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Mixture Typ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Yield in Alpine Pasture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구성 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 Sung Kyung Il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 ;
  • Lee Jun Woo (College of Animal Resourc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 ;
  • Jung Jong W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 Lee Joung Kyong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ich mixture types are suitable for maintaining grazing pasture at alpine area. The mixtures types were evaluated by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M) of forag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he grazing pasture at Daekwanryeong area (altitude ; 840m) from 1991 to 1993. Treatments were composed of seven mixture types made of both different components and amounts of sowing. The components of each mixture were Orchardgrass (OG), Tall fescue (TF), Timothy (TI). Kentucky bluegrass (KBG), Reed cannarygrass (RCG), Red clover (RC) and Ladino clove. (LC). The seeding .ate of OG, TF, TI, KBG and LC in control(C) was 18:9:8:3:2 kg/ha, respectively and those of treatments of T1 (OG:TF:KBG:LC), T2 (OG:TF:KBG:RC), T3 (OG:TI:KBG:LC), T4 (OG:TF:KBG:LC), T5 (OG:TI:KBG:LC) and T6 (OG:RCG:KBG:LC) were 24:8:2:2, 24:8:2:2, 26:8:2:2, 8:28:2:2, 5:24:2:2 and 8:26:2:2 kg/ha, in seeding rate. respectively. The plant heights of mixtures in 1991, 1992 and 1993 were 33, 37, and 33 cm on average of before and after grazing, respectively. The 12cm of stubble height was left after grazing during 3 years which can result in the reduction of forage intake and utiliz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e grazing period will be needed to adjust. The proportions of TI, OG, KBG and LC in mixtures were increased constantly, and the proportions of weeds and bare lands were little. The T5, in which the smaller amounts of seeds were sown, is considered as proper mixture type for Alpine pasture. The DM yield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d grazing period, and the highest DM yield was occurred in 1993.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was observed for the DM yield, however the 75 was highest (9,344 kg/ha) in the DM yields which is $5.7\%$ greater than the C (8,840 kg/ha). This result indicates that T5 (OG:TI:KBG:LC : 8:24:2:2 kg/ha) is considered to be proper mixture type at alpine pasture considering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yield.

본 연구는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초지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지역에 맞는 방목용 혼파조합을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대관령의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1990년 8월부터 1993년까지 3년간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해발 840m에 위치한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목초의 혼파조합 및 파종량(kg/ha)은 관행혼파조합으로 대조구인 C구 : OG+TF+TI+KBG+LC (18:9:8:3:2), T1구 : OG+TF+KBG+LC (24:8:2:2), T2구: OG+TF+KBG+RC(24:8:2:2), T3구: OG+TI+KBG+LC (26:8:2:2), T4구 : OG +TF+KBG+LC (8:28:2:2), T5구: OG+TI+KBG+LC (8:24:2:2) 및 T6구: OG+RCG+KBG+LC (8:26:2:2)의 7개 처리로 하였다. 목초 파종 후 초종별로 정착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복율이 점차 높아져 목초비율은 증가하고 잡초 및 나지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생구성은 TI, OG, KBG 및 LC가 균형적인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잡초와 나지율이 낮은 T5구가 대관령지역에 적합한 혼파조합으로 나타났다. 방목이 경과됨에 따라 목초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차별로는 1993년의 T5구에서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처리간에 건물수량도 유의차는 없었지만 T5구에서 9,344kg/ha로 가장 많았다. 이상에서 산지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으로 적합한 것은 식생구성비율 및 건물수량 면에서 티머시 위주의 T5 (OG:TI:KBG:LC=8:24:2:2kg/ha)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철, 정창조, 김주익, 장덕지, 김중규. 1997. 혼파초지에서 Tall Fescue와 두과목초 조합에 따른 가축생산성과 질병 비교연구. II. 목초의 생산성, 사료가치, 식생구성비율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초지. 17(2):157-166
  2. 김현섭, 정연후, 이종열 1991. 고령지에 적합한 예취용 혼파조합 선발에 관한 연구. 1. 표고가 서로 다른 7개 혼파조합의 식생구성비율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축산편) 33(2):38-45
  3. 농촌진흥청 1982. 산지초지 조성과 이용. p.182-183
  4. 서 성, 김재규, 신재순. 1996. Orchardgrass 위주 혼파초지에서 방목시기와 강도가 초지 이용률 및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업과학논문집(축산편). 38(1 ):802-810
  5. 신재순, 신기준. 1982. 강원지역 기성초지의 이용 방법에 관한 연구. 고령지시험장연구보고서. p.273 -281
  6. 신재순, 신언익, 이효원. 1982. 방목초지 형태가 목초수량과 초지식생에 미치는 영향. 고령지시험장연구보고서. p.265-270
  7. 신재순, 이효원, 김동암, 이길왕. 1983. 겉뿌림 초지의 초년도 방목의 강도와 시기가 목초의 잔존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시연보. pp297-304
  8. 윤세형, 이종경, 박근제. 2002. 집약방목지에서의 목초 및 가축생산성에 관한 연구. 한초지. 22(1): 45-50 https://doi.org/10.5333/KGFS.2002.22.1.045
  9. 윤순강, Andrea Dyckmans, Ernst Zimmer. 1990. 방목이용 혼파초지에서 질소비료 시용이 식생구성과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1990 한초지.10(1): 36-41
  10. 이인덕, 명 전, 송우석, 전영기. 1987. Orchardgrass-Red clover 용에 관한 연구. I 초종구성비율이 산양의 섭취량, 소화율 및 채식성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7(1):31-36
  11. Iwasaki, M. 1973. A comparison of rotational grazing and cutting systems in relation to yield and composition of pasture. Bull. Natl Grassl. Res. Inst. Japan. 3:467-57
  12.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AS Inst, Inc, Cary, NC
  13. 山根一夫. 1969. 野草地の改良, 東地大學附屬 農場報告 特別號 . p.71-82

Cited by

  1. Effect of Species and Seed Mixture on Productivity,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Quality in Middle Mountainous Pasture vol.36, pp.2,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2.135
  2.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Technology Application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in Rumex acetosella Dominated Hilly Pasture vol.36, pp.2,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2.81
  3.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Hilly Pasture of mixed grass, Pyeongchang of South Korea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