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ance

검색결과 1,657건 처리시간 0.029초

Knowledge Acquisition in the Global Strategic Alliance Network

  • Lee, Eon-Seo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07-315
    • /
    • 2014
  •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examine how shipping companies can effectively acquire knowledge from their strategic alliance partners. This paper adopts cooperative network embeddedness mechanism, such as network density and tie closeness, as a channel through which to acquire more knowledge for shipping participants within a strategic alliance network.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competition between alliance partners in reinfor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 relationships on the knowledge acquisition. Based on the literature, hypotheses to predict the aforementioned associations between cooperative network embeddedness and knowledge acquisi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mpetition in facilitating that association are establish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using survey data conducted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was employed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presented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if players in a shipping alliance network are embedded in a dense network and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alliance partners, this helps to facilitate a greater degree of knowledge acquisition from the partners; and the impact of network density on the knowledge acquisition would be intensified with the higher level of competition between shipping companies.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양육협력의 매개효과 검증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Couples with Young Childre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lliance)

  • 우수정;이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7호
    • /
    • pp.89-97
    • /
    • 201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ing alliance'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 157 married parents of young children(77 men and 80 women). We us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s (Kim & Lee, 2005), Quality Marriage Index (Jang, 2001), and Parenting Alliance Inventory (Abidin, 1988) and analyzed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via SPSS PC program(17.0 ver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married males' avoidant dimen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ir wives' parenting alliance. The effects of married females' anxious dimen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totally mediated, and the effects of married females' avoidant dimension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partially mediated, by their husbands' parenting alliance. In conclusion, the parenting alliance mediates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marital satisfaction in couples with young children.

A Study on Port Alliance between Incheon Port and Major Ports in Northern China

  • Chung, Tae-W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7-294
    • /
    • 2008
  • Recently, amount of cargoes from main ports in Northeast Asia have rapidly increased and as well surplus port development in same region corresponded with the boom in external trade that resulted from successful export-oriented economics strategy by China, Japan and South Korea. To cope with this business circumstances, a certain form of port alliance is desperately needed to provide a suitable service to customer and establish their countervailing power against the shipping alliance. Nevertheless, Incheon seaport has not made a definite port alliance system with main ports in Northern China ye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 success factors to form a port alliance through examining previous studies. We have benchmarked previous studies which are related to main ports in global region and the questionnaire on customers of ports. By studying this, we are able to suggest a few strategies for forming successful port alliance to enhance Incheon port's capabilities in the long term plan. As a policy proposal, this study suggests Incheon port and main ports in Northern China should construct a logistics infrastructure through mutual investment and provide an incentive system when the ocean carrier makes port call to both ports.

글로벌 제휴네트워크 추진 동기가 기업 역량, 파트너 역량, 운영구조,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Effects of Global Alliance Networks' Motives on Firm's Capabilities, Partner's Capabilities, Operating Structures, and Performances of Korean Companies)

  • 정종식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249-269
    • /
    • 2012
  • 본 연구는 선행 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여 글로벌 제휴네트워크 추진 동기가 기업 역량, 파트너 역량, 운영구조, 제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연구 개념 사이에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글로벌 제휴나 협력을 공시한 업체 중 기준에 적합한 업체 114곳에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확인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회귀분석을 각각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진 동기는 기업 역량, 파트너 역량, 운영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 동기는 제도환경에 적응, 실물옵션 행사(위험을 분산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 자원의 확보와 활용, 거래비용 절감, 시장지배력 강화로서 다양한 동기가 제휴 전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추진 동기는 운영구조에 영향을 더 많이 미쳤는데, 지식을 공유하고 습득하기 위한 활동과 규범 개발, 성과평가 등으로 제휴목표를 달성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기업 역량과 파트너 역량은 운영구조에 영향을 미쳤다. 운영구조는 기업 역량과 파트너 역량으로써 각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여 문화, 제도 등을 확립하고 제휴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기업 역량과 운영구조는 제휴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제휴 성과는 전략 목표나 제휴 목표의 달성, 사업가치의 증진 등으로 나타났는데, 목표를 달성하려면 고유한 자원, 능력, 지식, 기술이 중심이 되어 파트너 역량을 흡수하고 통합하는 과정이 제휴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운영구조는 기업 역량과 파트너 역량이 거의 비슷하게 영향을 미쳤지만, 제휴 성과는 파트너 역량이 제외되어 파트너 역량을 내부화하고 학습하는 과정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unselor Perception on Working Alliance)

  • 오충광;정남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1호
    • /
    • pp.115-136
    • /
    • 2007
  • 본 연구는 개인적 어려움과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는 정서 표현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들이 상담장면에서 보이는 모습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이 작업동맹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청소년상담실, 사설 상담 기관에서 상담을 받고 있는 97명의 내담자들이였고, 측정도구는 정서표현갈등 질문지, 상담자 평가 질문지, 작업동맹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서표현갈등은 작업동맹과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상담자 지각은 작업동맹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상담자 지각이 긍정적일수록 작업동맹이 더 잘 형성되었다. 상담자 지각의 하위요인들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호감도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고, 전문성은 유의미한 경향성이 있었으나, 신뢰성은 관련이 없었다. 작업동맹에 대한 정서표현갈등과 상담자 지각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정서표현갈등이 높은 내담자는 상담자 지각이 긍정적인 경우에 작업동맹이 더 잘 형성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표현갈등이라는 성격적 요인보다는 상담자를 어떻게 지각하느냐가 작업동맹과 관련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국제 기업간 전략적 제휴에 의한 항공기산업의 기술이전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echnology Transfer of Aircraft Industry by Strategic Alliance)

  • 안영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8-59
    • /
    • 2006
  •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cess of technology transfer for the aircraft development program by the strategic alliance. Especially, this study showed how the learning firms absorb new technology from the foreign leading company. This case study concludes that teachability, asset specificity, relation capital with partn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in organization and knowledge base are key factors for absorbing the new technology from the technology leading partner.

  • PDF

인터넷기업 간 전략적 제휴와 이윤배분: 네트워크 효과를 중심으로 (Strategic Alliance and Profit Sharing in the Internet Market with Network Effects)

  • 오정훈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229-241
    • /
    • 2006
  • In this paper, we develop three stage non-cooperative game models to analyze the alliance strategies of companies in internet markets where network effects are present. Regardless of its market share, an internet company's strategic alliance appears to be a superior strategy. The analysis also identifies profit sharing structures in the internet market where a smaller and unknown company is enforced to split its own profits with a larger and well-known company. It is shown that the amount of profit sharing grows as the size of network effects becomes larger.

벤처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및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iance Partner Selection Criteria and Performance in Korean Venture Companies)

  • 김환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40-562
    • /
    • 2014
  • 기업 간 기술제휴 성공요인으로 적합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정기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마케팅, 국제, 유통, 생산 제휴 등과 같은 일반적 제휴에 관한 파트너 선정 기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 기준을 도출하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총 12명의 국내 벤처기업의 기술제휴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총 215개 벤처기업 기술제휴 담당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과 기술제휴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4가지 선정 기준인 과업기준, 파트너기준, 학습기준, 위험기준 및 14개의 세부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위험기준, 학습기준, 파트너기준, 과업기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과 성과와의 관계는 파트너기준과 과업기준이 기술제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절변수로 포함한 기업규모, 이전제휴관계, 제휴 경험, 국적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