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space capacit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3초

공역확장을 통한 인천국제공항 수용능력 향상에 관한 고찰 (On the Design of Extending Airspace for Improving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apacity)

  • 이영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03-107
    • /
    • 2015
  • 본 논문은 인천국제공항의 공역 수용 능력 향상을 시키기 위한 공역 확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활주로 15/16방향 동시독립접근을 위해서는 ILS 접근절차에 대해 레이더 유도방식으로 관제업무를 제공해야 하므로, 레이더 유도가 가능한 최소 공역을 감안하여 휴전선비행금지구역(P-518) 조정을 제안하며, 동시독립접근이 가능할 경우 교통량 증가로 인한 임시 체공구역 확보를 위하여, 군 훈련공역을 단계적으로 5마일씩 총 10마일을 확보, 오산접근구역 내에 군 훈련공역 일부를 서울접근 관제소에 포함시키는 것을 제안 하고자 한다.

동적 슬롯 할당기법을 통한 인천공항과 김포공항 수용량 효율화방안 (Efficient Management for the Capacity of Incheon Airport and Gimpo Airport through Dynamic Slot Allocation)

  • 김상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1-107
    • /
    • 2017
  • Demand for air transportation in Korea keep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airport operations also grows as a result. The major two airports in Korea,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share the metropolitan airspace, which is crowd with air traffic. As air traffic increases in the metropolitan airspace, the demand for the airport operations would outnumber the capacities of these airports. However, there is a room to efficiently manage the shortage of the airport capacity due to the different distributions of operations in these airports. This study presents a dynamic slot allocation that allows exchanging slots according to the traffic demand. The dynamic allocation mitigates the airports' capacity problem but the airspace capacity itself should be increased in order to tackle the problem fundamentally.

국가공역체계 내에서 군용 무인항공기 비행규칙에 관한 제언 (A Proposal on the Aviation Rules of the Military UAV in the National Airspace System)

  • 박원태;이강석;임광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31
    • /
    • 2014
  • Military UAV(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ed as a RC(Remotely Control) model level within the limit of the military special use airspace until now. However, the high and medium altitude of URA(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which the ROKAF have been trying to import recently is at the UAV level and needs the criteria for the classified airspace flights. The required flight criteria includes operator location, mission operation limit, equipment, etc., which are the principle and standard applied based on the airspace use for UAV. Also, the general flight rules, visual flight rules, instrument flight rules are required in order to have to be applied to the actual flight. Besides, an appliance regulation needs to be arranged regarding two-way communication, ATC and communication issue, airspace and area in-flight between UAS( Unmanned Aircraft System) users. An operation of the UAV in the air significantly requires the guarantee of the aircraft's capacity, and also the standardized flight criteria. A safe and smooth use is ensured only if this criteria is applied and understood by the entire airspace users. For the purpose, a standardized military UAV flight operations criteria that is to be applied for each airspace by UAV is to be prepared through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a legend UAV system, and a special character analysis.

RVSM 공역수립 및 운용 요구조건 분석

  • 김성겸;박종혁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2호
    • /
    • pp.179-185
    • /
    • 2003
  • RVSM은 특정 공역내에서 비행고도 FL290~FL410를 운항하는 항공기간의 수직분리기준을 기존의 2,000ft에서 1,000ft로 축소, 추가적인 운항고도를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공역수용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해당 공역에 RVSM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RVSM을 적용할 경우 예상되는 항공기간 충돌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RVSM 공역을 운항하려는 항공기는 고도유지성능이 일정 수준을 만족함을 입증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RVSM의 개념을 소개하고 RVSM 공역수립 및 유지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을 분석하였다.

  • PDF

공항 및 공역관리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irport and Airspace Management)

  • 김병종;양한모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12권
    • /
    • pp.246-274
    • /
    • 2000
  • This paper discusses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international hub airport and suggests the strategies for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IIA) to be the hub airport in the East Asia. Recently, many East and Southeast Asia countries have invested on large scale international airports like Chap Lak Kok airport, Pudong airport etc.. as Korea have done on IIA. IIA to be open in 2001 will face a serious competition with these airport. Being a hub airport requires geographic proximity. sufficient volume of local traffic. uncongested infrastructure, a good accessibility to surrounding industrial centers. high quality of service to the airline. In order to promote airlines to land at IIA. Korea Government need to establish Open Sky Policy to many countries and national flag carriers of Korea need to be involved in a global alliance. Developing vicinity of IIA as free trade zone will generated more local traffic which makes IIA as more attractive candidate for airlines. The Korea airspace is one of the most restricted area in the world becuase of the national security. which limits civil aircraft maneuvers. The airspace need to be re-structured to exploit the full capacity of IIA.

  • PDF

기계학습 기반 접근관제구역 수용량 예측 모형 (Machine Learning Based Capacity Prediction Model of Terminal Maneuvering Area)

  • 한상혁;윤태경;김상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5-222
    • /
    • 2022
  • 항공교통흐름관리의 목적은 공항 및 공역의 수용량 안에서 항공교통 수요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용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항공교통흐름관리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준다. 본 논문은 특정 공항의 예상 출·도착 수요, 시각, 기상 및 실제 처리한 항공기 대수 등 과거의 항공기운항 데이터를 기계학습의 한 방법론인 부스팅 앙상블 알고리즘으로 학습하여 시간당 출·도착하는 항공기의 수를 예측하는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기계학습을 통해 도출된 모델은 실제 인천국제공항의 출·도착 항공편 데이터를 이용해 검증하였으며, 결정계수가 0.95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접근관제구역의 수용량을 간접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접근관제구역 수용량 산정을 위한 수리적 모형 (A Mathematical Model for Calculating the Capacity in Terminal Control Areas)

  • 채종목;백호종;이장룡;박장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18
    • /
    • 2023
  • The continuous increase in air traffic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apacity calculation. Research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Terminal Control Area (TMA) capacity has been treated as a partial aspect of the airspace sector capacity or has been limitedly studi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athematical model for calculating TMA capacity, taking into account the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STAR), separation standards, TMA entry speed, and runway threshold passing speed. The proposed model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lculate the instantaneous arrival capacity, which has not been noted in previous studies, along with the throughput. Additionally, it is meaningful as the model can easily calculate the arrival capacity of the TMA considering airport construction, runway expansion, or new procedures.

인천 비행정보구역의 RVSM 안전성 평가 연구 (The Study on RVSM Safety Assessment of Incheon FIR)

  • 신대원;김성겸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4
    • /
    • 2006
  • The purpose of RVSM is to reduce vertical separation minima for aircrafts which operate between FL290- FL410 inclusive in regional airspace, and to increase airspace capacity by providing additional flight levels. In order to introduce RVSM, it is necessary to estimate quantitatively airborne collision risk due to the reduction in vertical separation minimum. In this study, the basic concept of RVSM safety assessment and Reich collision risk model are introduced and mid-air collision risk in Incheon FIR is estimated based on ICAO RVSM safety assessment technique and Reich Model.

  • PDF

한국형 SBAS의 평가항목 및 필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한 비행검사 평가항목 수립 및 SBAS 성능 시험 측정 장비 최적 설계 방안 (Establishment of Flight Inspection Evaluation Items and Optimal Design of SBAS Performance Test Measurement Equipment by Analyzing Evaluation Items and Essential Components of Korean SBAS)

  • 김영빈;홍교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78-83
    • /
    • 2021
  • 급속도로 증가하는 항공 교통량으로 인한 공역 과밀화와 공역제한으로 인해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에서는 공역 수용 증대를 위한 performance-based navigation 을 실시하기 위해 2025년 까지 모든 항공기들을 대상으로 하여 SBAS 사용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맞춰 국내 역시 한국의 공역환경 특성을 반영한 한국형 SBAS의 연구 개발을 지속중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SBAS의 성능 시험 및 검증을 위한 비행검사 절차 및 이에 필요한 탑재장비 구성방안이 수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FAA, ICAO 규정집, 그리고 국토교통부가 제정한 법령을 분석하여 향후 수립될 한국형 SBAS의 필수 평가 사항들과 파라미터들을 도출하고, RTCA 규정집을 참고하여 RTK-DGPS 위치고정 시스템을 이용한 비행검사 최적 장비 구성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단방향 복선 항공로 안전평가모델을 활용한 국내 Offset 절차 안전도 분석 (Safety evaluation of the domestic Offset procedure using the unidirectional dual airway collision risk model )

  • 박세은;김휘양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356-364
    • /
    • 2023
  • 항행 정밀도 증가는 항공교통 수용량을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역 환경을 조성하였으나, 항공안전 측면에서는 항공기 간 충돌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항공기가 고도 분리에 실패하더라도 좌우 위치 오차를 갖는 경우 충돌로 이어지지 않지만, 좌우 위치 정밀도가 증가하면 위치 랜덤성이 줄어들어 항공기 충돌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항공기를 항공로 중심선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이탈시키는 SLOP (Strategic Lateral Offset Procedures) 절차를 도입하였으며, 우리나라 또한 이와 유사한 Offset 절차를 운영하고 있다. Y579 항공로는 22년 말 복선화되기 전까지 offset 절차로 운영되었으며, Y579 offset 항적 분석결과 SLOP 절차와 달리 단방향 복선 항공로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단방향 복선 항공로 및 offset 절차에 적용 가능한 안전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Y579 Offset 절차에 대한 안전평가를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