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alas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5초

연자육(Lotus Nelumbo nucifera Seed) 단백질로부터 항산화 펩타이드 분리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Peptides from Lotus Nelumbo nucifera Seed Protein)

  • ;김현우;정원교;제재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1-27
    • /
    • 2023
  • Lotus Nelumbo nucifera seed protein (LSP) was isolated by alkaline solubilization after removing fat and phenolics by hexane and ethanol treatment. Antioxidant peptides from LSP were produced with Alcalase® and pepsin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LSP-Alcalase® hydrolysates showed higher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LSP-pepsin hydrolysates. To purify antioxidant peptides, LSP-Alcalase® hydrolysates were subjected to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eparation on the C18 column and the active fraction was further purified using a SuperdexTM peptide 10/300 GL column. Finally, the active fraction (F8-2) was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s. The EC50 values of the F8-2 were 105.81±0.02 ㎍/mL for DPPH and 32.26±0.02 ㎍/mL for hydroxyl radical and the F8-2 exhibited 7.22 μM trolox equivalent (TE)/100 ㎍ F8-2. Glutathione (GSH), which is a positive control, showed EC50 values of 19.87±0.01 ㎍/mL for DPPH and 15.95±0.03 ㎍/mL for hydroxyl radical and an ORAC value of 14.17±0.03 μM TE/100 ㎍ GSH. Finally, sixteen peptides were identifi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mong them, Ile-Tyr and Leu-Tyr showed higher antioxidant scores.

화분에서의 조단백질 및 환원당 추출시 단백질 분해효소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ses on the Extraction of Crude Protein and Reducing Sugar in Pollen)

  • 최수정;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53-1358
    • /
    • 2004
  • 국내산 충매 화분인 도토리 화분과 다래 화분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화분 추출물을 제조하고, 추출물의 조단백질 함량과 환원당 함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도토리화분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5.2%, 회분 2.7%, 조지방 6.2%, 조단백질 함량은 22.3%였고, 다래화분은 수분 5.4%, 회분 2.8%, 조지방 1.8%, 조단백질 함량은 27.8%였다. Casein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효소의 비환성 (specific activity U/mg)은 Protease S>Flavozyme>Alcalase 2.4L>Protamex>Protease P>Protease A의 순이었다.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 함량은 효소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했고, Alcalase 2.4L을 0.2 U, 0.5 U 첨가시에 도토리 화분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각각 35.8%, 45.8%, 다래 화분 추출물은 각각 68.8%, 101.5% 증가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화분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효소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증가했고, Protease A를 0.2 U, 0.5 U 첨가 시 도토리 화분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각각 11.4%, 18.4%, 다래 화분 추출물은 대조군보다 각각 12.2%, 14.2% 증가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 처리에 의해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과 환원당의 함량이 증가되었고, 단백질 분해 효소는 화분 추출물의 조단백질 및 환원당 함량을 높이는 방법 중의 하나로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lkaline Inducing Agent 및 Alkaline Proteolytic Enzyme 혼용처리에 의한 Shaving Scraps 가수분해 단백질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Hydrolyzed Protein from Shaving Scraps of Leather Waste Containing Chromium by the Combination Treatment with Alkaline Inducing Agent and Alkaline Proteolytic Enzyme)

  • 김원주;조주식;이홍재;허종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1호
    • /
    • pp.1-12
    • /
    • 1998
  • 피혁제조시 발생되는 크롬을 함유한 피혁 고형폐기물인 shaving scrap의 단백질 자원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MgO를 기본으로 하여 alkaline inducing agents 및 alkaline proteolytic enzymes을 혼용처리하여 shaving scrap으로 부터 회수한 가수분해 단백질의 용해도, 무기성분 함량, 분자량분포 등을 비교 검토함으로서 최적 가수분해 조건 및 액체비료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저분자 단백질의 회수방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kaline inducing agents의 혼용처리에 의한 shaving scrap의 가수분해 실험결과 7% MgO를 기본으로 하여 alkaline inducing agents 종류에 따라 65~85% 범위로 용해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가수분해되는 정도는 NaOH>$Ca(OH)_2$>KOH순으로 나타났으며, 획득된 hydrolyzed protein의 평균분자량은 NaOH처리시 약 10 KD, $Ca(OH)_2$ 처리시 약 40 KD, KOH처리시 약 80 KD이었으며, 크롬함유량은 약 15 ppm이었다. Alkaline proteolytic enzymes의 혼용처리에 의한 shaving scrap의 가수분해 실험결과 alkaline proteolytic enzymes 종류에 따라 Alcalase>Esperase>Savinase순으로 용해도 차이를 보였으며, 0.5% Alcalase의 처리에 의해 용해도 85%수준, 평균분자량 1 KD 미만, 크롬 함유량 10ppm 이하인 저분자 형태의 hydrolyzed protein을 획득할 수 있었다.

  • PDF

치즈유청으로부터 제조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Whey Protein (WPC-30) Hydrolysate from Cheese Whey)

  • 윤여창;안성일;정아람;한송이;김명희;이창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435-440
    • /
    • 2010
  • 유청단백질농축물(WPC)은 풍부한 단백질 및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음으로 식품의 단백질 보충 및 건강 기능성 향상을 위해 식품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한 식품소재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는 유용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유청단백질의 산업화와 관련된 사항들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한외여과를 이용한 WPC 제조과정에서 WPC-30을 포함한 한외여과 기의 국산화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외여과, 분무건조 및 단백질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WPC-30 가수분해물의 이화학적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단백질 가수분해능 및 관능성에 대한 평가는 alcalase 처리했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품 형성능은 flavourzyme 처리한 WPC-30 가수분해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다양한 pH조건에서의 단백질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protamex 처리한 WPC-30 가수분해물에서 가장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든 WPC-30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알차리 조건에서는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 결과들을 총체적으로 검토한 결과, 효소를 이용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는 알카리조건에서 alcalase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징어 및 명태껍질 유래 콜라겐의 추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llagen from Squid (Todarodes pacificus) skin and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skin)

  • 양수진;홍주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11-7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수산 부산물인 오징어 및 명태껍질 유래 콜라겐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콜라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오징어 및 명태껍질 모두에서 Neutrase가 Alcalase보다 높았으며 0.1 N NaOH 농도에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오징어껍질이 30.3~38.2%이었고 명태껍질이 38.9~62.7%로 나타났으며, 콜라겐 함량은 오징어껍질에서 11.3~26.6%, 명태껍질에서 13.1~28.9%로 나타나 단백질 및 콜라겐 함량 모두 명태껍질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아미노산 조성은 시료 모두에서 glycine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hydroxypoline 함량은 0.1 N NaOH, Nuetrase를 처리한 명태껍질에서 5.75 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조건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오징어 및 명태껍질 모두에서 Neutrase가 Alcalase 처리구에 비해 높았으며 NaOH 농도가 낮을수록 높음을 확인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오징어 껍질의 경우 14.64~22.76%로 명태껍질의 12.34~21.74% 보다 높았으며 처리 조건에 따른 영향은 오징어 및 명태껍질 모두에서 Alcalase에 비해 Neutrase를 처리한 구간이 SOD유사활성이 우수하였다. 추출된 콜라겐의 pH는 NaOH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중성을 보여주었고, 염도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콜라겐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추출조건인 0.1 N NaOH로 전처리 후 Neutrase로 추출한 콜라겐의 FT-IR 스펙트럼은 $1,631cm^{-1}$, $1,549cm^{-1}$, $1,234cm^{-1}$$3,322cm^{-1}$로 각각 amide I와 amide II, amide III, amide A의 peak band를 나타내었다. 콜라겐 분말의 열분해온도는 대략 $300^{\circ}C$ 정도였으며 열적 특성이 안정한 물질이었으며 고온을 요구하는 식품 가공공정에 적용가능 함을 확인하였다.

김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 Ⅰ 전환효소 저해 활성 (Angiotensin Ⅰ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ies of Laver(Porphyra tenera) Protein Hydrolysates)

  • 김영명;도정룡;인재평;박종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8
    • /
    • 2005
  • Angiotensin Ⅰ 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y activities of laver(Porphyra tenera) protein hydrolysates were investigated by enzymes used for hydrolysis, molecular fractions and drying methods. For the enzymatic hydrolysis, crude laver protein, separated by filtration of water extract of dried laver extracted with 20 times(w/v) water for 3 hours at boiling temperature, were hydrolyzed with three commercial protease, Pepsin, alcalase and maxazyme NNP at optimal conditions. The yield of hydrolysis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which were high in order of pepsin, alcalase and maxazyme NNP. ACE inhibitory activities of laver hydrolysates by molecular levels were high in order of 3 kDa > 10 kDa > 3∼10 kDa, and the IC/sub 50/ ACE inhibitory activities by molecular lebels were 4 mg/mL(3 kDa), 5 mg/mL(total hydrolysate), and 20 mg/mL(10 kDa), respectively. The storage stability of dried laver hydrolysates at 20℃ were strongly affected by drying methods, hot air dried of which were much stabler than freeze-dried one.

해바라기씨박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철분 결합 펩타이드의 분리 (Isolation of Iron-Binding Peptides from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Seed Protein Hydrolysates)

  • 최동원;김남호;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62-1166
    • /
    • 2013
  • 해바라기씨박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철분 결합 펩타이드를 분리하기 위해 해바라기씨박 단백질을 단백 가수분해 효소인 alcalase와 flavourzyme을 이용하여 가수분해하였고, 가수분해물을 3 kDa 이하로 한외여과를 하였다. 한외여과된 가수분해물은 QAE Sephadex$^{TM}$ A-25 column과 Superdex$^{TM}$ peptide 10/300 GL column을 사용하여 철분 결합 펩타이드를 분리하였고, 분리된 분획 중 철분 결합력이 가장 높은 F22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해바라기씨박 단백질 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된 분획들은 향후 기능성식품 소재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CE-inhibitory Effect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ogurt Beverage Fortified with Whey Protein Hydrolysates

  • Lim, Sung-Min;Lee, Na-Kyoung;Park, Keun-Kyu;Yoon, Yoh-Chang;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86-892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E-inhibitory effect of yogurt beverage fortified with hydrolysates as well as the suitability of hydrolysates as a nutraceutical additive to yogurt beverage. Three whey protein hydrolysates hydrolyzed by alcalase, protamex, and trypsin were each added to yogurt beverage at concentrations of 1.25, 2.5, and 5 mg/mL. Yogurt beverage fortified with 2.5 mg/mL of hydrolysates had 61-69% ACE-inhibitory activity, whereas yogurt beverage fortified with 5 mg/mL of hydrolysates showed 74% ACE-inhibitory activ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E-inhibitory activity between the alcalase or protamex hydrolysates during storage; however, trypsin hydrolysate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H (3.47-3.77), titratable acidity (0.81-0.84%), colority, viable cell count, and sensory qua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ested yogurt beverage samples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howed that yogurt beverage fortified with whey protein hydrolysates maintained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underwent no unfavorable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enzyme type.

Hydrolysis Conditions of Porcine Blood Protein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ir Hydrolysates

  • Jin, Sang Keun;Choi, Jung Seok;Yim, Dong-Gy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2-182
    • /
    • 2020
  • In the present study, we determined the degree of hydrolysis (DH) of porcine blood plasma proteins, albumin, and globulin hydrolyzed by six proteases (alcalase, neutrase, flavourzyme, protamex, trypsin, and papain) for various reaction times. Moreover,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ydrolysates against five pathogenic microorganism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and Shigella flexneri) were investigated. Alcalase, trypsin, and papain hydrolysates of the three porcine blood proteins showed higher DH values than hydrolysates produced by the other three proteases. DH of the three porcine blood proteins hydrolyzed by the six proteases failed to increase after 2 h of hydrolysis. In antimicrobial tests, hydrolysates (hydrolysis time of 2 h)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only against B. cereus. Albumin hydrolysates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globulin and plasma hydrolysates. Albumin hydrolysates obtained with flavourzyme, protamex, and trypsin showed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than those obtained with the other three proteases.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Digests from Fresh Water Microalgae, Pediastrum duplex and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 Lee, Seung-Hong;Kim, Areum-Daseul;Kang, Min-Cheol;Lee, Joon-Baek;Jeon, You-Jin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69-177
    • /
    • 2009
  • In this study, we focused on natural water-soluble antioxidants from fresh water microalgae, Pediastrum duplex and Dactylococcopsis fascicularis from Jeju Island, Korea. They were prepared by enzymatic digestion using five carbohydrases (Viscozyme, Celluclast, AMG, Termamyl and Ultraflo) and five proteases (Protamex, Kojizyme, Neutrase, Flavourzyme and Alcalase), and the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was assessed. All enzymatic digests from P. duplex showed significant DPPH scavenging effects. Termamyl (60.6%) digest from P. duplex possessed the highest effects on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Celluclast (58.1%) and Kojizyme digests (56.9%) from D. fascicularis possessed higher effects on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ll enzymatic digest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NO· scavenging and metal chelating.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in inhibited Viscozyme, Termamyl and Kojizyme digests from P. duplex and Ultraflo, Protamex, Kojizyme and Alcalase digests from D. fascicularis. These data suggest that enzymatic digests of the fresh water microalgae, P. duplex and D. fascicularis might be valuable sources of antioxidant which can be applied in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