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ine grassland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The Use of Herbage N-alkanes as Markers to Estimate the Diet Composition of Yaks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 Ding, L.M.;Long, Rui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호
    • /
    • pp.61-67
    • /
    • 2010
  • The chemical components in plant cuticular wax can be used as markers to estimate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diet of grazing animals. In this experiment, composition of the diet of yak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was estimated using n-alkane analysis. During the grazing period, samples of whole plants of the species present, plus fecal samples voided by the yak, were collected, air-dried and ground prior to the extraction of cuticular wax n-alkane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yak diets was estimated by relating fecal alkane contents to those of the plant species, using the 'ATWHAT'software pac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lkane technique can detect the main dietary components selected by yak. The diet consumed by yak contained 33% Kobresia humilis, 67% Stipa aliena in summer pasture; 26% Potentilla anserine, 74% Carex qinghaiensis in autumn pasture; 52% Carex qinghaiensis, 32% Heteropappus bowerii and 16% Saussurea semifasciata in winter pasture and 5% Carex qinghaiensis, 95% Achnatherum splendens in spring pasture. The apparent selection for forbs is likely to be a reason for nutritional constraint of yak inhabiting alpine environments.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 지대의 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at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in Jirisan National Park)

  • 추갑철;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1-186
    • /
    • 2003
  • 종석대 아고산초원의 생태계 변화관찰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종석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아고산지대의 초원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40개의 방형구(5m${\times}$5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종석대의 관목지대에는 미역줄나무의 상대우점치 (I.P.)가 23.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털조록싸리 등의 순이었다. 종석대 고산초원의 초본식물은 큰까치수영. 고사리. 수리취, 여로, 원추리 및 노루오줌 등 6종이 우점종이었다.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등록된 흰참꽃나무가 종석대 정상 바위틈에서 여러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일본 홋카이도 다이세츠산 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 유형 및 요인 (Types and Factors of Trail Degradtion in Daisetsuzan National Park, Hokkaido, Northern Japan)

  • 김태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5
    • /
    • 2012
  • 일본 홋카이도의 다이세츠산 국립공원은 지형 조건상 삼림한계를 넘는 고산대가 광범위하며, 지표지질은 침식에 취약한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등산 성수기와 융설기가 시기적으로 겹치므로 답압, 융설수, 서릿발에 의한 토양침식이 등산로를 따라 활발하게 일어난다. 특히 융설수에 의한 노면 세굴과 서릿발에 의한 측벽 후퇴가 결합하여 등산로 단면이 크게 확대될 수 있으며, 세굴로 인하여 걷기 불편해진 등산로를 벗어나 걸음으로써 노면분기도 빈번하게 일어난다. 비탈면 구간에서 발생한 토사는 등산로 아래쪽으로 흘러내려와 노면뿐 아니라 주변 초지까지 매몰시키며 2차적인 훼손을 일으키고 있다.

유럽 산간마을의 건축과 경관형성실태에 관한 연구 - 독일의 남서부지역 블랙 포레스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rchitecture and Structure of Landscape Building in Remote Mountain Village - Focused on Southwestern Black Forest Area, Germany -)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41-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architecture of the mountain village conforms to the geography and local landscape, and become a unique scenic element. Also, the study is to grasp the status of the village landscape design elements. The methods and conten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by field research with references in Biederbach community, an isolated mountain village in Southwestern Germany. The time frame for the survey research is July 2015.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 the analysis of the village's landscape structure, architecture, and landscape design patter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First, the village landscape structure seen in the mid-distance view is the hilly scene of the alpine region, which houses the sloping terrain of Black Forest and surrounds the residential area with the grassland covered by the Black Forest. Second, the main elements of the town's landscape building are historical culture, traditional architecture, topology and nature, and artificial environmental design. Third, the landscape design utilizing the village's resources creates a sustainable community's residential environment.

고랭지에서 재식 밀도 및 질소 시비 수준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lanting Densities and Nitrogen Level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Corn for Silage in Alpine Areas)

  • 이종경;박형수;정종원;김종근;임영철;김영근;이성철;정재록;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시험은 옥수수 재식밀도 low(67,000 plants/ha), control(89,000 plants/ha) 및 high(95,000 plants/ha)를 주구로, 질소 시비량 150, 200 및 250kg/ha을 세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간 축산연구소 한우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옥수수의 간장은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길었고, 모든 주처리구에서 ha당 200kg의 질소 시용구에서 길었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옥수수의 착수고는 재식밀도가 높아질수록 낮았으며, ha당 150 kg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옥수수의 암이삭 비율은 재식밀도가 낮을 수록 높아지는 경향이고 질소시비 수준은 ha당 200kg이 높았다(P<0.05).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재식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를 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재식밀도에 따라 질소시비 수준은 차이를 보였다(P<0.05). 옥수수의 조단백질 함량은 큰 차이는 없었으나 높은 재식밀도와 낮은 질소시비 수준으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NDF와 ADF 함량은 낮은 재식밀도와 200kg/ha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고려하여 보면 고랭지에서 낮은 재식밀도(67,000 plants/ha)와 ha당 150-200kg의 질소시비 수준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랭지에서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Corn for Silage in Alpine Areas)

  • 이종경;박형수;김영근;정종원;나기준;김문철;이성철;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122
    • /
    • 2004
  • 본 시험은 옥수수 파종시기 5월 10일, 5월 20일 및 5월 30일을 주구로 옥수수 수확시기 9월 15일, 9월 25일 및 10월 5일을 세 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법 3반복으로 2년간 축산연구소 한우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옥수수의 간장은 파종기가 5월 30일, 5월 10일 및 5월 20일순으로 작아졌으며, 수확기는 각 파종기 공히 10월 5일이 큰 경향이었다. 옥수수의 착수고는 파종기가 5월 20일, 5월 30일, 5월 10일순으로 작았고 파종기는 5월 10일, 5월 20일, 5월 30일순으로 낮아졌다. 파종기에 따른 옥수수 암이삭 비율은 파종기 5월 10일이 가장 높았다.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늦추어짐에 따라 적어졌으며, 수확시기가 늦추어짐에 따라 높아졌다. 파종시기에 따른 옥수수 경엽의 조단백질 함량은 5월 10일보다는 5월 20일과 30일이 높았고 이삭은 5월 20일이 5월 10일이나 30일보다 높았다. 수확시기에 따른 경엽의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9월 15일이 가장 높았고 9월 25일과 10월 5일순으로 낮았으며, 이삭의 경우도 경엽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경엽의 NDF와 ADF 함량은 수확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고려하면 파종시기는 가능하면 빨리 파종하는 것이 유리하나 고랭지에서는 너무 일찍 파종하면 늦추위에 냉해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5월 20일경에 파종하는 것이 안전하고, 수화시기는 너무 늦게 수확하는 것은 건물수량은 높아지나 사료가치가 감소되므로 대관령과 같은 고랭지에서는 만상일이 9월 28일인 점을 감안하면 9월 25일 이전에 수확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백산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토양미생물호흡량 평가 (Estimation of Soil Microbiological Respiration Volume in Forest Ecosystem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of Korea)

  • 이상진;이창민;양승아;정해중;이종명;민영기;김진원;명현호;박홍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2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soil microbial respiration by forest type of Sobaek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annual soil microbiological respiration volume by forest type in Sobaeksan National Park, broad-leaved forests, coniferous forest, artificial forests were similar to around 19.5 CO2-ton/ha/yr. In the case of coniferous forests in sub-alpine and grassland near Birobong Peak, 12.2 CO2-ton/ha/yr and 8.1 CO2-ton/ha/yr, respectively, were lower than general forest areas.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soil microbiological respiration rate according to forest type in Sobaeksan National Park, the soil microbiological respiration rate in coniferous forests, broad-leaved forests, artificial forests, and sub-alpine areas was the highest in the July survey in summer and the lowest in November in late autumn. The change in soil microbial respiratory volum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e in Sobaeksan National Park was the highest between 12:00 and 16:00, when the soil temperature was generally the highest among the days. It is known that the soil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and the amount of soil microbial respiration decreases during winter, and the change in respiratory volume over the measurement time during the day was the smallest in November, when the amount of soil microbial respiration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May-September surve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soil microbial respir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long-term research and investigation of various factors affecting soil respiration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carbon cycle of forest ecosystems.

겉뿌림 및 다른 파종방법들이 Alfalfa의 생육과 수량 및 조단백질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versowing and Other Seeding Methods on Growth , Yield and Crude Protein Yield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

  • 이종경;서성;김하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4-89
    • /
    • 1991
  • 본 시험은 alfalfa파종시 겉뿌림 및 다른 파종방법들이 alfalfa의 생육. 건물수량.조단백질 생산량 및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겉뿌림, 겉뿌림+갈퀴질, 겉뿌림+갈퀴질+쇄압, 경운+산파+쇄압 및 경운+조파+쇄 등 5개 처매구를 두고, 1988년 9월부터 1989년 10월까지 축산시험장 초지시험포에서 수행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경운방법으로 6개월후에 토양산도와 토양의 매화학적 특성은 개선되었다. 2 알팔파의 정착개체수는 갈퀴질이나 쇄압으로 증가하였으며, 겉뿌림보다 경운시 크게 증가 하였다 (P<0.05). 3. 1차 이용시 잡초솔은 갈퀴질이나 쇄압으로 감소하였으며, 겉뿌림보다 경운시 크게 감소하였다. 2차 이용시 잡초솔은 전 시험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3차와 4차 이용시 잡초솔은 점차 증가하였다. 4 .알팔파의 건물수량은 갈퀴질이나 쇄압으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겉뿌림보다 경운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P<0.05), 경운 산파시 가장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5. 2차 이용시 조단백질 생산량은 쇄압으로 증가 하였고, 겉뿌림보다 경운시 크게 증가하였다(p

  • PDF

Effect of Seeding Rate on Forage Quality Components and Productivity of Alfalfa in Alpine Area of Korea

  • Kim, Jong Geun;Jeong, Eun Chan;Li, Yan Fen;Kim, Hak Jin;Ahmadi, Farhad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8-175
    • /
    • 2021
  • The optimal determination of seeding rate is critical to minimizing uncertainties about the large variations observed in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when alfalfa is cultivated under different geographical areas and growing conditions. The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roper seeding rate according to harvest timing for alfalfa cultivation in the Northern regions of Korea. Alfalfa was sown in September 2018 at a seeding rate of 20, 30 or 40 kg/ha and harvested four times in 2019: May 3, July 2, September 11, and October 13. Regardless of seeding rate, alfalfa plant height was longest at the third harvest (113 cm) and the shortest in the last annual harvest (43.8 cm). However, seeding rate had no effect on alfalfa plant height at any harvest. Forage relative feed value was increased in the first cutting but decreased in the third cuttings as seeding rate increased. However, seeding rate had slight effect on alfalfa forage quality components at the second and fourth cuttings. Total annual DM and crude protein production (in 4 harvests) was greater at higher seeding rates. Plots seeded at a rate of 40 kg/ha produced on average 1,257 and 2,620 kg/ha more forage (DM basis) than those seeded at a rate of 30 or 20 kg/ha, respectively. Forage DM production at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harvests accounted for 36.1, 24.0, 27.1, and 12.8 % of total annual DM production, respectively. Overall, small differences were seen when alfalfa seeding rate was different but maximum forage DM production (in four harvests) was detected when seeding rate was 40 kg/ha. These data could be useful to the alfalfa growers by allowing them to make more accurate trade-offs between seed price and the expected magnitude of forage yield gains in order to select the best seeding rate.

고랭지에서 알팔파의 품종별 수량성과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ies of Alfalfa (Medicago sativa) Varieties at the Alpine Areas)

  • 이종경;정종원;김맹중;김영근;임영철;나기준;정재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70
    • /
    • 2003
  • 본 시험은 알팔파 Vernal(대조품종), Anchor, P5444, DK120, DK125, Horizon, DK135, 루나및 기타와카바 9품종을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표고 800m)와 남원지소(표고 450m)에서각각 난괴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알팔파의 엽폭은 Vernal을 제외하고 모든 품종이 대형이었으며 개화기는 DK125가 가장 빨랐다. 초고는 Luna품종이 가장 컸으며 내한성은 P5444가 80.2%로 가장 높았다. 알팔파의 건물수량은 대관령에서 대조품종인 Vernal보다 많은 품종은 Luna가 4,200kg으로 공시된 품종 중 가장 높았다. 또한 남원에서는 대조품종인 Vernal 품종보다 공시된 품종 모두가 높았으나 P5444가 ha당 14,516kg으로 가장 높았다. 두 지역을 평균하였을 때 대조품종 Vernal의 7,517kg보다 공시된 다른 품종들이 모두 높았고 P5444품종이 9,171kg으로 가장 높았다. 대관령에서 알팔파 품종별 ADF 함량은 DK 120이 30.7%로 가장 낮았고 NDF 함량도 ADF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남원에서 알팔파 품종별 ADF 함량은 Horizon이 26%로 가장 낮았고 NDF 함량은 DK 125와 Horizon이 40.8%로 가장 낮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대관령에서는 P5444, Luna 및 DK 120이 높았으며, 또한 남원에서는 Horizon이 28.1%로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을 조단백질 생산량으로 환산하였을 때 대관령 지역은 Luna가 915.6kg/ha으로 가장 높았으며, 남원지역은 Horizon이 3,787.3kg/ha으로 높았으나 두 지역 평균하여 P5444가 2,228.05kg/ha으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여 볼 때 생육특성,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측면에서 현재 주로 재배하고 있는 Vernal보다 다른 품종들이 좋았으나 대관령에서는 Luna와 남원에서는 Horizon이, 양 지역에서는 P5444가 가장 유망한 품종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