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aligenes faecali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3초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by Microflora Inoculated in Meats

  • Min, Joong-seok;Lee, Sang-ok;Jang, Aera;Lee, Mooha;Kim, Yang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0호
    • /
    • pp.1472-1478
    • /
    • 2004
  • The effects of microorganisms inoculated in beef, pork and chicken on the production of various biogenic amines (BA) were examined. Acinetobacter haemolyticus, Aeromonas hydrophila subsp. hydrophila, Alcaligenes faecalis subsp. faecalis,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Enterobacter aerogenes, Enterobacter cloacae, Escherichia coli, Lactobacillus alimentarius, Lactobacillus curvatus,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Pseudomonas aerugina,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inoculated into beef, pork and chicken and incubated for 24 h at optimum temperatures of each bacterium. In ground beef, total amount of amines (TAA) produced was highest in the sample inoculated with Bacillus cereus, followed by Enterobacter cloacae. In ground pork, TAA was highest in the sample inoculated with Alcaligenes faecalis, followed by Enterobacter cloacae, Proteus vulgaris and Bacillus cereus. TAA of chicken breast was highest in the sample inoculated with Alcaligenes faecalis, followed by Bacillus cereus and Lactobacillus alimentarius while in chicken leg was the sample inoculated with Proteus vulgaris, followed by Enterobacter aerogenes, Enterobacter cloacae and Alcaligenes faecalis. Among biogenic amines produced, cadaverine (CAD) was detected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putrescine (PUT) and tyramine (TYM), their order being reversed by the kind of microorganism in beef and pork. In chicken breast and leg, CAD level was still the highest but PUT, TYM or PHM was the second highest, depending upon the kind of microorganism inoculated. In total, Alcaligenes faecalis, Enterobacter cloacae and Bacillus cereus were ones that produced a larger amount of BAs regardless of meat sources from different species.

DNA shuffling을 이용한 Alcaligenes faecalis T1의 PHB depolymerase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PHB depolymerase Activity from Alcaligenes faecalis T1 by DNA Shuffling)

  • 신동성;이영하;남진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76-82
    • /
    • 2003
  • Alcaligenes faecalis T1의 Poly(3-hydroxybutyrate)(PHB) depolymerase활성 증진을 위해 DNA shuffling방법을 이용하였다. 제조된 A. faecalis T1의 PHB depolymerase 돌연변이 유전자의 library를 Pseudomonas syringae의 icenucleation protein유전자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pJHCll에 클로닝하여 약 7,000개의 형질전환체를 얻었다. 탄소원으로 PHB또는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를 포함하는 M9최소배지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체들로부터 활성이 서로 다른 돌연변이주들을 선별하였다. 이들의 PHB depolymease 활성은 평판배지에서의 halo형성 및 배양 상등액을 이용한 탁도 감소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며,형질전환체들 중에서 shuffling전의 대조군에 비하여 사용된 기질에 따라 효소활성이 1.8-3.2배 증진된 II-4 돌연변이주를 얻었다. DNA 염기서열의 분석을 통하여 II-4의 PHB depolymease에는 3개의 아미노산 치환(A1a209Va1, Leu258Phe, Asp263Thr)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여러 가지 돌연변이주의 아미노산 서열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PHB depolymerase의 catalytictriad주위에 기존 아미노산에 비하여 보다 소수성인 아미노산으로의 치환이 소수성 기질인 PHB에 대한분해 활성 중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lcaligenes faecalis NS13에 의한 호기성 종속영양 질산화 및 탈질화 (Characterization of heterotrophic nitrification and aerobic denitrification by Alcaligenes faecalis NS13)

  • 정택경;라창식;조기성;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66-174
    • /
    • 2016
  • 호기적 조건에서 질산화와 탈질화를 동시에 진행하는 Alcaligenes faecalis NS13 균주를 분리하여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균주는 $15-37^{\circ}C$ 온도에서 생장할 수 있으며 암모니움 산화율이 높고 고농도의 암모니움 환경에서도 생장이 저해되지 않고 초기 암모니움 농도 증가에 따라 제거량이 증가하였다. pH와 염분농도에 대해서도 내성 범위가 넓어 암모니움 산화가 영향을 받지 않았다. 질산화에 이어진 탈질화로 인해 질산염의 축적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탈질화의 중간산물인 아산화질소는 미량 검출되었지만 배양 후 모든 질소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약 42.8%가 $N_2$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탈질화는 PCR 증폭을 통해서 탈질화에 관여하는 유전자 nitrate reductase gene, napA과 nitrous oxide reductase gene, nosZ의 존재로 뒷받침되었다. 또한 배지 내 질소의 46.4%가 NS13 균주로 동화되었기 때문에 폐수처리 시 질산화 및 탈질화 후에 슬러지로 처분한다면 실질적으로 89% 이상의 우수한 암모니움의 제거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난분해성(難分解性) 공해물질(公害物質) TCAB의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분해(分解) : (I) TCAB 분해균(分解菌)의 분리(分離) 및 동정(同定) (Microbial degradation of the persistent pollutant TCAB :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TCAB-degrading microorganisms)

  • 이재구;임양빈;조용균;경기성;오경석;김학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3호
    • /
    • pp.279-286
    • /
    • 1991
  • 우리의 환경(環境) 중(中)에서 난분해성(難分解性) 공해물질(公害物質) TCAB의 미생물(微生物)에 의(依)한 분해(分解) 가능성(可能性)을 연구(硏究)하기 위하여 enrichment technique에 의하여 4종(種)의 미생물(微生物)을 분리(分離)하였다. 이들 균주(菌株)들은 Achromobactor group VD, Pseudomonas alcaligenes, Moraxella spp., 그리고 Alcaligenes faecalis로 각각 동정(同定)되었다. 또한 이들 미생물(微生物)들은 $MM_2$ 무기배지(無機培地)에서 TCAB를 유일(唯一)한 탄소원(炭素源)으로 이용(利用)하였다.

  • PDF

정상적인 사육 황새의 장내 세균총 (Bacterial Flora of the Intestine in Normal Captive Oriental White Storks)

  • 한재익;장혜진;이숙진;강효민;김수경;박시룡;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6-518
    • /
    • 2011
  • 한국 황새복원센터에서 사육중인 황새의 정상 장내 세균총을 검사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44마리의 건강한 황새의 총배설강으로부터 44개의 분변시료를 채취하여 호기 및 혐기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미생물의 16Sribosomal RNA 및 heat shock protein 60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조사하였다. 호기조건 하에서는 Enterococcus faecalis, Escherichia coli, Bacillus spp., Enterococcus avium, Enterococcus gallinarum, Pseudomonas spp., Alcaligenes spp., Enterobacter spp., Corynebacterium spp., Proteus mirabilis가 동정되었다. 혐기조건 하에서는 E. coli, Clostridium tertium, En. faecalis, P. mirabilis가 동정되었다. 모든 시료에서 E. coli, En. faecalis 혹은 두 가지 모두가 분리되었다. 이러한 정상 황새의 장내 미생물 정보는 향후 분변 배양 결과의 해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냉장 우육내의 미생물의 분포 (Microbial Distribution in Refrigerated Beef)

  • 정해만;조광필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5-198
    • /
    • 1991
  •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esophilic and psychrotrophic bacteria distributed in Korean refrigerated beef were attempted. Total isolated colonies were 192, and identified as 5 genera and 10 species. Among them, mesophilic bacteria were Enterobacter aerogenes, E. agglomerans, Serratia liquefaciens, Proteus mirabilis, and "psychrotrophic" bacteria were Pseudomons fluorescens, P. putida, P. pickettii, P. mendocina, P. stutzeri, Alcaligenes faecalis. Dominant species was Serratia liquefaciens as mesophiles, and Pseudomonas putida as psychrotroph.chrotroph.

  • PDF

경기 북부 일부 지역 대형 마트 유통계란에 오염된 미생물의 분리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from Eggs in Hypermarket in the Northern Gyeonggi Area)

  • 전명숙;홍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96-401
    • /
    • 2009
  • 본 실험은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계란에서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여 계란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자료로서는 대형 마트에 유통 중인 계란 중에서 서로 브랜드가 다른 계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란의 난각에 존재하는 일반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4{\times}10^4cfu/m{\ell}$로 상당히 높은 일반 세균수가 검출되었다. 다음으로는 식중독 지수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대장균 및 계란으로 인한 식중독에서 주요 원인 균으로 작용하는 살모넬라균의 오염 여부를 파악한 결과, 한 브랜드의 계란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고,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각 브랜드에 계란에서 검출된 세균을 분리 동정 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mendocina, Alcaligenes xylosoxidans, Alcaligenes faecalis, Enterobacter cloacae 등이 분리되었다. 이 세균들 중 일부는 사람에게 병원성을 나타내거나,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에게 기회감염 또는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란의 난각에서 분리된 대장균의 병원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대장균의 DNA를 분리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병원성 대장균들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시중에 유통중인 계란의 난각에서 비록 살모넬라균과 병원성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병원성 세균들이 검출됨으로써 계란의 유통 및 판매에 더욱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토복령의 항산화작용 및 항균 효과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 양기호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
    • /
    • 200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ilacis GlabraeRhizoma on antioxid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oxide radicals on hydrogen donating activity and linoleic acid, and the MDA contents on the hepatic lipids of rats, via methanol extractions and subfraction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Results : 1. Hydrogen donating activity was very great for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depending on the additional concentration at the fraction level of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2. The peroxide radicals in linoleic acid were lower depending on the additional concentration, at the fraction level of ethyl acetate, than the controls. We concluded that both had significant anti-oxidation effects. 3. MDA contents of the hepatic lipid had also inhibition effects on lipid radicals,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n-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 level. 4. After extracting Smilads Glabrae Rhizoma with 80% methanol, we experimented with the extracts the antibiosis each concentration, for 5 bacilli, Baci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a typhimurium, and Alcaligenes faecalis. While the effects showed differentiations by concentration, they had usually the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for the multiplication at 37.5~75ug/ml. To identify the effective constituents, we identified the antibiosis of the fractions assaying cyclically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The result showed that antimicrobial activation of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illus except for E. coli was measured highest at the fraction level of BuOH and water. Conclusions : This result suggest that the extraction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at ethyl acetate fraction, had significant anti-oxidation effects and at BuOH and water fraction had relatively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i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a typhimurium, and Alcaligenes faecalis.

  • PDF

실제 하수조건에서 조류-세균 복합군집의 생태적 상호작용 및 영양염류 제거 특성 규명 (Characterization of Algal-Bacterial Ecological Interaction and Nutrients Removal Under Municipal Wastewater Condition)

  • 이장호;박준홍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14-324
    • /
    • 2011
  • 하수를 이용해서 배양된 조류는 바이오디젤 생산에 유용한 자원이다. 그러나 실제 하수에서 조류의 영양염류 신진대사와 하수 세균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로 배양되는 대표적 조류균주인 Ankistrodesmus gracilis SAG 278-2에 의한 하수 내 질소, 인 제거 거동을 평가하였고, 조류와 상호작용하는 하수 내의 세균 군집을 분석하였다. 하수 슬러지 세균 군집과 비교하였을 때, 조류-세균 복합 군집은 하수 내보다 높은 영양염류 제거를 보였다. 16S rRNA 유전자 분석 결과, 조류-세균 군집에서 조류가 성장함에 따라 Unclassified Alcaligenaceae 세균이 선택적으로 우점됨을 알 수 있었고, 조류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우점화된 하수세균은 자연 수질 환경에서 조류와 공생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알려진 Alcaligenes faecalis subsp. 5659-H와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 하수 내의 높은 영양염류 제거를 보이는 조류-세균 복합 군집에서의 조류의 성장 및 신진대사가 특정 세균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