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yeast

검색결과 418건 처리시간 0.035초

효모생육에 미치는 홍삼박의 영향 (Effect of Ginseng Residue Extract on Yeast Growth)

  • 김상달;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0
    • /
    • 1986
  • 인삼의 부산물중에서 박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박의 구성성분, ext의 DPPH 환원력, 효모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효모균체내의 amino acid함량등에 미치는 영향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박내에는 총당이 43~46%, 조단백이 14~15%, n-BuOH ext함량은 0.18% 였으며 alcohol박의 물ext는 alcohol ext에 비해 약 46%정도의 DPPH환원력이 남아있었으며 박ext를 첨가하고 효모를 배양시켰을 때 효모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물질이나 생육을 촉진하는 물질이 박ext내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으며 알콜박의 물추출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효모균체의 amino acid함량이 다른 ext를 첨가한 효모균체보다 많았다. 박에 cellulase를 0.1%, 20분간 처리로 박ext의 수율을 250%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발포성 포도주의 생산에 고정화 효모의 이용 (Using of Immobilized Yeast Cells for the Production of Sparkling Wine)

  • 이용수;이건표;최진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6-190
    • /
    • 199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le application of immobilized yeast cells in sparkling wine production instead of riddling puns by the traditional metho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tested during the sparkling wine fermentation in the bottle using immobilized yeast cells with alginate. The rates of sugar consumption and alcohol production were faster with free cells than those with immobilized cells during the fermentatio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yeast cells and the lower concentration of alginate in the cell immobilization resulted in the faster sugar consumption and alcohol production. It also resulted in the increase of yeast cell concentration released from immobilized beads during the fermentation. However, no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contents of alcohol, residual sugar and CO2 pressure after fermentation. In case concentration of yeast cells released from immobilized beads during bottle fermentatio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alginate had and the lower had.

  • PDF

홍삼액의 알코올 발효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Alcohol Fermentation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s.)

  • 김성호;강복희;노상균;김종국;이상한;이진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0-555
    • /
    • 2008
  • 홍삼액의 첨가에 따른 발효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홍삼액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JF-Y3을 이용하여 발효를 실시하였으며, 홍삼액($20\;^{\circ}brix$) 함량 $10{\sim}50%$, yeast extract $0.5{\sim}2.5%$의 범위로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하여 10개의 구간으로 홍삼액의 알코올 발효특성을 살펴보았다. 효모수는 홍삼액 및 yeast extract 농도 모두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홍삼액 농도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액 농도가 감소하고, yeast extract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모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발효조건은 홍삼액 함량 30%, yeast extract 함량 0.50%이었으며, 이때의 최대값은 12.45%로 예측되었다. 당도 및 총당 함량의 경우 각각 1%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당도의 경우 홍삼액 및 yeast extract 함량 두 조건에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당 함량의 경우 주로 홍삼액 농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액 $20\;^{\circ}brix$의 함량을 $10{\sim}50%$까지 증가하여도 발효액의 알코올 함량이 모두 10% 이상이었으며, 전반적으로 홍삼액 첨가에 따른 발효의 저해는 크게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홍삼의 유효한 성분을 이용한 기능성 주류 개발 시 홍삼농축액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홍삼액 발효 시의 알코올 성분에 대한 분석, 발효액에 대한 관능적 특성, 유효성분 등에 대한 특성 변화 등을 통한 고품질 홍삼주 제조와 관련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 사포닌이 효모 Alcohol Dehydrogenas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Yeast Alcohol Dehydrogenase)

  • 김재원;주충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09-217
    • /
    • 1986
  • Yeast alcohol dehydrogenates and ginseng saponin interaction has been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non-specific enzyme stimulating effect of the saponin of Panax ginseng C.A. Meyer. It was confirmed that several amphiphiles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SDS), Triton X-100, 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as well as ginseng saponin mixture and purified ginseng glycosides lowered Km values of yeast alcohol dehydrogenase (ADH) for ethanol and NAD in the presence of the above amphiphiles suggesting that the surface activity of the amphiphiles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ADH catalyzed reactions. Conformational change of yeast alcohol dehydrogenase in the presence of the above amphiphiles at their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maximum activity was studied. Circular dichroism (C.D) spectrum of yeast ADH showed that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the enzyme occurred in the presence of above amphiphiles. Fluorescence data also showed that the hydrophobic area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above amphiphiles.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ADH and ginseng saponin using radioactive saponin showed that there might be a very weak interaction between them.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non-specific enzyme stimulating effect of the saponin might be due to the change of polarity of the enzyme solution in the presence of the saponin.

  • PDF

Effect of Zinc-enriched Yeast FF-10 Strain on the Alcoholic Hepatotoxicity in Alcohol Feeding Rats

  • Cha, Jae-Young;Heo, Jin-Sun;Cho, Young-S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207-1213
    • /
    • 2008
  •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highly zinc-contain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strain, isolated from tropical fruit rambutan on acute alcoholic liver injury in rats were evaluated. Zinc concentration in this strain was 30.6mg%. The activities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amma$-GTP) were highly increased when alcohol was treated, relative to the normal rats. Also, a high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levels by alcohol treatment was observed. Administration of FF-10 strain markedly prevented alcohol-induced elevation of the activities of serum ALT, AST, and $\gamma$-GTP, and the levels of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and these reduced levels reached to that of normal rats. As compared with alcohol treated control rats, the FF-10 strain supplementation showed highly decreased the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serum. Alcohol treatment induced the marked accumulation of small lipid droplets, hepatocytes necrosis, and inflammation, but FF-10 strain administration attenuated to alcohol-induced accumulation of small lipid droplets and hepatocyte necrosis in the liver. Therefore, the current finding suggests that zinc-enriched yeast FF-10 strain isolated from tropical fruit rambutan may have protective effect against alcohol-induced hepatotoxicity.

Screening Wild Yeast Strains for Alcohol Fermentation from Various Fruits

  • Lee, Yeon-Ju;Choi, Yu-Ri;Lee, So-Young;Park, Jong-Tae;Shim, Jae-Hoon;Park, Kwan-Hwa;Kim, Jung-Wan
    • Mycobiology
    • /
    • 제39권1호
    • /
    • pp.33-39
    • /
    • 2011
  • Wild yeasts on the surface of various fruits including grapes were surveyed to obtain yeast strains suitable for fermenting a novel wine with higher alcohol content and supplemented with rice starch. We considered selected characteristics, such as tolerance to alcohol and osmotic pressure, capability of utilizing maltose, and starch hydrolysis. Among 637 putative yeast isolates, 115 strains exhibiting better growth in yeast-peptone-dextrose broth containing 30% dextrose, 7% alcohol, or 2% maltose were selected, as well as five ${\alpha}$-amylase producers.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26S rDNA gene classified the strains into 13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Pichia anomala was the most prevalent (41.7%), followed by Wickerhamomyces anomalus (19.2%), P. guilliermondii (15%), Candida spp. (5.8%), Kodamaea ohmeri (2.5%), and Metschnikowia spp. (2.5%). All of the ${\alpha}$-amylase producers were Aureobasidium pullulans. Only one isolate (NK28)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NK28 had all of the desired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xcept ${\alpha}$-amylase production, and fermented alcohol better than commercial wine yeasts.

국내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ild yeast isolated from non-sterilized Makgeolli in Korea)

  • 정수지;여수환;문지영;최한석;백성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43-1051
    • /
    • 2017
  • 본 연구는 각 지역의 생막걸리에서 분리된 야생 효모의 다앙한 발효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34종을 수집하고 효모를 분리, 동정하였다. 야생효모는 62 균주로 분리되었고, 2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와 Pichia kudriavzevii로 동정 되었다. 62개의 균주들 중 발효학적 특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발하기 위해 황화수소와 $CO_2$ 생성능, 알코올 내성, 응집성 및 향기 성분 생성능을 분석하였다. 알코올 내성과 $CO_2$ 생성능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하였다. PC1 양의 방향에 강하게 부하되는 균주는 YM37, YM31, YM32, YM22로 분석되었으며, 총 0.14-0.18 g/72 h의 $CO_2$ 생성으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발효능을 보였고, 이들 중 YM22를 제외하고 불쾌취인 황화수소를 생성하지 않았다. 또한 이 4개의 균주들은 알코올 내성 15% 이상을 보유하며, 응집성은 0.5-1.0 mL 사이인 flocculation type으로 확인되었다. API 분석 및 cerulenin, TFL 저항성을 실험한 결과, 향기성분 생성능이 좋은 효모는 황화수소와 알코올 내성, 응집성 실험에서 우수한 발효학적 특성을 보인 YM37, YM31, YM32, YM22를 포함한 총 33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생막걸리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의 알코올 발효 및 향미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분리된 야생 효모는 주류 제조의 종균 효모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 cerevisiae에 의한 알콜배지에서 질소원 조성의 최적화 연구 (The Optimization of the Composition of Nitrogen Source in the Medium of Alcohol Fermentation of S. cerevisiae)

  • 허병기;유현주정재기
    • KSBB Journal
    • /
    • 제6권3호
    • /
    • pp.255-261
    • /
    • 1991
  •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yeast extract and NH4Cl in the mediun of alcohol fermentation of S. cerevisiae ATCC 24858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pecific growth rate, sugar conversion, alcohol productivity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Regardless of initial sugar concentrations, the values of the above three characteristics increased with augument of concentration of yeast extract. However, the increasing tendency ceased above a certain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NH4Cl had little effect on the change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The func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yeast extract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itial sugar concentrations, but those between the ratio of yeast extract concentration to initial sugar concent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could be expressed as same forms respectively regardless of initial sugar concentrations. Also the values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approached to the maximum values around 0.085 of the ratio, but did not increase any more above 0.1 of the ratio. We have come to conclusion that the optimum ratio of the yeast extract concentration to the initial sugar concentration was about 0.085 and the ratio should not be decided as greater than 0.1 in the medium of alcohol fermentation of S. cerevisiae ATCC 24858.

  • PDF

효모에 따른 참다래 'Hayward' 와인의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in 'Hayward' Kiwifruit Wine Fermented by Different Yeast Strains)

  • 도코삭;박양균;박용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4-181
    • /
    • 2010
  • 참다래로 만든 'Hayward' 와인 제조에 적합한 효모 선발을 위해서 3종의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에서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사용된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 Gervin No.5 strain (GVN), S. bayanus Lavin strain EC1118 (EC1118), 그리고 S. cerevisiae Red star Davis No.796 (No.796)은 와인 발효에 가장 적합하여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효모이다. 이 세 효모에 의해 발효된 샘플의 당도 함량은 비슷하게 감소하였으나, 알코올 생산량만 발효 첫 주에 큰 차이가 있었다. 효모중 GVN이 13.8%로 알콜농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No.796과 EC1118은 각각13.0%와 12.5%로 상대적으로 알콜함량이 낮았다. 관능평가에서 GVN은 높은 산과 높은 알콜함량을 가지고 있고, 강한 풍미와 쓴맛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No.796은 GVN과 유사하지만 낮은 알콜함량과 함께 단맛이 있었다. EC1118은 높은 풍미, 단맛과 낮은 알콜함량으로 부드러운 맛으로 평가되었다. EC1118에 의해 발효된 와인 의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은 다른 효모보다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EC1118이 최적의 효모로 선발되었다. 다른 2종의 효모를 사용한 참다래 발효 와인은 각각 다른 품질 특성을 나타내었다. EC1118효모는 참다래 발효에 가장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주로 총페놀과 항산화 활성과 같은 건강기능성과 높은 관능적 기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효모 종류에 따른 참외의 알코올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in Oriental Melon by Different Yeast)

  • 조용준;박찬우;장세영;김옥미;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79-7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참외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과정에서 효모에 따른 발효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 pH, 총산도 및 당도는 효모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발효과정에서 pH는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당도는 발효 3일째부터 급격하게 감소하여 발효 후 약 7 $^{\circ}Brix$로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모든 구간에서 lactic 및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주요 유기산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9일째는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다. 알코올함량은 (C) S. cerevisiae RC-212에서 14.20%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구간에서도 12%이상의 알코올이 생성되어 효모 종류에 따른 알코올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알코올 성분에서 acetaldehyde의 함량은 (E) S. cerevisiae K1-V1116에서 가장 높았으며 methanol함량은 (C) S. cerevisiae RC-212와 (D) S. bayanus EC-1118에서 비교적 높았다. Fusel oil류인 n-propanol, 2-methyl-1-propanol 및 isoamyl alcohol은 발효 3일째부터 대부분 생성되어 점차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참외 알코올 발효에서 효모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