwise limit production.

표고별 파종시기가 서로다른 두과 - 화본과 혼파초지에서 두과목초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Season on the Growth and Dry Matter Yield Legumes in Different Legume-Grass Mixtures according to Altitude)

  • 정의수;김현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3-160
    • /
    • 1992
  • 본 시험은 고령지 두과목초의 적응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표고가 다른 3개지역(600,800,1000m a.s.l)에서 주구를 파종시기(추파.추파), 세구를 혼파조명(알팔파-화본과, 레드크로바-화본과, 화이트크로바-화본과)으로 두고 분할구 배치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1.600m에서 두과목초의 적응성을 보면 알팔파, 레드클러버 및 화이트클로버 공히 추파를 했을 때 연차간 악화없이 약 30%를 유지하여 적응성이 매우 양호하였다.2. 800m에서는 화치트클로버를 춘파하므로써 연차간에 심한 감소없이 최종 예취시 약 14.0%를 점유하고 있었으며 또한 10a당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다. 3. 1000m에서도 800m와 비슷한 경향으로 화이트클로버를 춘파했을 경우 어느정도 적응이 가능하였다. 4. 표고별 두과목초의 비솔 및 수량이 표고가 증가 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알팔파는 800m 이상에서는 생육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 PDF

화본과 목초에서 방목체계별 한우육성빈우의 방목습성 및 생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azing Behavior and animal Production of Korean Native Cow in Different Grazing System at Grasses Dominant Pasture)

  • 이효원;신재순;신언익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3-139
    • /
    • 1983
  • 대관령지역에서 달리함에 따른 韓牛育咸牛의 放牧習性과 生産性을 규명하기 爲하여 Wye大學區, 輪換, 固定, 修正固定, 刈取給與區의 處理를 하였다. 供試面積은 5ha, 공시두수는 육성빈우 20두였으며 放牧習性을 調査하기 爲하여 아침 5:00시부터 20:00시 까지 每 2.5분(2분 30초) 마다 調査하여 얻어진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ha당 증체량에 있어서 Wye大學區와 輪換區가 바른 처리구보다 많았으나 山地草地放牧方法으로서 實在로 運用하는데는 윤환구나 修正固定區가 좋았으며 특히 修正固定放牧은 윤환구의 대안으로 추천할 만한 것이었다. 2. 日當增體量은 5월에 가장 높았고 7월에 가장 낮았으며 그후는 차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晝間의 採食時間은 331.1분으로부터 576.0분으로 다양한 結果를 보였고 이것은 放牧體系에의하여 보다도 秊節, 牧草量의 多少, 그리고 기상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4. 한우는 1일 일출 후, 정오 그리고 오후 3時의 3번의 주 채식행동을 갖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