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Navigation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33초

Virtual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 Core, Giuseppe Del;Gaglione, Salvatore;Vultaggio, Mario;Pacifico, Armando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33-37
    • /
    • 2006
  • Since 1993, the civil aviation community through RTCA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Aeronautics) and the ICAO (International Civil Air Navigation Organization) have been working on the definition of GNSS augmentation systems that will provide improved levels of accuracy and integrity. These augmentation system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Aircraft Based Augmentation Systems (ABAS), Space Based Augmentation Systems (SBAS) and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s (GBAS). The last one is an implemented system to support Air Navigation in CAT-I approaching operation. It consists of three primary subsystems: the GNSS Satellite subsystem that produces the ranging signals and navigation messages; the GBAS ground subsystem, which uses two or more GNSS receivers. It collects pseudo ranges for all GNSS satellites in view and computes and broadcasts differential corrections and integrity-related information; the Aircraft subsystem. Within the area of coverage of the ground station, aircraft subsystems may use the broadcast corrections to compute their own measurements in line with the differential principle. After selection of the desired FAS for the landing runway, the differentially corrected position is used to generate navigation guidance signals. Those are lateral and vertical deviations as well as distance to the threshold crossing point of the selected FAS and integrity flags. The Department of Applied Science in Naples has create for its study a virtual GBAS Ground station. Starting from three GPS double frequency receivers, we collect data of 24h measures session and in post processing we generate the GC (GBAS Correction). For this goal we use the software Pegasus V4.1 developed from EUROCONTROL. Generating the GC we have the possibility to study and monitor GBAS performance and integrity starting from a virtual functional architecture. The latter allows us to collect data without the necessity to found us authorization for the access to restricted area in airport where there is one GBAS installation.

  • PDF

항공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FIS-B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S-B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Providing Air Traffic Informations)

  • 조태환;송인성;장은미;윤완오;최상방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970-976
    • /
    • 2011
  • 새로운 개념의 항행 시스템인 CNS/ATM(Communication Navigation Surveillance/Air Traffic Management)의 등장에 따라 항공 감시분야에서는 ADS-B(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FIS-B(Flight Information Services-Broadcast)는 ADS-B의 핵심 요소 중의 하나로 기상정보를 비롯하여 각종 운항정보를 항공기에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FIS-B 표준을 검토하여 성능 요구조건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FIS-B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FIS-B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는 향후 FIS-B의 연구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행기록자료를 이용한 복합항법 알고리즘 구성 (Research on the Method of a Composite Navigation Algorithm Using Aircraft Recorder Data)

  • 김재형;유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62-471
    • /
    • 2008
  • 비행기록장치는 사고원인 분석이나 사고방지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데 비행 기록장치의 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항공기의 위치 추정방법으로, 일반적인 항법과는 달리 항공항법에서는 정밀한 위치 추정이 쉬운 일은 아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항공기의 위치 추정을 위해 센서들의 특성과 비행기록장치 제한사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비행기록장치 기반의 최상의 추정조건을 추출하여 복합항법알고리즘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기준 위치에 근사화된 위치를 추정해 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FAA의 차세대 항공운항(NexGen) 동향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FAA's NextGen)

  • 김유광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23
    • /
    • 2012
  • "The FAA's Next Generation Air Transportation System" is a comprehensive overhaul of U.S National Airspace System to make air travel more convenient and dependable, while ensuring the flight is as safe, secure and hassle-free as possible. At its most basic level, NextGen represents an evolution from a ground-based system of air traffic control to a satellite-based system of air traffic management. This evolution is vital to meeting future demand, and to avoiding gridlock in the sky and at U.S airports. NextGen will open worldwide's skies to continued growth and increased safety while reducing aviation's environmental impact.

에어콘의 효과적인 퍼지 제어 시스템의 설계 (The Design of Efficient Fuzzy Logic Control System for Air-Conditioner)

  • 김일;이상배;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7-154
    • /
    • 1994
  • A practical application of a fuzzy control system is described for an air-conditioning system. Air-hadling units are being widely use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central air-conditioning systems. The fuzzy control system has two controlled variable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ree control elements, cooling, heating, and humid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high efficiency and economical control, especially in large offices and industrial buildings, two controllable parameters, temperature and humidity, must be adequately controlled by the three final controlling elements. In this paper a fuzzy control system was described for controlling air-conditioning systems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 PDF

원거리 장애물이 VOR에 미치는 영향의 비행측정 및 분석 (Fligh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VOR Signal Influence from the Long Distance Surrounding Obstacles)

  • 박형택;황병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8
  • 전방향표지시설 (VOR : VHF Omni-directional Range)은 1949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국제 항공항법 표준시스템의 하나로 지정한 이후, 각국에서 항공로 구성과 항공기의 이착륙 정보제공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현재 VOR은 우리나라의 39 대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2,000여대가 설치되어 있어 가장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 단거리 항공 항법시스템이나, VHF 반송파를 진폭 및 주파수변조하여 항법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산악지대 등 주변 장애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예상하지 못한 성능 미흡으로 이미 설치한 장비를 다시 옮기는데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허비되는 등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원거리 장애물이 VOR의 성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계측기 등을 장착한 항공기를 이용하여 10개 VOR의 24개 장애물에 대하여 측정 및 분석하고, 이를 VOR의 설치장소 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성능 미흡으로 설치된 장비를 이전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a trans-media vehicle when entering water obliquely at low speed

  • Li, Yong-li;Feng, Jin-fu;Hu, Jun-hua;Yang, Jian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0권2호
    • /
    • pp.188-200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single control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 of trans-media vehicle difficult control. The proposed control strategy is just to control the vehicle's air navigation, but not to control the underwater navigation. The hydrodynamic model of a vehicle when entering water obliquely at low speed has been founded to analyze the motion characteristics. Two methods have been used to simulate the vehicle entering water in the same condition: numerical simulation method and theoretical model solving method. And the results of the two methods can validate the hydrodynamic model founded in this paper. The entering water motion in the conditions of different velocity, different angle, and different attack angle has been simulated by this hydrodynamic model and the simulation has been analyzed. And the change rule of the vehicle's gestures and position when entering water has been obtained by analysis. This entering water rule will guide the follow-up of a series of research, such as the underwater navigation, the exiting water process and so on.

공항개발계획과 사업에서의 항공안전성 제고에 대한 법률적 소고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viation Safety in Airport Planning & Construction from a Legal Perspective)

  • 김태한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106
    • /
    • 2012
  • 오늘날 항공운송의 볼륨이 크게 증가함에따라 항공사고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항공교통의 핵심가치인 항공교통 안전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여야 한다. 이에 항공교통의 기본 인프라로서 공항의 입지, 시설, 장비에 대한 안전성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차원에서 공항의 건설 또는 개량단계에서 공항개발사업 단계별로 고려되어야 할 안전요소를 현행법과 제도내에서 분석하여 공항시설의 설계, 건설단계에서의 안전성 제고에 대한 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공항은 물론 항공교통의 안전은 공항시설을 포함하는 공항을 입지, 개발, 설계, 시공, 검사,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는 문제인 것이다. 이는 결국 공항개발계획 단계에서부터 항공안전을 우선 고려하는 입지에 대한 기준 및 전문가 개입 제도화 등에 관한 입법화를 통하여 현대사회가 내포하는 불특정다수에 대한 대형 사회간접자본의 리스크를 예방하는 국가적 책무를 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공항개발 과정에서 핵심사항인 공항과 항행안전시설의 설치기준의 명확화는 공항과 공항시설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공항과 항행안전시설의 설치기준은 항공교통의 특성상 세계적인 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를 국내 입법화하는 과정에서 안전 측면의 기준은 더욱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설계, 시공, 검사 단계에서 이에 대한 혼돈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도 항공안전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검토할 만하다. 항행안전시설의 설치에 대한 기준은 무엇보다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항행안전시설 성능적합증명제도와 관련해서는 임의적 규제를 의무적 규제로 변경하고, 제작자는 국내뿐만 국외제작자에게도 증명제도가 적용되도록 하는 것이 항행안전시설의 운용 안전성을 담보하는 방안이라 할 것이다. 물론 항공사고의 많은 부분이 조종사 과실 또는 항공기 정비 불량에 의한 것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공항이나 공항시설이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 정도로 완벽하다면 항공교통 사고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공항개발 단계에서부터 항공안전을 우선시 하는 법률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차세대 항공 감시시스템의 국제동향 및 시사점 (Inter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s of Next Generation Air Surveillance Systems)

  • 전제형;송제환;송병흠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97
    • /
    • 2015
  • 본 논문은 CNS/ATM의 항공감시 업무(Surveillance)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가 권고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기반의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을 포함하는 내용의 글로벌 항공계획(Global Air Navigation Plan: GANP) 개념을 기반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차세대 감시시스템의 최근동향 및 운용개념 수립과 관련 연구개발 진행 현황을 정리하였다.

  • PDF

조직의 안전분위기가 항공교통관제사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t Air Traffic controller's safety behavior)

  • 이효상;박진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9
    • /
    • 2019
  • As a domestic aviation industry has been growing continuously, the air traffic volume of en-route has increased rapidly to 2,300 a day. According to developing air navigation system including Performance Based Navigation(PBN), the manner of flights has diversified. Consequentially task of air traffic service has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and the organization of Air Traffic Service(ATC) established one Air traffic management Office(ATMO), extends to 3 Regional organization(Seoul, Busan, Jeju) and a number of air traffic controller exceeds 600.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going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s safety climate and air traffic controller's safety behavior, In pursuing abov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worker and supervisor's safety climate were examined for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previous studies,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Hypothesis was verified by effect. Data from 209 samples was employed for final survey. The main results show that co-worker and supervisor's safety climate were meaningful factors to effect perceived Safety Behavior and safety knowledge, safety motivation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 related to safety compliance.