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pine field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우수 알파인스노보드 선수의 심리적 부상요인 (Psychological Injury Factors of Excellent Alpine Snowboard Athlete)

  • 유하나;최재원;강성구;이경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43-1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 알파인스노보드 선수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을 채택하여 그들의 부상요인을 심리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에 국가대표 및 국가대표 후보팀 경력 등 다양한 입상 경력을 가진 우수 알파인스노보드 선수 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수 알파인스노보드 선수들의 부상요인 중 심리적 관점의 요인에서는 '특성불안', '성격특성', '주요타자기대', '능력과 기대의 불일치', '부상 트라우마'의 5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5개 심리적 부상요인은 연구대상자의 원자료를 사례 중심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실증적이고 현장 중심적인 면담자료는 미래의 알파인스노보드 선수들 및 코치진들에게 부상에 관련한 심리적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더 나아가 부상에 대한 예방 및 대책 수립에 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며 이러한 모든 자료는 국내 설상 종목의 운동선수들의 경기력과 운동선수로서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랭지 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 조사연구 (Status of Fertilizer Applications in Farmers' Field for Summer Chinese Cabbage in Highland)

  • 이춘수;이계준;이정태;신관용;안재훈;조현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06-313
    • /
    • 2002
  • 고랭지 여름배추 재배농가의 시비실태를 조사하여 시비개선 기초자료로 활용코져 1999~2001년에 58농가를 대상으로 청취조사한 결과, 3요소비료는 추천시비량에 비하여 질소 1.4배, 인산 2.4배, 칼리 2.0배를 시용하고 있었으며, 퇴비는 가축분퇴비 위주로 $9,920kg\;ha^{-1}$을 사용하고 있어 추천량보다도 감비하고 있는 반면, 석회질비료는 $2,160kg\;ha^{-1}$로 추천량에 접근하였다. 농가가 많이 사용하는 복합비료 비종은 기비로 11-10-10+3+0.3 (원예1호) > 11-6-6+4+13+17(쌀맛나) > 12-9-11+3+0.3(원예범용) 등의 순위이었고, 추비는 18-0-18+0.3(벼수비용) > 13-0-13+1+0.3(웃거름) > 18-0-15+0.3(NK마그) 등의 순위였다. 배추농가에서 퇴비는 계분퇴비 >돈분퇴비 >우분퇴비 >생계분순으로 전체 조사농가중 91.4%의 농가에서, 석회는 소석회 >생석회 >석회고토순으로 81%농가가 사용하였다. 고랭지배추 재배면적(10,206ha)을 적용한 총 소요량으로 볼 때 농가시비량의 절감 가능량은 성분량으로 4,347톤(질소 1,265톤, 인산 1,123톤, 칼리 1,959톤)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고랭지 성토지에서 감자 및 배추에 대한 인산과 칼리 증시 효과 (Effect of Application Added Phosphorus and Potassium for Potato and Chinese Cabbage in Mounded Highland Soil)

  • 이춘수;이계준;신관용;안재훈;이정태;허봉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72-380
    • /
    • 2002
  • 표고 750m인 고랭지에서 마사토의 일종인 척박한 모재토를 채취하여 1.5m로 두텁게 성토한 포장조건에 인산증시, 유기물 및 석회질비료 등을 혼용하였을 때 토양화학성분 함량의 변화와 수량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9년에서 2001년까지 3년간 포장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칼륨 등 화학성분 함량이 매우 낮은 양질사토인 토양에 감자 "수미"와 배추 "고랭지 여름배추"를 여름재배하였다. 연차의 경과에 따른 토양의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륨 함량은 인산 및 칼리질비료의 증비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3년차에서 현저히 증가한 반면, 유기물 함량은 완만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작물 재배지에 모재토(C horizons) 성토시는 매년 표준량의 퇴비연용 및 석회중화량 시용(감자는 더뎅이병 발생 경감을 위하여 1/2량 시용)과 병행하여 토양검정에 의한 인산(흡수계수 5% 조절량) 및 칼리(포화도 5% 조절량)를 증비하는 화학성 개량만으로도 2~3년내 조기 숙전화가 가능함을 알았다. 토양의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륨 함량의 증가가 컸던 화학성 개량구의 2~3년차 수량증가율은 표준구에 비하여 감자 5~22%, 배추 6~25% 이였다. 감자 및 배추의 3년차 건물중은 표준구에 비하여 모두 높았고, 생육도 전반적으로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한반도 주요 산정의 식물종 분포와 기후변화 취약종 (Distribution of High 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 Against Climate Change)

  • 공우석;김건옥;이슬기;박희나;조수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2호
    • /
    • pp.119-136
    • /
    • 2014
  • This work aims to select the potentially vulnerable plant species against climate change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Mts. Sorak, Jiri, and Halla, from central, southern, southern insular high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The selection of global warming related vulnerable plants were performed by adapting various criteria, such as flora, endemicity, rarity, floristically specific and valuable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t mountain summits, horizontal and vertical ranges of individual species, and their distributional pattern in the Korean Peninsula. Line and quadrat field surveys along the major trails from all directions at height above 1,500 meters above sea level of Mts, Sorak, Jiri and Halla were conducted each year during spring, summer, and autumn from 2010 to 2011. Based upon above mentioned eight criteria,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related potentially vulnerable arboral plants, such as Rhododendron aureum, Taxus caespitosa, Pinus pumila, Oplopanax elatus, Vaccinium uliginosum, and Thuja koraiensis are noticed from at subalpine belt of Mt. Sorak. Species of Abies koreana, Rhododendron tschonoskii, Oplopanax elatus, Taxus cuspidata, Picea jezoensis, and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belong to climate change concerned vulnerable species at subalpine belt of Mt. Jiri. High level of climate change related species vulnerability is found at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Mt. Halla from 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 Salix blinii,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Vaccinium uliginosum,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Taxus cuspidata, Rhamnus taquetii, Abies koreana, Hugeria japonica, Prunus buergeriana, and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rtensis. Countermeasures to save the global warming vulnerable plants in situ are required.

고산지대초지의 사향지별 및 표고별 차이에 따른 수량과 식생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 김동암;김희경;권찬호;조무환;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6-243
    • /
    • 1991
  • 고산지대에서 사향지(남향 및 북향) 및 표고별(800m, 1,000m 및 1,200m)에 따른 초지의 사초 건물수량, 품질 및 직생비율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85년의 목초생육기간중에 시험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산지대 초지의 사초 총 건물수량은 사향지 및 표고에 따른 영향을 받았고 표고 1,000m에서 남향 및 북향초지의 평균 사초 수량은 ha당 9,301kg이었으며, 표고 800m에서는 10,274kg로 초지의 생산성은 표고가 200m 높아짐에 따라 9.5%가 낮아졌다. 2. 표고 800m 및 1,000m에서 사초의 평균 수량은 남향초지가 북향초지보다 21.5% 높았다. 3. 남향 및 북향초지에서 생산되는 사초의 조단백질함량은 표고가 800m에서 가장 낮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되었고 조섬유함량은 이와는 상반된 경향을 보여주었다. 4. 북향초지에서 생산되는 사초의 조단백질함량은 같은 표고의 남향초지에서 생산된 사초의 조단백질함량보다 높았으나 조섬유함량은 낮은 편이었다. 5.표고 800m에서의 남향 및 북향지의 주된 초종은 orchardgrass 및 timothy였으나 표고 1,000m 및 1,200m에서는 timothy가 우점초종이 되었으며 고산지대에서 표고가 1,200m 될 때까지는 timothy의 생육이 좋았다. 고산지대 초지에서 orchardgrass에 대한 경제적인 생산한계 표고는 약 800m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6. 고산지대의 초지에서 사향지 및 표고별에 따론 토양의 특성차리는 발견할 수가 없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본 시험조사가 수행된 초지에 대한 시험전 목장으로부터의 비배관리의 영향때문인 것으로 보여졌다.

  • PDF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 조준모;김경주;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5
    • /
    • 2001
  •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는 동일한 살충제가 매년 수회씩 연용되고 있으며, 여러 살충제의 혼용살포로도 배추좀나방 방재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계촌, 장평, 태백, 춘천, 홍천의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한 배추좀나방을 채집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 diazinon, fenitrothion, profenofos, phenthoate, flupyrazofos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carbofuran, befuracarb, furathiocrb에 대한 $LC_{50}$을 감수성종과 비교하여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정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216.9 ppm과 589.0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인 6.25 ppm과 비교하여 각각 35배와 94배 높았고, fenitrothion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각각 240.3 ppm과 960.1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3.9 ppm과 비교하여 70배와 254배 높았으며, profenofos에 대한 춘천종의 $LC_{50}$ 39.2 ppm은 감수성종의 $LC_{50}$ 1.1 ppm과 비교하여 37배 높았다. 그러나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에 대한 감수성종과 포장종의 $LC_{50}$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경우 befuracarb에 대해서만 저항성이 나타났는데, befuracarb에 대한 춘천중의 $LC_{50}$은 257.8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13.34 ppm과 비교하여 19배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약제간, 지역간차이는 있었으나 강원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이 일부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두 삼림호수에 공존하는 동물플랑크톤종의 다른 안정동위원소비 (The Different Isotopic Signatures of Co-existing Zooplankton Species in Two Alpine Lakes)

  • 이재용;김범철;길강숭인;일야수차
    • 생태와환경
    • /
    • 제41권3호
    • /
    • pp.294-300
    • /
    • 2008
  • The stable isotopes ratios ($\delta^{13}C\;and\;\delta^{15}N$) of two coexisting species of zooplankton (Daphnia longispina and Acanthodiaptomus pacificus) and POM were determined in two alpine lakes in Japan. The difference of $\delta^{13}C$ between A. pacificus and D. longispina was 4.1$\pm$0.9‰ in Lake Shirakoma, which was larger than in Lake Panke. Whereas the difference of $\delta^{15}N$ between A. pacificus and D. longispina (2.6$\pm$0.8‰) was larger in Lake Panke than in Lake Shirakoma. $\delta^{13}C$ of POM (-26.6$\pm$1.2‰) in Lake Shirakoma was different from those of zooplankton; it was heavier than those of D. longispina and A. pacificus by 3.7$\pm$1.6‰ and 7.8$\pm$1.0‰, respectively. Whereas $\delta^{15}N$ of POM (2.0$\pm$0.8‰) was similar with those of both A. pacificus and D. longispina. This implies that the two lakes may have different trophic structure and food sources for zooplankton, and each species are grazing on selectively different components of POM. The temporal variation of $\delta^{13}C$ for each zooplankton species was associated with lipid contents of zooplankton in both lakes. The results showed that stable isotope composition of zooplankton can be an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energy pathways and trophic structures in lakes.

홍천군 산지농업지대의 토양침식취약성 분석 (Analysis of Soil Erosion Vulnerability at Alpine Agricultural Fields of HongCheon County)

  • 김기성;허성구;정영상;김지만;임경재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51-57
    • /
    • 2005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soil erosion and sediments from alpine agricultural fields are causing severe water quality and turbidity problems in receiving waters. Also these result in the loss of money because farmers have to buy top soils to provide enough root zone in the following year. Thus, there have been needs to reduce soil erosion and sediment discharge into the stream networks. To accomplish this end, an effective erosion control pla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not by rule of thumb.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has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in many countries over the years. In this study, the USLE was used to estimate soil erosion potential under different cropping scenarios in HongCheon County, Kangwon. The soil erosion potential for continuous corn cropping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those from continuous potato find average cropping scenarios. This indicates the soil erosion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considering cropping system in the field. The Unit Stream Power Erosion-Deposition (USPED) was applied for HongCheon County to estimate soil erosion and deposition areas. The USPED estimated results can be used to complement USLE results in developing effective erosion control plans.

알파인 스키 분석을 위한 운동역학 연구 동향 (Biomechanical Research Trends for Alpine Ski Analysis)

  • 이주성;문제헌;김진해;황지니;김혜영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6호
    • /
    • pp.293-308
    • /
    • 2018
  • 본 연구는 알파인 스키와 관련하여 과거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운동역학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운동역학 분야에서 진행되어야 할 연구 방향을 제언하고자 수행하였다. 운동역학 연구 분야에서는 스키 턴의 메커니즘과 스키어의 등급과 기술 수준에 따른 자세 분석, 스키와 눈의 마찰력, 공기저항 등의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후 측정 센서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IMU와 GPS 센서를 활용하여 스키 장비 개발 및 획득 데이터 검증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추후 알파인 스키 분야에서 진행되어야 할 운동역학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운동역학 분석 범위의 한계를 넘어 스키 전 구간이 분석 가능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측정 장비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측정 센서를 활용하여 획득한 정보의 정확도 향상과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스포츠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스키에서 발생하는 부상 메커니즘을 명확히 정립하고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3차원 스키 모델을 개발하여 실제 주행데이터와 비교 검증함으로써 최적화된 스키 궤적 알고리즘 제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