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Quality Index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2초

냉동오디의 이화학적 특성과 건조조건을 달리한 오디 분말을 첨가한 베이글의 품질과 관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ozen Mulberry Fruit and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agel with Different Drying Conditions of Mulberry Powder)

  • 이민애;변광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40-51
    • /
    • 2013
  • 본 연구는 냉동오디를 냉동건조와 열풍건조 방법으로 건조 후 분말화하여 건강 기능성 빵인 베이글 레시피에 0%(control), 1%, 3%, 5%, 7%를 첨가하여 만들었다. 우리는 냉동오디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베이글 pH는 냉동건조오디분말 첨가군 보다 열풍건조오디분말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냉동건조오디분말 첨가군 보다 열풍건조오디분말 첨가군의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a값)는 냉동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가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했을 때보다 적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Hardness)는 냉동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한 베이글은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탄력성(Elasticity)은 열풍건조오디분말을 첨가한 베이글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냉동건조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응집성(Cohesivness)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검성(Gumminess)은 냉동건조오디분말과 열풍건조오디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동건조오디분말 5%를 첨가군과 열풍건조오디분말 3% 첨가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 PDF

건조조건에 따른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품질과 화학적 특성 (The Effects of Curing Variables on Quality and Chemical Properties of Oriental Tobacco)

  • 류명현;이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4-210
    • /
    • 1989
  • 오리엔트종 연초에서 전조조건에 따른 품질과 화학성분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확엽을 황변시킨 후 각각 벌크건조 4$0^{\circ}C$, 5$0^{\circ}C$, 6$0^{\circ}C$구, 양건 및 음건으로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품질은 음건엽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양건과 벌크건조엽은 차이가 적었다. 2. 음건엽은 양건엽과 벌크건조엽에 비해 암모니아태 질소, 단백태 질소, 전질소, 회분함량 및 pH가 높고 당함량이 낮았으며, 석유에텔 추출물과 휘발성 유기산함량은 차이가 적었다. 3. 석유에텔 추출물, 휘발성 유기산과 대부분의 정유성분 중성부함량은 벌크건조 온도가 높을수록 감소하거나 변화가 없었다. 4. 오리엔트종 잎담배의 품질평가 지수로 (총 휘발성 유기산(mg/100g)+석유에텔추출물(%)) / (회분(%)+pH) $\times$ 10 이 추천된다.

  • PDF

A Study on Environmental Micro-Dust Level Detection and Remote Monitoring of Outdoor Facilities

  • Kim, Seung Kyun;Mariappan, Vinayagam;Cha, Jae 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1호
    • /
    • pp.63-69
    • /
    • 2020
  • The rapid development in modern industrialization pollutant the water and atmospheric air across the globe that have a major impact on the human and livings health. In worldwide, every country government increasing the importance to improve the outdoor air pollution monitoring and control to provide quality of life and prevent the citizens and livings life from hazard disease. We proposed the environmental dust level detection method for outdoor facilities using sensor fusion technology to measure precise micro-dust level and monitor in realtime. In this proposed approach use the camera sensor and commercial dust level sensor data to predict the micro-dust level with data fusion method. The camera sensor based dust level detection uses the optical flow based machine learning method to detect the dust level and then fused with commercial dust level sensor data to predict the precise micro-dust level of the outdoor facilities and send the dust level informations to the outdoor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method implemented on raspberry pi based open-source hardware with Internet-of-Things (IoT) framework and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realtime.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micro-dust level detection is precise and reliable in sensing the air dust and pollution, which helps to indicate the change in the air pollution more precisely than the commercial sensor based method in some extent.

Investigation of Urban Environmental Quality Using an Integration of Satellite, Ground based measurement data over Seoul, Korea

  • Lee, Kwon-Ho;Wong, Man-Sing;Kim, Young-J.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9-351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s of satellite, ground measurement data, and geo-spatial information within an urban area for the mapping of the Urban Environmental Quality (UEQ) parameters. The UEQ indicates a complex and various parameters resulting from both human and natural factors, which are greenness, climate, air pollution, the urban infrastructure, and etc. Multi-spectral remote sensing data from the Landsat ETM and TM sensors for the mapping of air pollution by the Haze Optimized Transform (HOT) technique, Urban Heat Island (UHO using the emissivity-fusion method in Seoul from 2000 to 2006 in fine resolution (30m) were analyzed for the estimation of UEQ index. Although the UHI values are similar ($8.4^{\circ}C{\sim}9.1^{\circ}C$) during these years, the spatial coverage of "hot" surface temperature (> $24^{\circ}C$)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00 to 2006 due to the rapid urban development. Furthermore, high correlations between vegetation index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were achieved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85 (2000), 0.81 (2001), 0.84 (2002), and 0.89 (2006),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fully analyzed spatial structure of the UEQ and the scenarios of the best and worst areas within the city were also identified. Based on the quantifiable fine resolution satellite image parameters, UEQ can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dynamic factors controlling urban environment.

신축사무실 내 식물 적용 후 재실자 안구 증상 및 실내공기질 평가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the Eye Symptom of Occupants in Newly-built Office Building after Planting Indoor Plants)

  • 김효진;김호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5-274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신축사무실 건물 및 재실자를 대상으로 식물적용에 따른 안구건조 증상 및 실내공기질 등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세종시 정부청사 신축건물 및 사무실 재실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식물적용에 따라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으며, 휘발성유기화합물류와 알데하이드류 및 온 습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안구건조 증상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OSDI)를 이용하여 정상, 경도, 중등도, 및 중증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식물적용사무실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류의 감소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 식물적용으로 인한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적용 재실자에서 새건물증후군 증상 점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고, 식물미적용사무실 재실자에서는 새건물증후군 증상 점수가 상승하였다. 재실자의 안구건조설문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식물적용 사무실 내 유해물질의 감소효과가 있었고, 재실자를 통한 설문조사결과 안구건조 및 새건물증후군 증상에 긍정적인 효과는 있었다. 개인의 민감도 등에 의한 차이 및 현장조사로 인한 연구의 제한점 등을 보완한 장기 연구가 필요하다.

경유연료의 세탄가, 유도세탄가 및 세탄지수의 상관관계 분석 (Determination of Correlation between Cetane Number, Derived Cetane Number and Cetane Index for Diesel Fuel)

  • 전화연;김지연;김신;임의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34-1144
    • /
    • 2018
  • 세탄가는 경유의 품질기준 중 하나로써 디젤엔진에 사용되는 경유 연료의 착화성을 평가하는 항목이다. 세탄가 기준은 현재 자동차용 경유 기준으로 52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세탄가가 높으면 시동성이 좋고 운전이 원활해지나 지나치게 높으면 연소가 불균일해져 매연의 원인이 되고 연료소비량이 증가한다. 현재 국내의 품질시험방법에 규정되어있는 세탄가 측정방법은 CFR엔진을 이용한 세탄가분석, 경유의 밀도와 증류유출온도를 통하여 세탄가를 산출하는 세탄지수, CFR엔진의 단점을 보완하여 고온에서 연료의 연소되는 시간을 통해 세탄가를 측정하는 유도세탄가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탄가를 정유사별, 하 동절기별 시료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다양한 인자들에 의한 세탄가 측정방법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세탄가, 유도세탄가, 세탄지수 순으로 세탄가가 높게 측정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현재 편의성을 이유로 많이 사용되는 세탄지수로 인하여 세탄가 품질미달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건조방법에 따른 양송이버섯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shroom(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하영선;박종원;이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5-251
    • /
    • 2001
  • 양송이버섯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건조조건 및 방법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송이버섯은 초기수분함량이 90%(w.b.) 이상의 높은 수분함량을 가진 농산물이며,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열풍건조시 가장 빠른 건조시간(12 h)을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의 경우 열풍건조에 비하여 약 8시간정도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차를 나타내는 ${\Delta}E$값은 높은 온도와 빠른 풍속, 그리고 낮은 진공도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색도변화는 동결건조된 양송이버섯이 생버섯과 비교할 때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열풍건조된 양송이버섯은 색차가 크게 나타났다. 갈변도 변화는 열풍건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에서 갈변도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건조풍속 및 진공도의 영향보다 건조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 경도의 경우 열풍건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동결건조에서 경도변화가 가장 적었다. 재수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동결건조의 경우 조직사이의 공극이 크기 때문에 열풍건조 및 진공건조의 경우보다 흡수량이 많았으며 흡수되는 시간도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광도가 서울 대기의 오존 생성 및 에어로졸 수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ozone formation and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of ambient air in Seoul)

  • 배귀남;박주연;김민철;이승복;문길주;김용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20
    • /
    • 2008
  •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ozone formation and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during the photochemical reactions of ambient air was investigated in an indoor smog chamber. The smog chamber consists of a housing, 64 blacklights, and a $2.5-m^3$ reaction bag made of Teflon film. The bag was filled with the unfiltered ambient air in Seoul from January 10 to March 18, 2002. In this work, the photolysis rate of $NO_2$, $k_1$ was used as an index of light intensity. Three levels of light intensity were controlled by changing the number of blacklights turned on among 64 blacklights: $0.29min^{-1}$ (50%), $0.44min^{-1}$ (75%), $0.57min^{-1}$ (100%). The ozone concentration increased rapidly within 10 minutes after irradiation irrespective of light intensity, thereafter it increased linearly during the irradiation. The ozone production rate seems to be dependent on both the light intensity and the quality of ambient air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bag. The change in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lso depended on both the light intensity and the ambient air quality, especially aerosol size distribution. Based on the initial ambient aerosol size distributions, the photochemical potential for aerosol formation and growth is classified into two cases. One is the case showing aerosol formation and growth processes, and the other is the case showing no apparent chang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 PDF

목뼈 견인치료가 긴장성 두통을 가진 노인 여성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ervical Traction on the Pain, Range of Motion and the Quality of Sleep of the Older Women with Tension Headache)

  • 김영중;유병국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1-62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ascertain the effects of cervical traction on the pain, the range of motion and the quality of sleep of the older women with the tension headache. Method : 25 subjects between ages 66 and 82 who agreed on this experiment and diagnosed with tension headach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reated with air-pressure cervical traction while 20 minutes a day,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The effects of air-pressure cervical traction were evaluated by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pain last a day, VAS, and four RO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on the treatment,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less and of over than age 75.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one-way repeated ANOVA and two-way repeated ANOVA. Result : 1) The group of less than age 75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ment variables, PSQI, a pain last a day, VAS and four ROMs. 2) The group of over than age 75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measurement variables excluding the flexion ROM of cervical.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showed in all measurement variables, bu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 and period was significant in only VAS.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ervical traction intervention using an air-pressure cervical traction proved to be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tension headache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leep.

선태식물을 이용한 전남지역 대기오염도 평가 (Estimation of Air Pollution by Distribution of Epiphytic Bryophtes in Chonnam Area)

  • 양수인;하훈;임항선;박찬옥;홍석순;정병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4
    • /
    • 1995
  • The I.A.P.(Index of Atmospheric Purity) by the distribution of Bryophtes on the bark of various latifoliate tree trunks was investigated at four sites(Daeheung, Songkwang, Jeungsim, and Heunggook Temple) from April, 1991 to April, 1993. The IAP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egree of air pollution. The I.A.P at four sites were estimated 78.2 at Daeheung temple, 61.0 at Songkwang temple, 28.3 at Jeungsim temple, and 10.3 at Heunggook temple,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degree of Bryophytes in Heunggook temple progressed during the last ten years. It represents the bettrment of air quality. Bioassay by means of lichens seems to have great potential for better and less expensive ways of measuring pollution levels instead of the high cost of buying and maintaining air pollution monitoring equi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